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11

..

LA 뒷골목에 흐르는 영혼의 선율

조 라이트 ‘솔로이스트’

  • 심영섭 영화평론가·대구사이버대 교수 chinablue9@hanmail.net

    입력2009-11-13 09:5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LA 뒷골목에 흐르는 영혼의 선율
    뉴스는 살아남지만 페이퍼는 죽어가는 시대.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칼럼 소재를 찾아 동분서주하던 기자 스티브 로페즈(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어느 날 자전거를 타다 넘어져 얼굴에 커다란 상처를 입는다.

    그리고 바로 그날, 길거리의 특별한 노숙자를 만난다. 지나가는 트럭의 엔진 소리를 베이스 삼고, 소프라노 같은 창녀들의 신음을 반주 삼아 두 줄짜리 바이올린을 켜는 사나이.

    손가락이 부서지고 얼굴에는 멍 자국이 가득한 기자와,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줄리어드 음대 출신의 노숙자 나다니엘(제이미 폭스)은 미국 서부의 중심 로스앤젤레스 한 귀퉁이에서 그렇게 조우한다.

    기자인 로페즈는 직감했을 것이다. 홈리스에다 흑인인 나다니엘의 특별한 상품성에 대해. 그러나 ‘오만과 편견’ ‘어톤먼트’를 만든 영국 출신의 감독 조 라이트는 실화를 영화화한 ‘솔로이스트’에서 넋 나간 천재에 방점을 찍기보다, 정신분열증과 마약 상용자가 우글거리는 ‘천사의 도시’ LA에 오히려 방점을 찍는다.

    LA의 모던한 이미지 속에서 마약과 비만, 인종차별로 찌들어가는 미국의 비극적 모순 자체를 정면으로 비판한 것. 나다니엘의 영혼에 대해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로페즈는 변화한다. 아내와 이혼하고 혼자 고독하게 살던 그 역시 나다니엘처럼 일종의 솔리스트였던 셈.



    변변한 악기 하나 못 다루던 로페즈는 나다니엘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과 인간 내면의 열정, 뇌가 부서지고 육신이 좀먹어도 남아 있는 예술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을 목도한다. 또한 로페즈는 나다니엘이 자신에게 욕을 하고 거칠게 대해도 병마가 앗아가지 못한 그의 과거를 점차 이해한다.

    음악의 열망을 가지고 들어간 줄리어드가 단지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나다니엘의 영혼에 얼마나 큰 생채기를 냈는지를. 1970년대 인종 갈등의 격동기에서 미국의 변방에서 뉴욕으로 유학 온 흑인 청년 나다니엘이, 그것도 백인들이 득시글한 대학에서 느꼈을 소외감과 외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터.

    조 라이트 감독은 약물, 복지, 종교, 도덕 같은 거대한 시스템의 틀이나 연민과 동정 같은 감정적 정화 대신 우정과 연대라는 단어를 선택했다. 그래서 이 영화의 절정은 나다니엘의 아름다운 독주 선율이나 바흐의 무반주 첼로 음악 그 자체에 있지 않다.

    오히려 우주를 떠도는 완전한 솔로이스트이던 두 사람이 우정과 선의라는 궤적 아래 서로에게 서서히 스며드는 협주의 과정이 정밀한 채색화처럼 아름답다. 감독은 한두 번 쓰고 말 전시성 소모품으로 노숙자를 대하기보다 나다니엘을 바라보는 로페즈의 인식 변화를 통해, 있는 그대로의 홈리스 세계에 들어가보라고 관객을 LA 한복판으로 떠미는 것 같다.

    특히 천사의 도시라는 말이 무색하게 광기와 비정상으로 얼룩진 LA 뒷골목에서 나다니엘과 로페즈가 함께 밤을 지새우는 장면, 홈리스들의 누더기 위를 서정적으로 카메라가 날아다니고, 그 위에 “우리를 악에서 구하시고 그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영원히”라는 나다니엘의 목소리로 주기도문이 흘러나오는 장면은 가히 이 영화의 압권이다.

    화면 한가득 클로즈업 되는 나다니엘의 얼굴에는 세속을 초월한 검은 천사의 눈빛이 어른거린다. 그래서 부질없는 생각을 하게 된다. LA 길거리에 그토록 많은 집 없는 천사들이 굴러다니는 것이 다 ‘천사의 도시’라는 이름 때문은 아닐까 하고.

    결국 솔로이스트는 해피엔딩의 시원함보다는 두 사람의 조우 이후에도 계속되는 아득한 우정의 연대기에서 담담하게 끝을 맺는다. 나다니엘과 동생, 로페즈와 그의 전처가 나란히 앉아 음악을 듣는 객석. 음악이 삶을 바꾸고,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자존감을 높이고, 표현의 수단이 돼 지구상에 다른 인종, 다른 사람들을 결합하는 장소에서 문득 카메라는 발길을 멈춘다.

    영화는 깨닫게 한다. 심장의 두근거림이 재즈가 되고, 쉴 새 없이 요동치는 맥박이 가장 중요한 메트로놈이 되는 인간 자체가 바로 거대한 악기, 신의 지휘를 받는 생의 연주자라는 것을. 조 라이트는 영혼의 오선지를 활보하는 숨 가쁜 별이야말로 인간과 인간의 내면이라는 점을 잘 조율된 장인의 솜씨로 섬세하게 연주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