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87

2001.06.07

‘러브스토리 원조’ 우리 입맛으로

  • 입력2005-02-01 15:2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러브스토리 원조’ 우리 입맛으로
    셰익스피어는 오늘도 세계 곳곳에서 저마다 다른 모양으로 공연되고 있다. 한국 무대에서만도 올 들어 이윤택 연출의 ‘햄릿’과 ‘태풍’, 서울시립극단의 ‘베니스의 상인’을 공연하였고, 지금은 오태석 연출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공연중이다. 5월 말부터는 극단 ‘유’에서 ‘한여름밤의 꿈’을 상연할 예정이다. 시대와 국가와 민족을 뛰어넘는 셰익스피어의 매력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인간 본성에 대한 심오한 통찰과 섬세한 감정의 격랑 때문이리라.

    오태석이 새롭게 연출한 ‘로미오와 줄리엣’(아룽구지 극장 7월1일까지)은 우리 관객들과 만나기 전 독일에서 열린 ‘브레머 셰익스피어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유럽 관객들과 먼저 만나고 돌아왔다. ‘한국적 연극’의 대명사인 오태석이 ‘로미오와 줄리엣’을 서양식 정통극으로 만들었을 리는 없다.

    기본 줄거리는 그대로 따라가지만 인물, 의상, 대사, 몸짓, 소리, 춤 등이 완전히 한국적으로 바뀌어 마치 마당극을 방불케 한다. 원작의 몬테규 가문과 캐플릿 가문은 ‘재너미 문씨’ 가문과 ‘갈머리 구씨’ 가문으로 바뀌었고, 로미오는 ‘문희순’(박희순 역), 줄리엣은 ‘구영남’(장영남 역)으로 불린다.

    ‘러브스토리 원조’ 우리 입맛으로
    북과 칼은 이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과 의미를 담당한다. 북소리는 중요한 계기나 상황의 긴박함을 알리는 음향효과인 동시에, 신분을 감추기 위해 얼굴을 가리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무도회 장면에서는 화려한 소고춤을 펼치기도 한다. 칼은 두 가문의 젊은이들이 지닌 가장 중요한 무기면서 무술 동작을 응용한 칼춤은 한국적인 선의 아름다움과 정제된 형식미를 우아하게 표출한다.

    대사들은 원작의 중요한 대목들을 살리면서도 우리 고유의 3·4조 내지 4·4조의 음률을 수용하였다. 대사 전체가 시적 경지를 뛰어넘어 시조를 읊조리거나 타령조의 노래를 흥얼거리는 형식으로 개편하였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는 서양에서도 사라진 셰익스피어 본연의 시극(詩劇) 형태를 한국적으로 되살린 시도라 할 수 있다.



    오태석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전체적으로 볼 때 대사의 의미보다 청각적 기능에 역점을 두며 오히려 시각적 기호들을 통해 중요한 의미를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은 원작은 잘 알지만 한국어를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유럽 관객들에게 작품을 쉽게 전달하면서도 인상적으로 각인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원작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우리 관객들에게는 줄거리의 비약이 다소 어리둥절하고, 반면에 한국적 형식미를 강조하려는 장면들은 조금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듯. 원작과 달리 오태석은 두 남녀의 죽음 이후에도 두 가문을 끝내 화해시키지 않고 오히려 반목을 가중시킨다. 거기에는 남북 분단의 민족적 비극에 대한 은유까지도 내포해 있는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