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서비스를 시작한 스포티파이. [사진 제공 · 스포티파이]
차트가 없다, 사용자 취향에 맞춘 추천뿐
스포티파이의 다양한 큐레이션. [사진 제공 · 스포티파이]
국내 음원 사이트는 이를 이용해 실시간 차트를 전면에 노출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인기곡일수록 더 많이 듣는다는 심리를 이용해 사실상 차트에 있는 음악만이 존재하는 생태계를 만든 것이다. 지난 몇 년간 멜론의 실시간 차트에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이유다. 음원 사재기 논란이 수면에 떠오른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멜론을 비롯한 여러 음원 서비스는 차트를 전면 노출시키는 정책을 버렸다. 그 대신 사용자를 위한 큐레이션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플로(SK텔레콤), 바이브(네이버) 등이 먼저 주도했고 부동의 국내 시장 1위인 멜론도 최근 모바일 버전 메인에서 차트를 내렸다. 이런 환경을 처음 선보인 것이 스포티파이다.
스포티파이 메인 화면에는 차트가 없다. 새로 발매된 곡조차 없다. 오직 추천, 추천, 그리고 추천이다. 최근 들은 아티스트의 음악이 있는 플레이리스트 목록, 그리고 매일 생성되는 ‘데일리 믹스’ 등이 제공된다. 무엇보다 어떤 곡을 검색해 재생하면 자동으로 다른 곡이 재생되는데, 이 기능의 정확도가 엄청나게 뛰어나다. 멜론, 바이브 같은 국내 서비스는 물론이고, 애플뮤직보다 사용자 취향에 맞춘 큐레이션이 탁월하다. 취향의 겉을 스캐너로 훑고, 속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듯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렇다. 방탄소년단의 ‘Dynamite’를 틀었다. 다음 곡으로는 역시 방탄소년단의 ‘내 방을 여행하는 법(Fly To My Room)’. 어지간한 서비스라면 아마 다른 케이팝 그룹의 노래가 이어질 테지만 스포티파이의 선택은 핑크 스웨츠의 ‘At My Worst’로, 처음 듣는 곡이지만 흐름을 잘 탄다는 느낌이 든다. 마치 장안의 이름난 음악다방 디제이가 틀어주는 선곡 같다. 국내외 모든 음악 서비스를 사용해봤지만 이렇게 취향을 직격하는 서비스를 써본 적이 없다. 스포티파이를 1년 동안 이용하면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하게 어울리는 노래들을 산더미처럼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신묘한 큐레이션이 가능한 이유는 스포티파이가 일찌감치 큐레이션 쪽에 사활을 걸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2014년 빅데이터 연구기업인 에코네스트를 인수했다. 에코네스트는 2005년 창립 이래 꾸준히 큐레이션 기술을 연마해왔다. 수천만 곡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해 음악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구분한다. 추천 엔진은 멜로디의 구성과 리듬 같은 기본적인 유사성을 분석하고, 음악과 가수에 대한 전문가 및 대중의 반응까지 데이터화했다. 가사 특성도 분석한다.
따라서 장르는 물론 사운드의 특징, 청취자가 언급한 다른 음악 등을 종합해 큐레이션한다. 그러니 같은 분위기를 가진 음악이라도 가사 성향이 다르다면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 ‘비 올 때 듣기 좋은 음악’ ‘일요일 오후에 듣기 좋은 음악’ 같은 안일한 플레이리스트가 스포티파이에 없는 이유다. 장르와 계보 같은 전통적 분류법으로 묶인 플레이리스트도 다른 서비스보다 훨씬 구체적이다. 곡을 쭉 나열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마이닝을 기반으로 청취자에게 최적화된 재생 순서로 곡을 들려준다.
아이유와 지코 없이도 보여준 메기효과
스포티파이는 한국 음원업계에 어떤 파장을 불러일으킬까. 약간의 확신을 섞어 예상하면 미미할 것이다. 국내 음원 유통 업체들의 견제와 해외와는 다른 환경 때문이다. 아이유, 지코 같이 국내시장에서 절대적 힘을 가진 음악인들의 유통을 맡고 있는 카카오M을 비롯해 유력 음원 유통사는 2016년 애플뮤직이 한국에 진출했을 때 자사 음원을 공급하지 않았다. 애플뮤직 측이 요율배분을 자사 기준으로 강요한 이유가 컸지만, 결론적으로 애플뮤직은 한국에서 반쪽짜리 서비스가 됐다. 지금도 국내시장 점유율이 1%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스포티파이도 크게 다르지 않다. 국내 업체와 꽤 오랜 시간 협상을 거쳤음에도 카카오M, 지니뮤직에서 유통하는 음원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스포티파이 측은 주요 업체들과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선출시-후협상 전략을 택했지만 전망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국내와 해외의 요율 차이 때문인지, 광고 기반 무료 버전도 제공되지 않는다. 오직 3개월 무료 이용 후 유료 구독만 가능하다.
그럼에도 스포티파이가 국내 출시 전부터 메기효과(막강한 경쟁자가 다른 경쟁자들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보여준 건 분명하다. 국내 진출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음원 사이트가 차트 기반에서 추천 기반으로 바뀐 것이 이를 보여준다. 음악 환경에서 ‘남이 듣는 음악’이 아니라 ‘내가 듣고 싶은 음악’으로 청취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것만으로도 시장 쏠림 현상이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넷플릭스의 한국 진출 후 우리가 목도했듯 시장 주도권이 플랫폼에서 콘텐츠로 넘어갈 수 있지 않을까. 스포티파이 국내 진출에 거는 기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