올해 상반기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월 4일 OECD는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을 평균 4.3%로 집계했다. OECD 국가 전체 평균 2.8%의 1.5배를 넘는 수치다. 해당 통계가 나오지 않은 호주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32개 OECD 국가 가운데 에스토니아(5.3%), 터키(5.1%) 다음으로 높다. 32개 국가 중 6개월간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를 넘어선 국가는 한국을 빼면 6개국에 불과했다. 한편 한국은행 김중수 총재는 8월 1일 기자들과 만나 “하반기에도 물가상승 압력이 낮아지지 않을 것”이라면서 “9월부터는 기저효과로 인한 물가상승률 둔화가 나타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물가 잡을 묘책 어디 없습니까?
대학생 5만 명 대부업체 빚 800억 원
한국 대학생 5만 명가량이 대부업체에 800억 원의 빚을 진 것으로 나타났다. 8월 4일 금융감독원이 대부업체 40곳을 대상으로 대학생 대출 실태를 전수조사한 결과, 6월 말 현재 대학생 4만7945명의 대출 잔액이 794억6000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중복 대출을 제외하더라도 대학생 1인당 평균 170만 원가량을 대부업체에서 빌린 셈이다. 또한 1년 새 대학생 대출은 약 40% 증가했으며 연체율은 전체 대부업체 연체율의 2배를 웃돌았다. 대학생 대출은 대부분 학자금과 생활비 마련 목적인 것으로 파악돼 값비싼 등록금과 취업난을 여실히 드러냈다. 빚더미 대학생의 슬픈 자화상.
위치정보 수집한 애플·구글에 세계 첫 제재

정부, 6·25전쟁 납북자 55명 첫 공식 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