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에 사는 청년도 그랬습니다. 정돈된 침대와 성능 좋아 뵈는 컴퓨터가 놓인 그의 방 여기저기엔 피우다 만 담배가 수북했습니다. 고등학교 중퇴 이후 서른두 살이 될 때까지 집에서 무위도식하고 있다는 그에게선 어떤 삶의 의지도 엿보이지 않았습니다. 노부모가 더 답답해했습니다. “일이라곤 도통 하려고 들질 않으니… 속이 바짝바짝 타요.”
광진구에 사는 50대 또한 대낮인데도 집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별다른 직업 없이 살다 보니 그 나이가 됐다는 그는 2년 전에 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활용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서울이 아니라 시골에 가서 일해야 하기 때문에 이도저도 못한답니다. 홀어머니가 암 수술을 받은 터라 돈벌이가 급한 형편인데도 지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 현재 실업자는 90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만1000명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제가 만난 ‘일할 의지가 없는 사람’은 실업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다는 ‘투명인간’이니, 이들까지 합하면 그 수는 엄청날 겁니다. 19세가 되면 받아주는 곳이 없어 집에 ‘갇혀’ 있어야 한다는 지적장애인의 삶. 많은 非장애인도 그런 삶을 살아가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