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균(88·사진) 서울대 명예교수는 성큼성큼 다가와 기자의 손을 잡았다. 청년 못지않은 악력이 느껴졌다. “만나서 반갑다”며 인사를 건네는 목소리에도 활력이 넘쳤다.
서울대 의대 학장, 단국대 의료원장 등을 지낸 그는 1991년 제1회 호암상을 받은 저명 의학자. 아흔이 가까운 나이에도 자유롭게 걷고, 힘차게 악수를 나누며, 집필과 연구에 몰두하는 ‘장수 현역’이기도 하다. 경기 수원의 한 실버타운에서 만난 김 교수는 “어제도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서울 마포에 있는 치과에 다녀왔다. 서울 양재부터 수원까지 오는 광역버스에 자리가 없어 내내 서서 온 게 좀 힘들긴 했지만, 아직 돌아다니는 데는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며 너털웃음을 지었다.
1991년 서울대를 정년퇴임한 그는 이 체력을 바탕으로 여전히 의학 분야 연구와 집필에 몰두 중이다. 최근엔 500쪽 넘는 분량의 건강 정보서 ‘건강 100세를 위한 김영균 의학산문’(‘의학산문’)을 펴냈고, 뒤이어 바로 ‘왜 여자가 남자보다 오래 사는가’를 주제로 또 다른 저술을 준비 중이다.
각종 의학서적은 물론 영어 및 일어사전이 빼곡히 꽂힌 실버타운 내 서가와 책상이 그의 연구실. 김 교수는 “요즘은 밥 먹을 때를 제외하면 거의 이곳에 있다. 늦은 밤이나 새벽 시간도 예외가 아니다. 사방이 컴컴할 때 책상 위 작은 조명등 하나만 켜둔 채 사색하고, 책 읽고, 글을 쓰고 있으면 참 즐겁다”며 또 한 번 환히 웃었다.
장수 비결은 일상서 누리는 소박한 기쁨
이 소박한 기쁨은 김 교수의 건강 장수 비결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중학생 시절 폐결핵을 앓았고, 45세 때 당뇨가 발병해 줄곧 약을 먹고 있으며, 심장 질환으로 관상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한 상태다. 몇 해 전 방광암 수술도 받았다. 타고난 건강 체질이 아닌 건 분명하다. 그런 그가 지금 또래의 어느 누구보다도 활기 넘치게 사는 비결은 “일상에서 얻을 수 있는 행복을 마음껏 누리는 것”이라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나는 당뇨인 걸 안 뒤에도 특별히 식단을 조절하거나 무리하게 운동을 하지 않았어요. 단 음식을 적게 먹고, 담배를 끊고, 평소 많이 걸어 다니는 정도가 건강을 위해 하는 일의 전부죠.”
그 대신 ‘참을 인(忍)’을 생활신조 삼아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려 애쓴다. “‘참을 인(忍)’은 심장에 칼날을 들이대도 꾹 참는다는 뜻으로, 마음과 몸을 함께 참는 것은 건강의 근본이자, 인간 생활의 근본”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김 교수는 인터뷰하기 전날도 벌컥 화를 낼 뻔한 일을 잘 참아 넘겼다고 했다. 치과 진료를 받고 피곤한 상태로 수원행 광역버스에 올랐다가 빈자리가 없는 걸 알게 됐을 때다.
“서울과 수원을 오가는 버스는 고속도로 위를 달리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입석이 금지돼 있어요. 그래서 보통 자리가 없으면 버스기사가 정류장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그 얘기를 해주고 ‘다음 차를 타십시오’ 안내를 하죠. 그런데 어제는 아무 말도 안 해서 올라탔더니 승객 몇 명이 벌써 안쪽에 서 있는 거예요.”
처음엔 당황했고, 그다음엔 화가 났다. 흔들리는 버스 손잡이에 몸을 의지한 채 서 있는데 주머니 속에서 계속 휴대전화가 울리자 더욱 분노가 치솟았다. 한 손을 놓고 휴대전화를 꺼내는 건 엄두조차 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버스기사에게 호통을 쳐야겠다고 생각하고 막 행동에 옮기려 할 때 마음속에서 ‘참을 인(忍)’ 자가 떠올랐다.
