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01

..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철새는 물론 곤충·어류·식물 귀중한 보금자리… 홍수 쓰레기 상처는 해마다 되풀이

  •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입력2004-12-17 14:2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하루 수조 원의 돈이 오가는 여의도 증권가. 컴퓨터와 주식 시세판이 도시인의 일상을 옥죄는 빌딩들 사이로 괭이갈매기 한 마리가 하늘을 난다. 갈매기 둥지가 있는 곳은 빽빽이 들어선 빌딩에서 1km도 채 떨어지지 않은 한강의 한가운데다. 달리는 자동차와 넥타이 부대들의 잰 걸음을 지척에 둔 그곳에서 새는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고 먹이를 사냥한다.

    밤섬. 서울 한강 여의도 북쪽 마포대교와 당산철교 사이에 있는 면적 24만 km2의 작은 섬이다. 모양이 밤처럼 생겼다고 밤섬이라고 하는 이 섬은 1968년까지만 해도 뽕밭을 일구며 사람이 살았다. 섬이 한강의 흐름을 방해해 수질오염을 가중시킨다는 이유와 당시 상습 침수지역이던 여의도 땅을 돋우는 데 필요한 흙과 자갈을 푸기 위해 정부는 62가구, 443명의 주민을 이주시켰다. 그렇게 해서 정말 ‘밤톨’만한 크기로 줄어든 섬은 그 후 한동안 버려졌다.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사람이 다시 이 섬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환경과 생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1990년대부터. 이 섬에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원앙 등이 살고 있는데다 해마다 5000여 마리 이상의 겨울 철새가 찾아온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서울시는 99년 8월 이 섬을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지정했다. 이 섬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당국의 허가를 맡아야 한다. 이 지역의 유일한 인공구조물은 섬 위를 가로지르는 서강대교뿐이다.

    빽빽한 여름 수풀 강한 에너지

    홍수가 끝난 지난 8월24일, 취재팀은 한강관리사업소와 두레생태기행의 협조로 밤섬에 올랐다. 곤충·식물·어류 등 각 분야의 생태전문가들로 이루어진 취재팀은 이날 오후부터 저녁까지, 다시 밤부터 다음날 오전까지 2차례로 나누어 답사를 진행했다. 아직 홍수의 영향을 완전히 털어내지 못한 섬의 모습은 안쓰러웠다. 섬 대부분이 물에 잠겨 상류에서 떠내려 온 나뭇조각과 쓰레기들이 곳곳에 상처를 남겼다. 한강관리사업소가 장마 뒤에 실시하는 대청소기간에 모으는 쓰레기만 해마다 10t이 넘는다.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섬의 구석구석에는 박주가리, 환삼덩굴, 능수버들, 물억새 등 다양한 식물이 깊이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빽빽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길이라곤 전혀 찾을 수 없는 수풀을 조심조심 헤치고 나아가면서 베짱이·섬서구·말벌 등 벌레들도 하나하나 발견할 수 있었다. 콘크리트와 시멘트로 뒤덮인 서울의 거리를 피해 씨앗을 틔운 꽃들을 발견할 때마다 취재팀 입에선 탄성이 새어 나왔다.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은 어디나 여름 수풀의 강한 에너지가 가득한 그대로였다.

    “다양한 식물들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해마다 반복하는 홍수가 한 식물이 오래 번식할 수 있도록 두지 않는 것이죠.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50여 종만이 살아남은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팀에 동행한 두레생태기행 김병연 연구원의 이야기다. 이러한 특징은 곤충들도 마찬가지. 도시로 둘러싸인 섬이라는 폐쇄된 생태계에서 어렵게 살아가는 곤충의 종류는 많아야 10여 종. 이들이 완벽한 안식을 즐기기에 섬은 너무 작았다.

