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1월 5일(이하 현지 시간) 북한군과 첫 교전을 확인하면서 한 말이다. 이른바 북한 ‘폭풍군단’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순간이다. 우크라이나 국방부와 미국 정부는 북한군 1만여 명이 러시아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 중 상당수는 러시아 쿠르스크 등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은 최근 러시아 장갑차가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보병들을 내버려둔 채 철수하는 장면이 담긴 드론 영상을 공개했다(사진3 참조). 해당 영상에서 보병들은 장갑차 주변에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11월 5일 미국 고위 당국자가 “(우크라이나군과 교전으로) 상당수 북한군이 사망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유력 언론인 안드리 차플리엔코는 11월 5일(이하 현지 시간) 텔레그램에 “쿠르스크 지역 북한군의 최초 동영상”이라는 글과 함께 3건의 영상을 올렸다. 차플리엔코가 공개한 영상에는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병사들이 러시아 군복 차림을 한 채 러시아 교관을 따라 “약하다”라는 뜻으로 추정되는 러시아말을 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텔레그램=뉴시스]](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7/2d/52/33/672d52331665d2738276.jpg)
우크라이나 유력 언론인 안드리 차플리엔코는 11월 5일(이하 현지 시간) 텔레그램에 “쿠르스크 지역 북한군의 최초 동영상”이라는 글과 함께 3건의 영상을 올렸다. 차플리엔코가 공개한 영상에는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병사들이 러시아 군복 차림을 한 채 러시아 교관을 따라 “약하다”라는 뜻으로 추정되는 러시아말을 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텔레그램=뉴시스]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 BTR-82 장갑차가 보병을 내리게 한 뒤 철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보병들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 제공]](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7/2d/52/6a/672d526a012ad2738276.jpg)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 BTR-82 장갑차가 보병을 내리게 한 뒤 철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보병들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 제공]
![국가정보원이 10월 18일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 인근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 발사장에서 러시아군복 장을 한 채 활동 중인 북한군 추정 인물(왼쪽 사진의 오른쪽) 사진을 공개했다. 이 인물은 지난해 8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술미사일 생산 공장을 방문했을 당시현 장에 있었던 미사일 기술자로 추정된다. [국가정보원 제공]](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7/2d/52/6d/672d526d0203d2738276.jpg)
국가정보원이 10월 18일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 인근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 발사장에서 러시아군복 장을 한 채 활동 중인 북한군 추정 인물(왼쪽 사진의 오른쪽) 사진을 공개했다. 이 인물은 지난해 8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술미사일 생산 공장을 방문했을 당시현 장에 있었던 미사일 기술자로 추정된다. [국가정보원 제공]
![10월 18일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 병력이 러시아 훈련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공개됐다. 사진은 러시아 매체 ‘시레나’의 X(옛 트위터) 계정 영상을 캡처한 것이다. [뉴스1]](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7/2d/52/c4/672d52c40fc3d2738276.jpg)
10월 18일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 병력이 러시아 훈련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공개됐다. 사진은 러시아 매체 ‘시레나’의 X(옛 트위터) 계정 영상을 캡처한 것이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