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79

2003.04.10

“중동 특별과외도 받았어요”

동아일보 국제부 24시 … 2월부터 전쟁 보도 준비, 동시통역사 구하고 군사용어 교육까지 만전

  • 곽민영 / 동아일보 국제부 기자 havefun@donga.com

    입력2003-04-03 13:4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동 특별과외도 받았어요”

    전쟁 보도는 전황과 피해 규모에 대한 양측 주장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어느쪽이 거짓말을 하는지 밝혀내는 것도 주요 업무다. 동아일보사 국제부의 긴급 회의 모습.

    3월20일 오전 11시 동아일보 국제부 회의 시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에게 보낸 최후 통첩 마감시한이 이날 오전 10시로 종료되자 국제부 전원 밤샘 대기령이 떨어졌다. 그래서 새벽녘에 잠시나마 눈을 붙이기 위해 광화문 일대 찜질방 물색에 나섰는데 다행스럽게도(?) 전쟁은 근무시간 중에 터졌다. 불과 30분 뒤 바그다드 일대에 대한 미군의 공습이 시작됐다. 신문사 국제부도 총성 없는 전쟁에 돌입했다.

    준비된 전쟁 보도: 사실 국제부는 2월부터 개전 상태였다. 1월말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서 현지 취재를 마치고 돌아온 권기태 기자의 “3월중 전쟁이 시작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곧바로 국제부를 중심으로 정치부, 경제부, 사회부 등 관련 부서를 아우른 특별취재팀이 꾸려졌다. 이번 전쟁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부터 논조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깊이 있는 기사를 쓰는 방법과 주요 기사를 쏟아낼 서방언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 등 광범위하고 치열한 논의가 오갔다. 그 결과 중동전문가와 국제정치학자, 평화운동가 등을 중심으로 전쟁자문단을 구성했고 기자들부터 공부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져 내로라하는 국내 중동전문가 6명을 초청, 취재팀 전원이 6시간에 걸쳐 특별과외도 받았다. 아랍 쪽 취재를 위해 아랍어 동시통역사를 구해 이라크 현지인과의 통화와 아랍언론 논조 분석을 맡겼다.

    외신 의존도를 낮추려면 현장 취재가 필수다. 쿠웨이트와 요르단 등 주변국에 파견된 특파원들은 비자 신청과 동시에 최소한의 안전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구입하고 보험에 가입했다. 화생방복과 장갑, 부츠, 방독키트와 방독면, 그리고 방탄조끼가 준비됐다.

    담장 위를 걷는 듯 아슬아슬한 균형: 하루 18시간 이상 피냄새로 비릿한 전쟁기사를 쓰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균형을 잡는 일. 한쪽의 승리가 다른 한쪽에게 학살이 되는 전쟁은 어떤 사건보다도 양면성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사태를 전쟁이라고 표현할지, 아니면 공격이나 침공, 침략으로 쓸지를 놓고도 의견이 분분했다. 그래서 이라크에게는 대량살상무기가 될 미군의 첨단무기 기사를 내보낼 때 ‘이런 무기를 누가 만드는지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제작사를 명기했고, 전황과 별도로 민간인 피해나 전술의 정당성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기사와 반전운동 기사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선별한 외신기사 오보 땐 자책감 시달리기도



    사실로 믿었던 것들이 진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 종종 자괴감에 빠진다. 대표적인 사례가 이라크 남부 바스라 함락 보도. 미국의 발표를 중심으로 바스라가 함락됐다는 기사를 내보냈다가 결국 오보로 판명 나는 바람에 ‘선전전의 도구’가 됐다는 자책감에 시달렸다.

    그러나 미군이 잡았다고 주장한 수천명의 포로 가운데 한 명이 버젓이 이라크 방송에 등장하고, 이라크 민중 봉기설의 와중에 후세인 대통령에 대한 충성을 다짐했다는 상반된 보도가 잇따르는 것을 보면 심리전·선전전이 얼마나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는지, 또 그로 인해 언론 역시 얼마나 불가항력을 느낄 수밖에 없는지 실감하게 된다.

    때 아닌 군사훈련: 국제부 전 부원이 전후(戰後)세대여서 전쟁 경험이 없는 것은 공통적이라 해도 군대를 다녀오지 않은 여기자들에게 전쟁 보도는 고되기만 하다. 여단과 사단, 대대 가운데 무엇이 상위 부대인지, 전투기와 전폭기와 폭격기, 장갑차와 탱크가 어떻게 다른지 구별을 못하는 통에 기사를 쓸 때마다 상당한 애로를 겪어야 한다. 때문에 틈나는 대로 각종 군사용어를 정리해 돌려보는 식으로 학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남자기자 가운데도 방위 출신이나 군복무 면제자가 현역 출신에게 가끔씩 면박을 당하는 것을 보면서 전쟁 취재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구나, 위안을 삼는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