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3월 29일 전격 사퇴했다. 정 전 위원장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동반성장에 대한 대통령과 정부, 대기업, 국민의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지금 사직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했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정 전 위원장의 임기는 올해 12월까지였다.
2010년 12월 초대 동반성장위원장에 취임해 의욕적으로 초과이익공유제 등을 제안했지만 번번이 대기업과 정부 반대에 부딪혔던 정 전 위원장은 이날 작심한 듯 비판을 쏟아냈다. 먼저 대기업에 대해서는 “‘초과이익을 협력업체와 공유하는 것은 교과서에도 없다’고 말하고, 비정규직 문제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규제에 대해서는 포퓰리즘이라고 한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와 투자 부진이 한국 경제의 현실이고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에 대해서는 “재벌만을 위한 전경련은 발전적 해체의 수순도 생각해볼 수 있다”며 날을 세웠다. 이어 정부가 ‘시장의 자율’이라는 명목으로 대기업의 부당한 시장 지배력을 방치하는 점도 꼬집었다. “대기업은 동반성장 시늉만 하고 관료는 철 지난 ‘성과 공유제’만 거듭 주장한다”며 “이렇게 동반성장을 왜곡하는 현실에서 동반성장위원회의 합의는 한계를 가진 반쪽짜리”라는 것.
정 전 위원장의 사퇴를 놓고 주위에서는 대선을 준비하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치 참여 가능성에 대해 그는 “우리 사회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필요하다면 그것이 무슨 자리고 어떤 소임이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지만, 대선 출마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잠룡’ 혹은 ‘다크호스’의 잇따른 정치 참여 시사로 기성 정치인들 긴장 좀 하려나.
하이마트는 김우중 차명 재산?
3월 28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하이마트는 1987년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차명 계좌를 통해 설립됐으며, 대우그룹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선종구 하이마트 회장이 이를 가로챈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2002년에도 하이마트가 김 전 회장의 차명 재산이라는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 당시 정주호 전 대우자동차 사장이 “선 회장이 하이마트 차명 주식을 임의로 처분했다”며 고소한 사건에 대해 재판부가 “하이마트는 대우그룹의 위장 계열사”라고 명시한 것. 그러나 정주호 전 사장이 갑자기 소송을 포기했다. 이번 검찰 수사에서 선 회장이 정 전 사장에게 합의금조로 30억 원을 건넨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전 회장이 내지 않은 추징금이 17조 원이 넘는데, 선 회장 지분 국고로 환수될까.
검경 갈등, 지겹다 지겨워

양돈 농가 돼지고기 출하 중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