    밖에서는 알아차리기 어렵지만 밤섬은 두 개의 작은 섬으로 나누어져 있다. 위 섬과 아래 섬을 가르는 작은 물줄기는 가뭄 때는 무릎을 걷기만 해도 건널 수 있을 정도로 수위가 낮다. “유속이 느린 강가에 조금씩 모래톱이 형성되면서 수초가 자라고, 그 안에 물고기들이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죠. 밤섬이 없었다면 한강에서 지금처럼 많은 물고기들을 발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을 겁니다.” 한국자생어종연구협회 이학영 회장의 말이다. 물고기 사냥을 위해 모래톱에 앉아 기회를 엿보던 왜가리 한 마리가 날개를 퍼덕이며 하늘로 날아올랐다.

    섬에서도 생태적으로 가장 풍부한 환경을 제공하는 이 모래톱에서는 참게가 벗어놓고 간 딱지도 볼 수 있다. 간장에 담아 게장을 만들면 그대로 ‘밥도둑’이 된다는 바로 그 참게다. 바다에서 살다 산란을 위해 민물로 올라온 참게가 이제는 작아진 껍데기를 바위틈에 벗어놓고 다시 강으로 뛰어든 모양이었다. 반대쪽 강가에서 발견한 말조개와 함께 한강 생태계가 온전하던 예전에는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던 생물들이다. 강변을 모두 수직 콘크리트 벽으로 쌓아올린 지금, 이들이 안심하고 알을 깔 만한 곳은 밤섬밖에 남지 않았다. 적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콘크리트에 산란한 알들은 그대로 썩어 버리기 때문이다.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사람 사이에 작은 논란이 일었다. 강가 진흙뻘에서 날갯죽지에 상처를 입은 흰뺨검둥오리 한 마리를 발견한 까닭이었다. 상처에는 이미 벌레가 슬기 시작한 상태였다. 흰뺨검둥오리는 이미 1980년대부터 이곳에 자리잡은 밤섬의 터줏대감. 두레생태모임 김재일 회장은 당장 야생동물구조대를 불러 오리의 목숨을 살려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이들의 생각은 달랐다.

    “상처로 인해 오리가 죽는다면 그 역시 자연의 순환과정입니다. 우리가 애써 살린다면 그 역시 인위적으로 개입하는 거죠. 그를 통해 벌레가 살고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거니까요.” 고려곤충연구소 김정환 소장의 의견이었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원칙인 밤섬이므로 취재팀 역시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요지다.

    김정환 소장의 견해에 따르기로 합의했지만 의문은 끝나지 않았다. 그 작은 새는 과연 자연적으로 상처를 입은 것일까, 아니면 멀지 않은 어느 곳에서 사람의 손에 의해 다친 것일까. 섬 곳곳에는 빗물에 떠내려 온 낚싯줄이 나뭇가지에 걸쳐 엉켜 있었다. 만약 그런 것들 때문에 다친 거라면 구해주어야 옳은 것 아닌가. 어디까지가 인간의 영향이고 어디서부터가 자연의 순환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도시에서 떨어져 그 자체로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지만 역시 도시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밤섬의 딜레마였다.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그다지 큰 섬은 아니지만 없는 길을 헤치고 한발한발 내디디며 섬을 일주하는 데에는 4시간이 걸렸다. 저녁 7시 무렵, 멀리 보이는 아파트 사이로 노을이 지기 시작했다. 완전히 어두워지면 이동이 불가능하리라 판단한 취재팀은 서둘러 강가로 갔다. 이 시간은 물고기들이 기슭으로 나오는 때. 취재팀은 투망을 던졌다. 쏘가리와 점농어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에는 한강변 어디에서나 일광욕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는 자라와 남생이도 지금은 이곳 밤섬에서만 찾을 수 있다.

    주변이 완전히 깜깜해진 밤, 취재팀은 서강대교 교각 옆에 자리를 잡았다. 상판을 뒤흔드는 앰뷸런스 소리와 폭주족의 오토바이 소리가 생생하게 들렸다. 거대한 다리 구조물에 비껴 뜬 노란 초승달이 부옇게 빛나고 있었다. 이따금 유람선과 모터보트가 섬 옆을 스치고 지날 때마다 상상외로 큰 파도가 강가를 덮쳤다. 강물에 떠내려 와 조금씩 쌓이던 흙이 큰 물결 한번에 깨끗이 씻겨 내려갔다. 김정환 소장은 “섬을 위협하는 요소는 한둘이 아니죠. 배, 자동차 매연, 소음…. 그런 것들이 없다면 섬의 환경이 지금보다 낳았으리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현실적으로 방법이 없습니다”고 말한다.