“지금 여기서 한소리 한다고 달라질 게 없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노인이 소리를 지르면 버스기사는 되레 화를 낼 테고, 자리에 앉아 있는 분들만 민망해질 거 아니에요. 이왕 이렇게 된 거 그냥 참고 가자는 마음으로 조용히 수원까지 왔습니다. 집에 와서 아내한테 얘기했더니 ‘잘했다’고 칭찬해줬어요.”
억지로 말고 자연스럽게 즐겨야
씨익, 웃는 모습이 정말 칭찬을 받은 장난꾸러기 소년 같았다. 서울 간 남편이 탈 없이 일을 마치고 돌아오나 궁금해 스무 번도 넘게 전화를 걸었던, 그러니까 버스 안에서 김 교수의 화를 더욱 돋운 바로 그 전화의 주인공이 아내 정용희(86) 씨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부산에서 결혼식을 올린 정씨와 매일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실버타운 안을 산책하는 것도 김 교수가 일상에서 누리는 소박한 행복 가운데 하나다.
그가 밝힌 건강 비결은 이런 게 전부였다. 좋아하는 책을 마음껏 읽는 것,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 ‘취미는 농담’이라고 할 만큼 아내를 유쾌하게 대하고 함께 대화하며 자신도 많이 웃는 것 등이다. 김 교수는 ‘의학산문’에서도 줄곧 평범하고 기본적인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상자기사 참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질병을 갖고 있더라도 인지능력이 정상이고 식사, 취침, 목욕, 화장실 사용, 외출, 독서 등 일상생활을 스스로 불편함 없이 할 수 있으면 건강한 사람”이라는 게 김 교수의 생각이다. 만성 질환을 치료하겠다는 생각에 억지로 식단을 조절하는 등의 부자연스러운 노력을 하지 말고, 자신에게 주어진 하루하루를 즐겁게 사는 것이 곧 건강 장수의 지름길이라는 설명으로 들렸다.
인터뷰가 끝날 무렵 김 교수는 ‘연구실’ 안에 놓인 화분을 바라보며 “여기 있는 화초들처럼 사람도 쇠퇴해. 영구적인 것은 환상이야”라고 말했다. 그 자연스럽고 담백한 마음이 ‘아흔 살 청춘’의 비결인 듯 했다.
서울대 의대 학장, 단국대 의료원장 등을 지낸 그는 1991년 제1회 호암상을 받은 저명 의학자. 아흔이 가까운 나이에도 자유롭게 걷고, 힘차게 악수를 나누며, 집필과 연구에 몰두하는 ‘장수 현역’이기도 하다. 경기 수원의 한 실버타운에서 만난 김 교수는 “어제도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서울 마포에 있는 치과에 다녀왔다. 서울 양재부터 수원까지 오는 광역버스에 자리가 없어 내내 서서 온 게 좀 힘들긴 했지만, 아직 돌아다니는 데는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며 너털웃음을 지었다.
1991년 서울대를 정년퇴임한 그는 이 체력을 바탕으로 여전히 의학 분야 연구와 집필에 몰두 중이다. 최근엔 500쪽 넘는 분량의 건강 정보서 ‘건강 100세를 위한 김영균 의학산문’(‘의학산문’)을 펴냈고, 뒤이어 바로 ‘왜 여자가 남자보다 오래 사는가’를 주제로 또 다른 저술을 준비 중이다.
각종 의학서적은 물론 영어 및 일어사전이 빼곡히 꽂힌 실버타운 내 서가와 책상이 그의 연구실. 김 교수는 “요즘은 밥 먹을 때를 제외하면 거의 이곳에 있다. 늦은 밤이나 새벽 시간도 예외가 아니다. 사방이 컴컴할 때 책상 위 작은 조명등 하나만 켜둔 채 사색하고, 책 읽고, 글을 쓰고 있으면 참 즐겁다”며 또 한 번 환히 웃었다.
