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89

2003.06.19

산산조각 난 ‘386 동질성’

與野로 갈라서고 위아래 계급 ‘사분오열’ … 비판 주체서 이제는 비판 대상으로

  • 이해영/ 한신대 교수·국제관계학 drlhy@chol.com

    입력2003-06-11 13:5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산조각 난 ‘386 동질성’

    386세대의 정치실험은 끝나지 않았다. 2000년 총선 직후인 5월17일 광주망월동묘역을 참배한 386의원들.

    386-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생, 그 자체로 보자면 그다지 특이할 것도 없는 단순한 수치의 나열일 뿐이다. 내 기억에 이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1990년대 중반이었다.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얻고, 가정을 꾸리고, 생활이 궤도에 오르고, 조금씩 ‘딴생각’을 하기 시작한 이 세대가 마침 당시 정치권의 ‘젊은 피 수혈론’과 맞물려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만들어진 말이다. 어떤 엄격한 학문적 잣대에 의해 생성된 개념이라기보다 그들 자신이 ‘386’이기도 한 언론계 기자들의 이해와 맞아떨어져 만들어진, 다분히 거품 섞인 저널리즘 용어였다고 보는 것이 사실에 가깝다고 하겠다.

    물론 그 말이 그렇게 쉽고 빨리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은 이 세대가 공유했던 역사적 경험이 그만큼 많았고, 그만큼 강렬했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진정성과 개혁성, 참신성이 대중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었던 것도 이들이 기여했고 부분적으로는 성공한 민주화라는 시대적 성과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면 그 시대정신의 고갱이는 무엇이었나. 청년기의 대부분을 독재정권에 맞서며 보냈던 이들의 의식과 문화는 기본적으로 반권위적, 탈권위적 비판정신에 의거하고 있다. ‘나이키’ 운동화보다 고무신을 선호했던 이들은 아주 강력한 평등주의적(egalitarian) 지향을 갖고 있다. 또 ‘튀거나’ ‘뜨는’ 것보다 스크럼에 익숙한 이들이 조직지향적 행태를 보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이들은 철필보다 수동타자기와 386컴퓨터의 편리함에 익숙할 정도로 기술개방적이며, 우리가 살기 위해서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것을 알 정도로 국제적이다. 대자보라는 초보적 공공영역의 위력을 경험한 이들은, 사이버공간의 게시판문화에 무리 없이 순응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함께 투쟁해본 경험은 향후 이들의 사회생활의 원형을 규정한다. 386세대는 이전의 4·19세대, 6·3세대, 민청학련세대의 맥을 잇는 집단적으로 정치화된 세대, 즉 전형적인 ‘정치세대’라 할 수 있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순수한 열정 재가공이 과제



    하지만 그들이 앞선 세대들을 비판했던 무기가 이제 386 자신들을 겨누고 있다. 전후좌우 그어진 경계선을 따라 386 내부에도 세대 동질성을 운위할 수 없을 정도의 균열과 파열이 목격되고 있다. 여와 야로 나뉘고, 좌와 우로 갈라지고, 위와 아래로 쪼개져버렸다. 성공한 386과 그렇지 못한 386은 이제 ‘계급’이 다르다. 출발 당시부터 이들의 사고와 행동에 내장된 출세주의는 소위 현실주의의 미명 하에 반개혁을 정당화하는 변명이 되고, 이들의 엘리트주의는 자신의 기득권을 386방식으로 합리화하는 구실이 된다. 스스로 낡은 지배 이데올로기에 포박되어, 언제부터인가 더 이상 자신의 언어가 아니라 ‘노예의 언어’로 말하고 있다. 386은 선망의 대상에서 차츰 빈축의 대상이 되고 있다. 386이란 이유로 모든 것이 정당화되는 시대는 이미 오래 전에, 그것도 불가역적으로 종결됐다. 변질과 변신이 규칙이 되는 사회에서 불변을 요구하는 것은 오히려 도그마일지 모른다. 그래서 문제는 변화의 방향이다. 그토록 비판했던 선행세대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스스로 단두대에 올라 대중의 심판을 대기하는 자세다.

    80년대를 되돌아보자는 것은 결코 복고가 아니다. 그 지긋지긋한 독재와 반합리가 그리운 것도 아니다. 그 숨막히는 운동권 집단주의도 미래를 담보하지 못한다. 그러나 지금도 거부할 수 없는 것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요구한 그 순수한 열정이다. 전혀 순수하지 않은 현실 속에서 이 열정을 좀더 가공된 실천의지로 바꾸어내고, 80년대라는 ‘집단적 기억’을 정치자원으로 재가공해내는 일은 여전히 열린 과제로 남는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