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작가의 음담악담(音談樂談)

읽지 말고, 듣고 불러 봐야 안다는 ‘참 좋은’ 가사

이주엽의 ‘이 한 줄의 가사’를 읽고

  • 대중음악평론가 noisepop@daum.net

    입력2020-03-18 11:25: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 한줄의 가사 표지‘. [열린책들]

    ’이 한줄의 가사 표지‘. [열린책들]

    고백컨대, 음악을 들을 때 가사는 언제나 뒤에 들어오곤 했다. 멜로디와 리듬, 사운드가 먼저였다. 음악에 빠져들게 된 게 서구의 팝과 록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또는 한국 영화에서 대사가 종종 그러하듯, 한국어로 노래하는 이들의 발음이 뭉개질 때가 많아서 일 수 있다. 

    그게 아니면 부르기 보다는 듣기만 했던 습관 때문일 수도 있다. 글이 아닌 말로서의 단어와 문장들, 그게 가사니 말이다. “가사는 지면이 아니라 허공에서 명멸한다. 써서 읽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부르는 것이다. 입에서 입으로 떠도는 운명이다. 읽지 말고, 듣고 불러 봐야 안다. 그게 얼마나 좋은 가사인가를.”

    노랫말 평론의 탄생

    이주엽 작가. [열린책들]

    이주엽 작가. [열린책들]

    전 한국일보 기자이자, JNH뮤직 대표이며, 말로의 ‘벚꽃지다’ 작사가인 이주엽의 첫 책 ‘이 한 줄의 가사’ 서문의 일부다. 문학적이며, 선언적이며, 함축적이다. 

    노래건 책이건 제목만으로도 솔깃하게 만드는 게 당연한 시대에, 이 투박한 제목의 책은 어느 시대인가에 탄생하여 모든 시대에 사랑받은 한국 대중음악의 가사를 이야기한다. 가사에서 담긴 이야기와 메시지를, 아포리즘에 가까운 문장으로 풀어 놓는다, 

    노래 가사에 대한 책은 적지 않다. 문학의 관점에서 풀어 놓은 책들이 있고,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풀어 놓은 책들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의 방법론을 동원하여 분석한 책도 있다. 본인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 ‘김이나의 작사법’은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가 됐다. 



    ‘이 한 줄의 가사’는 그동안의 가사 분석, 또는 가사 비평과는 다른 결을 가지고 있다. 2016년 그가 ‘이 노래를 듣다가’라는 제목의 노랫말 칼럼을 연재하기 시작했을 때 많은 이들이 놀랐다. 흔한 칼럼이 아니었다. 문학청년의 에세이이자 짧은 분량 안에 서정의 서사가 꿈틀거리는 글의 향연이었다. 

    책은커녕, 연재조차 한 적 없는 그를 지면에 데뷔시킨 조선일보 한현우 논설위원은 그의 글을 두고 “시인이야 시인, 가사 쓰는 거 보고 아마도 잘 쓸 것 같아서 청탁했는데 아주 흙속의 진주였다. 문학평론과 음악평론의 사이에서 노랫말 평론이란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고 말했다. 연재 당시 원고에 해당 노래가 실린 앨범에 대한 글을 덧붙여 ‘이 한 줄의 가사’라는 책이 됐다.

    니들이 노랫말을 알어?

    송창식(왼쪽). 양희은. [죠이커뮤니케이션, 전영한 동아일보 기자]

    송창식(왼쪽). 양희은. [죠이커뮤니케이션, 전영한 동아일보 기자]

    책의 첫 노래로 다뤄지는 밥 딜런의 ‘Mr. Tambourine Man’은 ‘노래의 운명’이라는 별도의 장으로 묶여 있다. 여기서 이주엽은 이렇게 말한다. “시가 노래로 성공적으로 안착한 예는 드물며, 많은 시도들이 어색한 실패로 끝났다. 시와 노래가 원래 한 몸이었을지 모르나, 둘은 이미 너무 오래전에 헤어졌기 때문이다.” 그 반례가 밥 딜런이다. “그의 가사는 종이가 아니라 허공 속을 떠돌 때 주술성을 얻을 수 있다. 노래의 운명은 그런 것이다. ‘순간의 영원’속에서 어디론가 떠나거나 사라지거나.”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소환해 노래와 시의 운명에 대한 성찰을 마친 후, 책은 곧바로 3개장으로 나뉜다. 시대 상황이 담겨 있는 노래를 모은 ‘그때, 우리는’, 멋진 사랑 노래에 대한 ‘사랑은 짧고 슬픔은 길다’, 인생에 대한 ‘삶은 계속 된다’. 그러나 각 장이 완전히 떨어져 있는 게 아니라 서로 얽히고설킨다. 시대와 사랑과 인생이 애초에 개별적 존재가 아니 듯, 이주엽이 건져 올린 노래는 대게 그것들의 삼위일체다. 

