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헌정기념관 2층 대강당에서 열린 세계 여성의 날 101주년 기념행사. 여성단체들은 4월 총선에서 여성 지역구 공천 30%를 실천할 것을 촉구했다.
4·11 총선에서 지역구에 출마한 여성 후보를 대상으로 평균을 낸 결과다.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에 후보 등록을 마친 여성 후보는 모두 66명. 민주통합당이 21명으로 가장 많고 새누리당 16명, 통합진보당 8명, 무소속 7명, 진보신당 4명이며 자유선진당과 정통민주당이 각 3명씩이다. 이 밖에 국민생각, 녹색당, 기독자유민주당, 국민행복당에서도 각 1명씩 여성 후보를 냈다.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 중에는 국회의원을 지냈거나 현재 국회의원인 정치인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참신한 새 인물을 원하는 유권자들의 요구와는 동떨어진 결과다.
그리고 여성 후보 비율은 각 정당이 약속했던 것보다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당초 30%를 여성 후보로 공천하겠다고 밝힌 새누리당은 지역구에 16명을 공천하는데 그쳐 6.5% 수준에 머물렀고, 지역구 15% 여성 공천을 약속한 민주통합당도 21명을 공천해 8.5% 수준에 그쳤다. 여성 배려 공천은 말뿐인 공약(空約)에 불과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여야 정당은 지역구 여성 후보 공천을 통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로부터 여성추천보조금 명목으로 수억 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받았다.
여성추천보조금은 지역구에 여성 후보를 공천한 정당에 지급하는 것으로, 18대 총선 선거권자 총수에 100원을 곱한 금액을 해당 정당의 여성 후보 공천비율에 따라 배분한다. 18대 총선 의석수를 기준으로 보조금을 먼저 지급하는 규정 덕에 18대 총선에서 반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새누리당은 19대 총선에서 16명의 여성 후보를 지역구에 공천했지만 가장 많은 7억4000여만 원을 지급받았다. 민주통합당도 3억8000여만 원을 받았다. 그러나 다른 정당은 여성 후보가 전체 지역구 총수의 5%에 미치지 못해 보조금 혜택에서 제외됐다.
직업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의 직업은 국회의원과 정당인 등 정치인이 가장 많았다. 여성 후보 66명 가운데 꼭 절반인 33명이 정치인(국회의원 포함) 출신이다. 교육자 출신이 7명으로 그 뒤를 이었고 변호사(3명), 회사원(2명), 의사(1명) 순이었다. 전직도 현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정치인 출신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시민운동가 출신과 법조인, 교수 출신이 뒤를 이었다.
연령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의 평균 연령은 50.1세였다. 최고령은 경남 산청·함양·거창에 출마한 무소속 정막선 후보로 80세고, 최연소는 부산 사상에 출사표를 던진 손수조 새누리당 후보로 27세다.
이들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가 3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40대(19명), 60대(7명), 30대(5명) 순이었다. 30세 미만은 손수조 후보를 포함해 3명이고, 70세 이상은 최고령 정막선 후보가 유일했다.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의 나이는 정당별로 차이를 보였다. 새누리당이 53.1세로 가장 높았고, 민주통합당은 52.6세였으며, 통합진보당은 평균 44.3세로 상대적으로 젊었다.
출신 지역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의 출신 지역은 서울(19명)과 경기(17명)가 전체의 54.5%를 차지했다. 이어 부산, 광주, 경북이 각각 4명씩이었다. 새누리당, 민주통합당에서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출신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8명의 여성을 지역구에 출마시킨 통합진보당은 경기 출신 2명에 광주와 전남 출신 각 2명, 경북과 울산 출신 각 1명씩이었다.
학력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의 학력은 대부분 학사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 이상의 학사 출신이 30명이었으며 석사(14명), 박사(12명) 비율도 높았다.
특히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여성 후보의 학력은 석사 이상이 절반을 넘었다. 새누리당의 경우, 여성 후보 16명 가운데 석사가 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박사 학위를 취득한 여성 후보도 5명이나 됐다. 오히려 학사 출신이 4명에 불과했다. 민주통합당도 석사 출신 여성 후보가 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박사가 5명, 학사가 4명이었다. 반면 통합진보당 여성 후보는 6명이 학사 출신이고, 석사는 1명 있었다.
국가통계포털에 수록된 2010년 자료를 보면 50세에서 54세까지 한국 전체 여성 가운데 4년제 이상 대학을 졸업한 학사 비율은 8.7%에 불과하다. 석사(1.3%)와 박사(0.3%) 비율 또한 턱없이 낮다. 이런 현실을 감안한다면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는 동년배에서도 소수에 속하는 고학력 출신이라고 할 수 있다.
재산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의 평균 재산은 본인 재산만을 기준으로 3억1739만 원이었다. 배우자와 직계존비속의 재산을 합하면 평균 5억9027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 본인 재산이 가장 많은 후보는 정옥임 새누리당 후보로 32억2005만 원을 신고했으며, 재산이 가장 적은 후보는 김선아 진보신당 후보로 마이너스 4570만 원이라고 밝혔다.
정당별로 여성 후보 간 재산 격차는 컸다. 보수 성향의 새누리당과 자유선진당 여성 후보의 본인 평균 재산이 10억 원대인 것에 비해 민주통합당은 4억5986만 원이었고, 통합진보당은 4239만 원에 불과했다.
존경하는 인물
지역구 출마 여성 후보들은 존경하는 인물로 김구(4명)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수상(3명)을 꼽아 눈길을 끌었다. 여성 정치인의 롤모델로 같은 여성 정치인을 염두에 둔 셈이다.
다만 출신 정당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새누리당에서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 고(故) 김수환 추기경,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을, 민주통합당에서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존경하는 인물로 꼽은 여성 후보자가 각 2명씩이었다. 이 밖에도 노동운동가 전태일 열사와 고 문익환 목사, 고 김근태 전 의원을 꼽은 여성 후보도 있었다.
자녀
기혼 여성 후보 중에는 슬하에 1남 1녀를 둔 경우가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