장수 비결은 일상서 누리는 소박한 기쁨
이 소박한 기쁨은 김 교수의 건강 장수 비결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중학생 시절 폐결핵을 앓았고, 45세 때 당뇨가 발병해 줄곧 약을 먹고 있으며, 심장 질환으로 관상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한 상태다. 몇 해 전 방광암 수술도 받았다. 타고난 건강 체질이 아닌 건 분명하다. 그런 그가 지금 또래의 어느 누구보다도 활기 넘치게 사는 비결은 “일상에서 얻을 수 있는 행복을 마음껏 누리는 것”이라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나는 당뇨인 걸 안 뒤에도 특별히 식단을 조절하거나 무리하게 운동을 하지 않았어요. 단 음식을 적게 먹고, 담배를 끊고, 평소 많이 걸어 다니는 정도가 건강을 위해 하는 일의 전부죠.”
그 대신 ‘참을 인(忍)’을 생활신조 삼아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려 애쓴다. “‘참을 인(忍)’은 심장에 칼날을 들이대도 꾹 참는다는 뜻으로, 마음과 몸을 함께 참는 것은 건강의 근본이자, 인간 생활의 근본”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김 교수는 인터뷰하기 전날도 벌컥 화를 낼 뻔한 일을 잘 참아 넘겼다고 했다. 치과 진료를 받고 피곤한 상태로 수원행 광역버스에 올랐다가 빈자리가 없는 걸 알게 됐을 때다.
“서울과 수원을 오가는 버스는 고속도로 위를 달리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입석이 금지돼 있어요. 그래서 보통 자리가 없으면 버스기사가 정류장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그 얘기를 해주고 ‘다음 차를 타십시오’ 안내를 하죠. 그런데 어제는 아무 말도 안 해서 올라탔더니 승객 몇 명이 벌써 안쪽에 서 있는 거예요.”
처음엔 당황했고, 그다음엔 화가 났다. 흔들리는 버스 손잡이에 몸을 의지한 채 서 있는데 주머니 속에서 계속 휴대전화가 울리자 더욱 분노가 치솟았다. 한 손을 놓고 휴대전화를 꺼내는 건 엄두조차 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버스기사에게 호통을 쳐야겠다고 생각하고 막 행동에 옮기려 할 때 마음속에서 ‘참을 인(忍)’ 자가 떠올랐다.
“지금 여기서 한소리 한다고 달라질 게 없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노인이 소리를 지르면 버스기사는 되레 화를 낼 테고, 자리에 앉아 있는 분들만 민망해질 거 아니에요. 이왕 이렇게 된 거 그냥 참고 가자는 마음으로 조용히 수원까지 왔습니다. 집에 와서 아내한테 얘기했더니 ‘잘했다’고 칭찬해줬어요.”
억지로 말고 자연스럽게 즐겨야
씨익, 웃는 모습이 정말 칭찬을 받은 장난꾸러기 소년 같았다. 서울 간 남편이 탈 없이 일을 마치고 돌아오나 궁금해 스무 번도 넘게 전화를 걸었던, 그러니까 버스 안에서 김 교수의 화를 더욱 돋운 바로 그 전화의 주인공이 아내 정용희(86) 씨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부산에서 결혼식을 올린 정씨와 매일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실버타운 안을 산책하는 것도 김 교수가 일상에서 누리는 소박한 행복 가운데 하나다.
그가 밝힌 건강 비결은 이런 게 전부였다. 좋아하는 책을 마음껏 읽는 것,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 ‘취미는 농담’이라고 할 만큼 아내를 유쾌하게 대하고 함께 대화하며 자신도 많이 웃는 것 등이다. 김 교수는 ‘의학산문’에서도 줄곧 평범하고 기본적인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상자기사 참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질병을 갖고 있더라도 인지능력이 정상이고 식사, 취침, 목욕, 화장실 사용, 외출, 독서 등 일상생활을 스스로 불편함 없이 할 수 있으면 건강한 사람”이라는 게 김 교수의 생각이다. 만성 질환을 치료하겠다는 생각에 억지로 식단을 조절하는 등의 부자연스러운 노력을 하지 말고, 자신에게 주어진 하루하루를 즐겁게 사는 것이 곧 건강 장수의 지름길이라는 설명으로 들렸다.
인터뷰가 끝날 무렵 김 교수는 ‘연구실’ 안에 놓인 화분을 바라보며 “여기 있는 화초들처럼 사람도 쇠퇴해. 영구적인 것은 환상이야”라고 말했다. 그 자연스럽고 담백한 마음이 ‘아흔 살 청춘’의 비결인 듯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