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처를 무사통과한다면 협상을 재가해야 하는 청와대의 의중이 관심 대상이 된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계속해서 제기돼온 이전 협상의 문제점을 진지하게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지난해 11월 협상과 관련해 자체 조사를 벌인 바 있는 데다 협상 과정에서 실질적인 지침을 작성해왔음을 감안하면, 청와대가 독자적으로 협상 결과를 뒤집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중론이다. 다음으로 넘어야 할 고개는 7월22일 여야 국회의원 63명이 청구한 감사원 감사다. 올 9월 정기국회에서 감사청구안이 통과될 경우 이전 협상 관련 실무자들은 지난해 11월 청와대 자체 조사에 이어 또 한 번 전면적인 채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 역시 이전 비용의 한국 부담 원칙이 적정했는지 여부와 이와 관련한 협상팀의 대응 방식에 문제는 없었는가에 감사의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대략 2~3개월가량 진행될 감사가 마무리되면 UA는 국가예산 사용에 대한 최종심의권을 갖고 있는 국회의 비준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이전 협상을 둘러싼 각 정당의 분위기를 살펴보면 이 또한 순탄치 않을 공산이 크다.
이러한 ‘다단계’ 검토 과정에서 일부 시민단체에서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협상과정에 ‘결정적인 오류’가 발견될 경우 현재의 외교·안보 라인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또한 법적인 절차와 별도로 언론과 시민사회, 특히 수백만평 규모의 추가 부지를 제공해야 하는 오산·평택 현지 주민들의 문제제기와 반발도 국방부를 비롯한 기지 이전 주무 부처로서는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