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15

..

우리 시대 최고의 보편적 클래식 안내서

안동림 ‘이 한 장의 명반 클래식’

  • 입력2009-12-10 14:2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 시대 최고의 보편적 클래식 안내서
    ‘명반(名盤)’은 이름난 연주를 담은 음반이라는 뜻. 하지만 ‘이름난’이라는 전제가 예술 감상에서 ‘좋은’이란 말과 동의어는 아니다. 예를 들어 대중예술과 이른바 고급예술을 구분하는 경계가 있다면 그것은 ‘고아한 가치’의 차이일 터. 여기서 고아하다는 것은 고급이란 말과는 다르다. 예술작품이 탄생하는 순간, 감상자를 의식해 감상자의 보편적 요구를 충족하는 것(대중예술, 상업예술)인가, 아니면 예술가의 영감을 담아낸 것(고급예술, 순수예술)인가의 차이다.

    이런 관점에서 명반이라는 칭호는 다분히 상업성을 띤다. 명반은 감상자와 예술가의 영감과 호흡이 일치하고, 아름다움을 느끼는 순간 탄생하기 때문이다. 물론 예술가의 영감이 각기 다르듯, 감상자의 취향도 각각 다른 상황에서 획일적으로 ‘이것이 좋다’라는 평은 아이러니다. 운동성이 정지된 회화의 경우, 같은 작품을 두고 많은 사람이 평가하고 그 평가가 축척되면서 다수의 공감을 얻은 작품이 명화라는 칭호를 얻는다. 이때 다수의 지지라는 것은 감상자 대중과 비평가의 눈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일 것이다.

    하지만 음악은 회화와 다르다. 미술은 예술가의 손에서 최종 완성되지만, 음악은 연주자의 손에서 종료된다. 작곡가가 작곡을 하면 연주자는 악보를 읽은 후 소리로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음악은 특유의 변주를 보인다. 이것은 음악의 태생적 특징이기도 하다. 예컨대 작곡가가 자신의 악상을 악보에 기록했다 해도 그것을 완전히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강하게’ ‘느리게’ ‘몰아치듯이’라는 지시어를 두고 어떤 강도로 연주를 하느냐는 대단히 직관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교향곡의 연주시간이 지휘자에 따라 5~10분 차이가 날 수 있고, 같은 음악도 누가 연주하는지에 따라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베토벤 3번 교향곡 ‘영웅’의 3악장 장송행진곡을 어떤 지휘자는 슬프고 우울하게 죽음과 애도를 그려내지만, 어떤 지휘자는 장중하고 강하게 승화된 감정적 고양으로 그려낼 수 있다.

    음악에서는 이것을 연주자 혹은 지휘자의 해석이라고 부른다. 또한 바로크나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을 지금 재현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 시대의 작곡가는 하프시코드를 염두에 두고 곡을 썼지만, 현대에는 그 역할을 피아노가 한다. 이런 난점 때문에 ‘원전연주’라는 것이 행해지기도 한다. 작곡가가 염두에 둔 음악을 재현한다는 흐름인 셈. 하지만 여기에는 감상자의 취향도 작용한다. 지금 시대에 없는 악기와 과거의 소편성으로 이뤄진 원전연주보다, 현대악기와 대편성의 웅장한 연주를 더 선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악도 마찬가지다. 과거의 여성 역할은 ‘카스트라토’라 불리는 거세 남성이 대신했다. 하지만 지금은 여성 소프라노가 맡는다. 이때 카운터 테너의 목소리를 고집하는 감상자와, 소프라노의 우아한 목소리를 좋아하는 감상자 사이엔 선호도 차이가 존재한다. 결국 좋은 연주에서 공통적인 부분은 기량이 탁월한 연주자의 악기를 다루는 능력에 관한 것뿐이다. 하지만 음악은 작곡가, 지휘자, 연주자가 각각 원래의 악보를 읽고 자신이 느낀 감정을 실어 다양한 목소리를 내기 때문에 연주자의 기량 이외 부분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더구나 연주 장소와 시간, 연주 목적에 따라 감상의 느낌은 달라진다. 예컨대 베를린 필하모닉이 독일 통일을 기념해 연주한 ‘합창’교향곡과, 뉴욕 필이 송년의 밤에서 연주한 연주는 지휘자, 악단, 감상자 모두가 특별한 감상배경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것을 음반에 담아 오디오에 걸어서 그 음악을 듣는다면, 그것은 연주자와 지휘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감상환경이 된다. 그래서 미켈란젤리와 같은 몇몇 지휘자는 녹음을 극도로 꺼리며 실제 공연 이외에서 곡이 다시 연주되는 데 반대했다. 반면 카라얀 같은 지휘자는 자신의 연주를 애초에 음반 감상자들의 취향에 맞춰 연주하고 상업적, 대중적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우리 시대 최고의 보편적 클래식 안내서

    박경철<br>의사

    음악의 이런 특성을 무시하고 일괄적으로 명반, 좋은 음반이라는 칭호를 부여하는 게 과연 옳은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기준이 감상자 전반의 지지를 얻고, 입문자들의 귀를 열게 하는 데 적당하며, 특정 시점에서 많은 감상자의 지지를 얻은 연주를 알리고 평가하는 일은 중요한 일일 수 있다. ‘이 한 장의 명반 클래식’(현암사 펴냄)은 그런 의미를 지닌다. 비록 안동림 교수가 지나치게 고식적인 연주를 좋아한다거나 특정 연주자에 대한 선호도가 강하다 하더라도, 보편적 클래식 음악의 안내자로서 이 책에 필적할 만한 성과는 10년 안에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http://blog.naver.com/donodonsu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