    도시에 포위된 ‘밤섬의 딜레마’

    몸에 뿌리는 방충제까지 준비했으나 모기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한강의 유속이 빨라 모기가 서식하기 어려울 뿐더러 섬 안 곳곳의 웅덩이에 살던 유충들은 지난 홍수에 모두 떠내려 갔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역시 밤섬이 완전한 생태계가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지표였다. 장마철 팔당댐이 방류할 때마다 애써 가꾼 어린 새끼들과 벌레들이 모두 떠내려 가버린다는 점이 밤섬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곤충과 벌레가 제대로 살 수 없다는 것은 먹이사슬의 붕괴로 연결된다. 이들을 먹고 살아야 하는 새들의 수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강북 강변로 가로등이 불을 밝히고 섬을 내려다보는 아파트들에서도 불빛이 넘쳤다. 그렇지만 어느새 달도 진 섬은 칠흑 같은 어둠에 젖어 들었다. 새벽 2시. 참으로 오랜 만에 느끼는 완벽한 어둠이었다. 섬 안 대부분의 생명들은 이미 오래 전에 잠들었지만 수풀 사이로 가끔씩 풀썩대는 소리가 들렸다. 들쥐 등 작은 포유류의 서식은 확인된 바 있다고 김재일 회장은 말한다. 눈으로 확인해 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지만 한치 앞을 확인할 수 없는 어둠이 길을 막았다. 빽빽한 수풀 속에서는 랜턴도 소용이 없다.

    도시는 이제서야 서서히 조용해졌다. 다리 위를 달리는 자동차 수 역시 차츰 줄어들었다. 낮에는 꽤 멀게 느껴지던 강변은 한밤이 되자 한결 가깝게 느껴졌다. 여전히 빛나는 여의도의 네온사인이 손에 잡힐 듯했다. 이렇게 가깝지만 너무나 다른 두 공간. 한적한 시골마을의 밤과 크게 다를 것이 없으리라는 추측은 사실과 달랐다.

    생태낙원 밤섬은 살아 있다
    점점 차가워지는 밤공기를 무릅쓰고 깜박 잠이 든 새벽. 여의도 63빌딩 너머로 동이 트기 시작했다. 아침 안개가 자욱하게 깔린 밤섬의 침묵을 깬 것은 ‘삐익삐익’ 하는 박새의 울음소리였다. 한 마리가 울자 다른 새들도 일제히 울음을 터뜨렸다. 할미새·해오라기·물총새. 시끄러운 서울의 일상이 시작되기에는 아직 이른 시간이었지만, 조율하지 않은 채 하모니를 이루는 새소리가 강을 넘어 도시로 퍼지기에는 너무 작았다.

    늦게까지 잠들지 않던 도시지만 깨어나는 것은 순식간이었다. 멀리 보이는 당산철교 위로 지하철이 달리기 시작하자 서울은 금세 새로운 하루를 맞고 있었다. 서강대교를 분주히 달리는 자동차 소리와 함께 밤섬의 짧은 평온 역시 막을 내렸다.

    “밤섬을 서울의 별천지라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저 도시에서는 살아가기 힘든 생명들의 피난처일 따름이죠.” 동행한 김재일 회장의 말이었다. 사람의 발길을 차단한 것만으로 도시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생태계가 생기리라 믿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라는 이야기였다. 인구 1천만의 콘크리트 도시 서울에 남겨진 손바닥만한 여백 밤섬에는, 한동안 잊고 살던 베짱이와 청개구리, 애기똥풀이 그렇듯 힘겹게 삶을 이어가고 있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