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85

2023.04.14

한국 부자들이 꼽은 향후 ‘투자 대상’은 이것!

[황재성의 부동산 맥락] 국민, 하나, 우리은행이 펴낸 부자 보고서 “주식, 부동산, 예금 순”

  • 황재성 동아일보 기자

    jsonhng@donga.com

    입력2023-04-16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GettyImages]

    [GettyImages]

    모든 사람이 부자가 될 수는 없지만, 부자의 삶은 늘 호기심의 대상이다. 그런 대중의 궁금증을 풀어주고자 매년 적잖은 학술논문과 보고서, 책자가 쏟아진다. 이 가운데 가장 공신력을 인정받는 게 신한·KB국민·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이 매년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부자 보고서다.

    하나은행의 경우 가장 앞서 2007년부터 대한민국 부자들의 자산관리 방법과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해 쌓은 데이터의 양과 질이 웬만한 학술보고서를 압도한다. 이들이 부자 보고서를 내는 이유는 고액 자산가를 대상으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그만큼 분석 내용도 충실한 편이다.

    4개 은행이 각각 차별화를 꾀하면서 각기 다른 부자들의 모습을 발굴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예컨대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4월 9일 발표한 보고서(‘대한민국 웰스 리포트’)를 통해 금융자산 100억 원 또는 총자산 300억 원 이상인 ‘슈퍼리치’를 집중 해부해 눈길을 끌었다.

    매년 말 보고서(‘한국 富者 보고서’)를 내는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22년판에서 전통 부자들의 특징과 함께 부동산 자산 규모를 집중 조명했다. 여기에서 부자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개인 자산가다.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우리은행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해 말 보고서(‘2022년 자산관리 고객 분석 보고서’)에서 ‘경기 변동기의 대중부유층’(이하 ‘대중부유층 보고서’)을 주제로 정했다. 대중부유층은 금융자산 1억 원 이상~10억 원 미만을 보유한 계층이다. 부자(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보유 자산가)보다 연령이 어리지만 디지털에 익숙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신한은행은 2017년부터 매년 4월 무렵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를 발행한다. 3개 은행과 달리 고액 자산가에 국한하지 않고 전체 가구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4월 12일 기준 올해 보고서를 내지 않은 신한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은행의 보고서를 통해 현재 한국 부자의 특징을 살펴본다.

    슈퍼리치, 평균 자산 323억 원 보유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는 지난해 말 리서치 전문업체를 통해 2000여 명을 설문조사하고, 하나은행 PB고객 21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슈퍼리치 인당 평균 총자산은 323억 원이다.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중은 각각 156억 원, 161억 원으로 5 대 5에 가까웠다. 또 금융자산(2022년 말 기준)의 60%는 현금 및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지난해 급격한 금리인상 여파로 국내 슈퍼리치의 자산 규모는 크게 줄었다. 총자산은 2021년 373억 원에서 지난해 323억 원으로 13.4%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에서 큰 손실이 발생했다. 2021년 206억 원에서 지난해 156억 원으로 24.3%가 쪼그라들었다. 반면 금융자산은 2021년 150억 원에서 161억 원으로 7.3% 늘어났다. 슈퍼리치의 연평균 소득은 약 12억 원으로 전년(17억 원)보다 29.4% 줄었다. 보유한 자산을 통해 발생하는 재산소득의 비중이 39%(약 5억 원)로 가장 컸다. 사업소득이 그다음이었고, 근로소득은 사업소득보다 적았다.

    슈퍼리치는 월 소득의 절반 이상을 저축(57%)하고 나머지는 소비(37%)와 대출금 상환(6%)에 사용했다. 직업은 기업 경영자가 29%로 가장 많았고, 의료·법조계 전문직이 20%로 뒤를 이었다. 슈퍼리치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특징은 현금·예금 비중의 증가였다. 전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예금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불확실성에 대비해 현금 보유 비율을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슈퍼리치의 70%는 지난해 금융자산 투자로 이익을 냈고, 10% 이상 고수익을 거둔 슈퍼리치도 15%에 달했다. 향후 투자 대상도 1순위로 주식(29%)을 꼽았으며 부동산(27%), 예금(15%) 순으로 뒤를 이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한국 富者 보고서’는 만 20세 이상이면서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개인 자산가 4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1일부터 7월 19일까지 개별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금융자산이 10억 원 이상인 ‘한국 부자’는 모두 42만4000명, 전체 인구의 0.82%로 추정됐다. 전년(39만3000명)보다 8.0% 늘었지만, 증가율은 전년(10.9%)보다 떨어졌다. 지난해 주가지수 상승세가 꺾이면서 부자 수 증가 속도도 더뎌진 것이다.

