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35

..

불후의 동양고전 ‘삼국지’의 변신

  • 노만수 서울디지털대 문창과 교수

    입력2008-05-08 11:1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불후의 동양고전 ‘삼국지’의 변신

    영화 ‘왕의 부활’에서 조조의 손녀 조영으로 분한 매기 큐. ‘왕의 부활’은 ‘삼국지’가 얼마나 변화무쌍한 콘텐츠인가를 알려주는 사례다.

    서양의 초대형 베스트셀러가 ‘성경’이라면, 동양은 단연 ‘삼국지’다. 고려 말 중국어 교과서인 ‘노걸대’에는 고려 상인이 원나라의 대도(북경)에서 ‘그림책 삼국지’를 사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나관중의 ‘삼국지’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사들에 의해서였다.

    이후 판소리 ‘적벽가’를 비롯해 박종화 김구용 이문열 황석영 김홍신 등의 작가들이 번역한 삼국지, 고우영과 왕흔태의 만화 삼국지, 코에이의 게임 삼국지 등 삼국지는 ‘원 소스 멀티유스(One Source Multi Use)’를 계속하고 있다. 알다시피 우리가 읽고 있는 ‘삼국지’의 태반은 명나라의 나관중이 쓴 소설 ‘삼국지연의’로, 청나라 강희 연간(1662~1722)에 모종강이 다시 읽기 쉽게 재편집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한국보다 이른 에도 시대(1692년)에 이탁오본을 번역 저본으로 삼은 ‘통속 삼국지’가 나왔다. 메이지 시대에는 화가 가쓰시카 다이토가 400여 장의 그림을 그린 ‘회본(繪本) 통속 삼국지’가 출판돼 인기를 끌었다. 일본의 전통 연극인 가부키의 대표적 공연목록인 가부키 18번 안에도 관우가 있고, 2000년 상연한 ‘슈퍼 가부키 신삼국지’에서는 여자 유비가 관우의 애인으로 나와 세간을 놀라게 했다.

    중국에서는 동진(東晉, 317~420)의 습착치가 쓴 ‘한진춘추(漢晉春秋)’와 당나라 초기의 대각화상이 편찬한 ‘사분율초비(四分律律批)’에 ‘제갈공명이 산 중달을 쫓은’ 일화 등이 소개돼 있다. 또 시인 두보 이백 두목 호증 이상은 등이 삼국지를 소재로 시를 썼으며 송·원대에는 이야기꾼의 ‘설화(說話)’와 연극·설창문학(노래와 대사로 구연) 삼국지, 그림책인 ‘삼국지 평화(評話)’ 등이 시대를 풍미했다.

    그러다가 명나라 초기, 나관중이 전대의 모든 이야기와 민간설화를 바탕으로 한 ‘삼국지연의’를 완성했다. 현존하는 삼국지연의 텍스트 중에 가장 먼저 간행된 것은 명나라 홍치 7년(1494)과 가정 원년(1522)의 서문이 붙은 ‘삼국지통속연의’다. 연의란 서진(西晉)의 진수가 285년 편찬한 정사 ‘삼국지’를 통속적으로 연의(演義·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소설)했다는 의미다. 장대기(蔣大器)는 가정본 서두에서 나관중이 진수의 삼국지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을 취사선택해 ‘삼국지통속연의’을 지었는데, 문장이 속되지 않으며 사실을 기록해서 본연의 모습에 접근했다고 평가했다.



    소설·만화·게임 등으로 다양한 진화

    이렇듯 삼국지는 다양하게 변신을 거듭하면서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이 경영학석사(MBA) 교과과정에 ‘삼국지 경영학’을 넣었고, 한국에서는 ‘삼국지 처세학’ ‘삼국지 경영학’ 등 소설 삼국지를 다른 분야에 응용해 실용화하는 방식이 유행이다. 영화 ‘용의 부활’ 또한 ‘판타지 삼국지 외전(外傳)’ 형식으로 삼국지가 얼마나 변화무쌍한 문화 콘텐츠인지를 보여준다.

    조자룡(유덕화 분)은 촉나라 유비군에 사병으로 지원해 동향 출신인 나평안(홍금보 분)을 만나 그를 형님으로 모신다. 한낱 졸개에 불과한 조자룡은 봉명산 전투의 공을 고향 형님에게 돌리고, 유비의 가족을 안전하게 호위하지 못한 나평안을 살리기 위해 장비, 관우와 무술 대결을 펼치는가 하면, 장판파에서 필마단기(匹馬單騎)로 조조군 1만명을 뚫고 유비의 아들 유선을 구해 명성을 떨친다. 이때 조조의 손녀 조영(매기 큐 분)은 위나라 정예군이 단 한 명(조자룡)에게 농락당하는 것을 보고 분을 삭이지 못한다. 시간은 흘러 노장(老將) 조자룡은 관우의 아들 관흥, 장비의 아들 장포와 함께 북벌에 오른다. 하지만 바로 그 봉명산에서 조영에게 장렬한 최후를 맞는다.