    아니, 그런 인위적 구분 자체가 무의미하다. 모든 에피소드는 직관적인 문장으로 시작한다. “협잡과 추문이 들끓는 이 환멸의 시대에 정좌하고 정태춘의 ‘북한강에서’를 듣는다. 인간의 욕망은 영원히 삿되고 비루할 뿐인가?”(정태춘 ‘북한강에서’) “김현식은 영혼의 화약고다. 불꽃만 튀면 언제든 터져 버릴 것처럼, 그의 노래는 위험하고 불안한 기운으로 가득하다.”(김현식 ‘넋두리’) “사랑은 짧고 슬픔은 길다. 생의 대부분은 그 짧았던 사랑의 후일담이다. 사랑은 생의 가장 높은 곳까지 치솟았다가 슬픔의 가장 깊은 바닥으로 떨어져야만 하는 비극적 운명에 닿아 있다.”(양희은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보이는 데로 몇 개만 추려도 이렇다. 페이지마다 밑줄을 긋고 싶은 문장이 넘쳐흐른다. 힘과 성찰이 가득한 문장으로, 가사의 단어와 단어 사이에 숨어있는 의미를 고고학자처럼 발굴하고, 3분 내외에 담지 못해 생략된 서사를 도슨트(전문안내인)처럼 해설한다. 

    “송창식의 노래로 천년 고찰 선운사는 종교 문화적 공간에서 새로운 심미적 공간으로 바뀌었다. 노래가 우리 가슴으로 들어온 후, 동백은 이전과 다르게 피고 진다.”(송창식 ‘선운사’). 선운사로 가는 차표를 끊고 싶다. 동백이 보고 싶다. “춘천 가는 기차의 최종 목적지는 춘천이 아니라 ‘오월의 사랑’이다. 그 사랑은 잃어 버렸으므로 끝내 닿을 수 없으리라. 마음의 미로를 따라 헤매야만 하는 춘천은 아름다운 신기루다.” (‘김현철 ‘춘천 가는 기차’) 김현철이 이 문장을 읽는다면 어떤 표정을 지을까.

    예술이 된 ‘라떼는 말이야’

    김현철(왼쪽). 1985년 들국화 1집 앨범. 왼쪽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전인권 조덕환 최성원 허성욱 [홍진환 동아일보 기자, 동아기획]

    김현철(왼쪽). 1985년 들국화 1집 앨범. 왼쪽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전인권 조덕환 최성원 허성욱 [홍진환 동아일보 기자, 동아기획]

    시대 순으로는 윤심덕의 ‘사의 찬미’부터 혁오의 ‘Tomboy’까지 다루지만 대부분은 1964년생인 저자가 청춘 시절에 들었을 노래다. 대부분 한 시대에 존재를 깊이 새긴 노래다. 1970-80년대에 태어난 노래가 주를 이룬다. 저자와 함께 나이를 먹었고, 그 만큼 저자의 마음속에서 숙성된 후, 훌륭한 문장을 입고 이 책에 자리 잡았다. 

    그리하여 그 노래들은 절로 지나간 것에 대한 아쉬움을 후일담처럼 남길 수밖에 없다. “뜨겁고 눈물겹던 청춘의 한낮은 오래전에 지나갔다. 그리운 맹목과 치정의 한때였다. 나아가지만 정처 없던 청춘은 길을 찾았을까.” 

    들국화의 ‘행진’을 마무리 짓는 이 문장은 이 책을 가로 지르는 핵심 정서다. 저자는 끊임없이 구도자적 질문을 던지고 무상의 숨결을 내뱉는다. 그리하여 노랫말은 잠언이 되고 온기 있는 회한이 된다. 

    송창식의 ‘고래사냥’을 끝맺는 문단이다. “청춘의 꿈은 푸르고 비리다. ‘가슴에 하나 가득 슬픔뿐’이던 뜨거운 신파, 날것의 청승 안에서 머무른 한 시절이 있었다. 아, 헛된 꿈과 사랑, 그 앞에서 속수무책이던 세월이여, 잘 가거라.” 

    문재(文才)가 숙성되면 ‘라떼는 말이야’도 예술이 된다. 이보다 훌륭한 음악비평서를 찾을 수야 있겠지만, 이토록 적나라한 미문과 직설이 교차하는 음악책을 나는 본 적이 없다. 앞으로도 만나기 힘들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