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결정은 너무 늦었습니다. 기자는 ‘주간동아’ 781호 ‘배보다 배꼽이 큰 10원 경매’ 기사에서 이런 사실을 들어 피해자 구제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3월 말 기자가 직접 10원 경매에 참여해보니 딱 속기 좋았습니다. 피해를 호소하는 10대 청소년도 줄을 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공정위 관계자는 “약관에 충분히 고지해 문제 삼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도 “사행성 행위로 볼 수 없다”며 손을 뗐습니다. 관계 기관이 방치하는 사이 ‘10원 경매’ 사이트는 10원 경매 성공 요령을 알려준다며 열심히 호객 행위를 했습니다.

양천경찰서 수사 결과를 보면서 “수사기관이 수사만 하면 곧 조작이 밝혀질 것”이라던 전자상거래센터 관계자의 말이 생각났습니다. 뒤늦은 경찰 수사에 박수를 보내지만, 조금만 더 빨랐더라면 애꿎은 경매 참가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듯싶어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