    국내 부자, 70%가 수도권 거주

    부자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서울에 절반에 가까운 45.1% (19만1000명)가 살았다. 이는 전년(17만9000명)보다 6.7% 증가한 수치다. 이어 경기(9만4000명), 부산(2만9000명), 대구(1만9000명), 인천(1만3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전체 부자의 70.3%가 집중돼 있는 셈이다.

    2021년 말 기준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 금융자산은 2883조 원으로 전년(2618조 원)보다 10.1% 증가했다. 하지만 증가율은 전년(21.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부자를 자산 규모별로 나눠보면 90.7%(38만5000명)가 ‘10억 원 이상∼100억 원 미만’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자산가’였다. ‘100억 원 이상∼300억 원 미만’의 ‘고자산가’는 7.3%(3만1000명), ‘300억 원 이상’인 ‘초고자산가’는 2.0%(9000명)였다.

    부자의 자산은 부동산과 금융자산에 각각 56.5%, 38.5% 비율로 나뉘어 있었다. 전년(부동산 58.2%, 금융자산 36.3%)과 비교하면 부동산 비중이 줄어든 게 눈에 띈다. 부동산만 보면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 부동산자산은 2021년 말 기준 2361조 원으로 전년(2058조 원)보다 14.7% 늘어났다. 2019년 대비 2020년에 18.6% 증가한 데 이어 2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과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시장의 유동성 증가로 자산 가격이 급등한 데서 비롯됐다.

    한국 부자들의 부동산자산은 크게 개인명의 부동산자산과 부자가 소유한 법인명의 부동산자산으로 나뉜다. 한국 부자 상당수가 기업을 운영해 개인명의와 함께 법인명의로도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 말 기준 한국 부자가 보유한 부동산자산 2361조 원 가운데 개인명의는 56.9% (1345조 원), 법인명의는 43.1%(1017조 원)였다. 2018년 이후 부자의 개인명의와 법인명의 부동산 모두 꾸준히 증가했다.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지난해 말 펴낸 ‘2022년 자산관리 고객 분석 보고서: 경기변동기의 대중 부유층’은 금융자산 1억 원 이상~10억 원 미만 자산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대중부유층의 평균 총자산은 11억5896만 원이다. 이 가운데 금융자산이 2억7591만 원, 부동산 자산이 8억5323만 원, 가상자산을 포함한 기타자산은 2982만 원이다.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은 10억4208만 원으로 집계됐다.

    대중부유층은 자산을 △금융 31.1% △부동산 65.8% △기타자산 3.1%로 나눠 갖고 있었다. 대체로 금융자산의 2배 수준으로 부동산자산을 보유해 눈길을 끈다. 또 자산이 많을수록 부동산 비중이 크고, 금융자산 비중은 작았다. 투자 건당 금액이 큰 부동산이 금융자산보다 자산 증식에 더 많은 기여를 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자산은 △예적금 32.6% △주식 22.6% △수시입출금 18.8% △개인연금 12.9% △저축성보험 7.9% 등이었다. 부동산은 거주용이 72.8%, 거주용 이외가 27.2%였다.

    대중부유층의 연평균 총소득은 세전 1억75만 원이며, 근로소득 비중이 72.1%로 가장 높았다. 이들은 소득 가운데 4638만 원을 저축하고 비소비성 항목에 1552만 원, 생활비와 의료비 등 소비성 항목에 3067만 원을 썼다. 지출액 구성을 보면 저축이 50.1%, 비소비성과 소비성 지출이 각각 16.5%, 33.4%를 차지했다.

    대중부유층의 10년 후 평균 목표 자산은 21억6000만 원이었다. 현재 보유 자산 대비 2.1배 수준으로 자산을 불리길 원하는 셈이다. 목표 자산에 도달할 방법으로 △근로·사업소득(45.5%) △금융상품 투자(24.8%) △부동산 투자(22.7%) 등의 방식을 꼽았다.

    이들은 생애 동안 현재 대비 3.9배의 자산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생애에 최대한 달성할 수 있는 평균 자산은 35억4000만 원이었다.

    황재성 기자는… 
    동아일보 경제부장을 역임한 부동산 전문기자다. 30년간의 기자생활 중 20년을 부동산 및 국토교통 정책을 다루는 국토교통부를 취재했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