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69

2011.01.03

자유로운 창작자라면 ‘뻘짓’ 좀 해도 괜찮겠죠

2010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양아치 작가 “내 안의 무지갯빛 정체성이 튀라 하네요”

  •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입력2011-01-03 12:1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유로운 창작자라면 ‘뻘짓’ 좀 해도 괜찮겠죠

    ‘밝은 비둘기 현숙씨’의 한 장면.

    사방이 막힌 엘리베이터에서 남자친구와 뽀뽀하려는데, 저 멀리 CCTV용 카메라가 보인다. ‘어차피 여기저기에 있는 카메라, 보는 사람도 내가 누군지 모를 텐데’라며 별 거리낌 없이 남자친구의 입술을 훔친다. 물론 다른 이들 상당수는 카메라 자체를 의식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 행동을 할 것이다. CCTV 모니터를 바라보는 이들은 사람들의 이런 모습을 보며 무슨 생각을 할까. 문득 전 세계 모든 공영 CCTV 속 장면을 보여주는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이 떠오른다. 벌건 대낮 대한민국 서울에서 ‘나’는 한밤중 미국 마이애미 해변에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연인들을 볼 수 있다. CCTV 속 ‘나’와 CCTV 모니터를 바라보는 ‘나’는 한 영화의 ‘주연’이자, 여러 영화의 ‘관람객’이다.

    미디어 아티스트 양아치(41·본명 조성진) 작가는 자신의 작업에 CCTV를 자주 활용한다. 2010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을 수상한 ‘밝은 비둘기 현숙씨’에도 어김없이 CCTV(엄밀히 말하면 CCTV 모니터 화면)가 등장한다. 이 작품은 비둘기에 빙의(憑依)된 현숙 씨가 서울 부암동 집에서 도산공원 근처의 에르메스 건물을 오가는 동안 벌어지는 일을 비둘기와 CCTV용 카메라의 시선으로 촬영한 20분 분량의 영상물. 본인이 비둘기라고 생각하는 현숙 씨는 하늘을 날면서 마주치는 무용수, 학생, 작가 등 6명의 다른 사람으로 빙의되는 경험을 하는데, 관람객은 현숙 씨의 이런 모습을 비둘기의 눈과 CCTV 카메라 등 여러 개의 분산된 시선으로 바라본다.

    “CCTV 사용이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는 건 제가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다만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는 수단으로 영상 시스템 중 하나인 CCTV를 활용한 것뿐이죠. 특히 CCTV 화면은 만화책처럼 한눈에 여러 장면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돼 있으니 개별적인 이야기들을 하나로 묶어내기가 수월하고요. 또 화면 속 인물이 내가 될 수 있다는 긴장감과 훔쳐보는 재미도 선사할 수 있죠.”

    CCTV 활용 누구나 주인이자 관람객

    2010년 12월 28일 오후, 서울 평창동의 작업실에서 만난 양 작가는 ‘양아치’라는 이름과 달리 시종일관 예의 바른 태도로 자분자분 조리 있게 자신의 작품 활동을 설명했다. ‘밝은 비둘기 현숙씨’를 통해서 그는 ‘빙의’라는 장치로 한 사람 안에 숨겨진 여러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누구나 가족, 회사 동료, 상사, 친구를 대할 때 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죠. 같은 사람이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존재로 변하는데, 사람들은 ‘나의 정체성을 반드시 찾아야 한다’는 압박감을 갖고 있어요. 하지만 하나의 정체성을 찾는다는 게 과연 가능한 일이고, 또 옳은 일일까요?”

    양 작가는 이 작품을 접하는 남녀의 반응이 달랐다고 했다. 남성 관람객은 단지 CCTV를 통한 ‘훔쳐보기’와 CCTV 구조를 해석하는 데 치중한 반면, 여성 관람객은 현숙 씨에게 감정이입해 공감하려고 했다는 것. 심지어 외모와 직업 모두 ‘멀쩡한’ 한 여성 관람객은 “명화 속 여성 누드 포즈로 강아지를 눕힌 후 그 모습을 사진으로 찍는 ‘못된’ 취미가 있었다. 사진을 찍으면서도 ‘내가 미쳤구나’ 싶었는데, 이 작품을 보고 누구나 자신 안에 여러 모습이 있고 이 중 하나는 ‘똘아이’일 수 있다는 걸 알게 돼 마음이 놓였다”고 털어놓았다.

    부산 출신인 양 작가는 1997년 수원대 조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을 떠났다가 외환위기로 귀국한 뒤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미디어 아트를 연구했다. 특히 그는 2000년 12월 개관한 미디어 아트 전문 미술관인 ‘아트센터 나비’(관장 노소영·이하 나비)와 지난 10년간 함께 성장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비는 2011년 2월 19일까지 개관 10주년 기념 전시 ‘이것이 미디어 아트다!’를 선보인다. 이 전시에서 양 작가의 ‘미들코리아 : 양아치 에피소드 Ⅲ’를 볼 수 있다.

    자유로운 창작자라면 ‘뻘짓’ 좀 해도 괜찮겠죠

    시종일관 본인의 이름(?)과 달리 예의 바른 태도와 조리 있는 말솜씨를 보여준 양아치 작가.

    “미디어 아트 발전에 나비를 빼놓고는 생각할 수 없죠. 노소영 관장 역시 예술가들에게 각종 지원을 마다하지 않는 친절한 후원자이자 함께 미디어 아트를 일궈간 주역입니다. 제게 나비는 조력자이자 경쟁자, 그리고 함께 발전하는 동반자라고 할 수 있어요.”

    양 작가는 “전기·전자에 기반을 둔 커뮤니케이션이라면 무엇이든 미디어 아트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가 2011년 선보일 차기작은 20분 분량의 단편영화다. 그런데 일반적인 영화를 상상하면 안 된다. 이 작품은 가상과 실재가 완벽히 혼재한 모습을 보여줄 것이기 때문.

    완성된 양아치, 자유로운 창작자

    “영화 속 인물이 카페에 들어가서 카푸치노를 시켜요. 그 장면을 본 관객이 영화관을 나와 근처 카페에 들어갔더니, 영화 속과 똑같은 장면이 펼쳐지는 거죠. 같은 인테리어가 된 공간에서 같은 종업원이 영화 속 대사와 똑같은 말로 주문을 받고요. 스크린 속 영화는 끝났지만, 우리의 삶인 영화는 계속되는 거죠.”

    이처럼 그의 작품은 늘 우리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든다. 차기작도 우리의 흥미를 자극할 만한 무언가가 될 것이다. 이런 혁신성과 독창성이 그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미디어 아티스트로 만든 게 아닐까.

    “창작자는 양아치적 기질이 있어야 자유로울 수 있다는 신념 때문에 ‘양아치’란 이름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어요. 제 꿈은 ‘양아치Z’가 되는 겁니다. Z는 완성된다는 뜻을 담고 있거든요. 완성된 양아치, 즉 최고로 자유로운 창작자가 되는 거죠. 제 안에는 무지갯빛 정체성이 있어요. 어디로 튈지 저도 몰라요. 2011년엔 ‘뻘짓’을 많이 하려고요. 그동안 쌓아왔던 자산을 버리고 각종 ‘뻘짓’으로 점철된 2011년을 보내야만 ‘양아치Z’가 되는 초석을 닦을 수 있으니까요.”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