    물론 원작 소설 삼국지의 내용은 영화와는 다르다. 조자룡은 원래 공손찬의 부하였다가 장군 신분으로 유비를 주군으로 모셨으며, 전장이 아닌 침대에서 죽었다. 관우, 장비의 아들들도 아버지들과 함께 최후를 맞이했고 여장부 조영은 원래 남자다.

    하지만 나관중의 삼국지 또한 ‘칠실삼허(七實三虛)’라고 한 청나라 사학자 장학성의 말마따나 ‘삼국지’(진수), ‘후한서’(범엽), ‘자치통감’(사마광) 등과는 다른 내용이 부지기수다. 그래서 중국의 4대 역사학자로 평가받는 여사면은 ‘삼국사화(三國史話)’에서 나관중의 삼국지는 단지 문학일 뿐 결코 역사가 아니라고 단언한다. 중국학자 이전원·이소선도 ‘삼국지고증학’(청양)에서 나관중 삼국지의 허구를 밝힌다. 예컨대 제갈량이 가장 서둘렀던 일은 ‘북벌’이었기 때문에 맹획을 칠종칠금(七縱七擒)할 여유가 없었다고 지적한다.

    더 나아가 소설가 장정일은 소설 ‘삼국지’(김영사)에서 도원결의, 초선의 미인계, 적벽(赤壁)에서의 연환계 따위는 정사에 있지도 않다면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는 ‘칠허삼실(七虛三實)’일 뿐이라고 한다. 또한 나관중·모종강본은 중국에서 읽히고 있는 숱한 판본들 가운데 하나이고, 삼국지에 나관중본이나 모종강본 같은 정본이 있다는 원전중심주의는 허구라고 한다. 소설 삼국지를 역사적 사실로 믿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장정일은 한족의 나라였던 송나라 주자의 ‘통감강목’이나 명나라 나관중의 삼국지가 지닌 옹유반조(擁劉反曺·유비를 옹립하고 조조를 깎아내리는)의 촉한정통론, 한족 중심의 왕조를 미화하는 복한주의(復漢主義)를 넘는 삼국지를 새롭게 썼다고 한다.

    역사적 사실보다 소설적 각색?

    예컨대 제갈량의 재기와 인덕을 돋보이게 하는 ‘칠종칠금’ 일화는 제갈량으로 상징되는 한족의 품성과 도덕적 감화를 찬양하며, 이 같은 중화주의를 통해 동아시아의 소수민족들을 훈시하는 ‘소설적 각색’이지 역사적 사실은 아니라고 한다. 오히려 맹획이 끝까지 저항했기에 제갈량은 남만(南蠻)의 자치권을 인정하고 본국으로 떠났다면서, 맹획의 주체성에서 민족의 존엄성과 독립성을 보장받는 길을 찾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삼국시대는 한족만이 아니라 오늘날 중국의 소수민족이라 불리는 숱한 민족이 총동원돼 전쟁을 벌이던 시기다. 중국 역사에는 공손연이 연나라를 세우고 위나라에 대적했을 때(서기 237년) 위의 황제인 조예가 고구려 동천왕에게 지원을 요청했다는 사실이 나와 있다. 하지만 나관중의 삼국지에서는 이 같은 사실을 찾을 수가 없다. 그래서 장정일은 삼국지를 한족만의 역사소설이 아닌 동아시아의 역사소설로 복원하고자 한다. 그는 이를 위해 요동지방의 주도권을 놓고 한족과 다투던 동호(東胡)와 고구려 이야기를 형상화했다.

    장정일의 삼국지는 몽골족이 세운 나라인 원나라 때 유행한 ‘삼국지평화’의 시각과도 엇비슷하다. ‘삼국지평화’ 역시 다양한 민족이 융합하고 교류하는 시각으로 삼국시대를 그린 작품이다. 또한 “형제는 수족과 같고, 처자는 의복과 같다”며 네 차례나 부인을 팽개치고 도망 다닌 유비의 소행이나, 아내를 잡아 화로에 구워 유비를 대접한 사냥꾼의 엽기적 사건 등 나관중 삼국지에 드러난 가부장적 남성서사를 비판하고 초선과 손부인 등을 적극적인 여인상으로 부각한다.

    이렇듯 삼국지는 숱한 재해석과 평설, 외전을 확대 재생산해온 문화 콘텐츠인 것이다. ‘삼국지를 경제 전쟁으로 그려보면 어떤가’라고 제안했던 과학사가 조셉 니덤의 지적처럼, 삼국지는 언제든 세상 사람들의 흥미를 돋울 만한 강력한 동양의 소프트파워, 말 그대로 ‘소프트(부드럽게)하게’ 변신하는 동양문화의 정수임이 분명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