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리 통증에 시달리는 환자는 대부분 수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병원 방문이나 치료를 미룬다. 하지만 환자들의 걱정과는 달리 대부분의 허리 질환은 수술하지 않고 치료가 가능하다. 허리디스크도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는 10% 안팎에 그친다. 허리수술은 다리에 마비 증상이 느껴질 때, 다리 근육이 점점 위축될 때, 대소변 장애가 있을 때 등 디스크로 인한 신경압박이 극심한 경우에 한해 시행한다.
수술하지 않고 허리 통증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 중 최근 주목받는 시술법이 ‘경막외내시경요법(척추내시경 신경성형술)’이다. 허리 통증은 주로 디스크로 인한 염증과 부종, 혹은 척추관협착증으로 좁아진 신경관이 신경을 압박해 유발된다. 신경 주위에 자라난 필요 없는 근육들이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경막외내시경요법은 이 같은 허리 통증의 원인을 내시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며 시행하는 허리디스크의 4세대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 척추뼈 안에서 신경을 싸고 있는 경막의 바깥 면을 통해 2mm 정도의 가는 내시경을 삽입, 신경염증이나 부종, 군더더기 살 등 요통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원인을 직접 제거하거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디스크탈출증, 척추관탈출증, 척추전방전위증 등 대부분의 척추 질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물리치료,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인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만성요통 환자, 척추수술 후 통증이나 저림증이 지속되는 환자에게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김정수<br> 김정수 여러분병원 원장
허리 통증의 경우, 치료를 통해 호전됐다 해도 꾸준히 운동해 허리근력을 키워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허리근력이 강해져야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각종 허리부상이나 척추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가볍게 걷기, 수영 등이 허리근력 강화에 좋다. 걸을 때는 허리를 숙이거나 뒤로 젖히지 않게 주의하며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 물속에서 하는 수영도 체중의 부담을 줄이면서 허리근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다만 평영과 접영은 오히려 심한 요통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