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 오창읍 에코프로그룹 본사. [에코프로 제공]
153만 원→122만 원 급락
에코프로는 주가는 7월 26일 153만9000원까지 상승한 후 급락해 122만80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전일 대비 주가가 20%대까지 폭등한 후 불과 세 시간이 지나지 않아 하락으로 마감한 것이다. 시가총액 30조 원이 넘는 기업의 주가가 하루만에 26.2%의 변동성을 보인 탓에 시장 참여자들이 받은 충격도 컸다.에코프로의 주가가 7월 26일 153만9000원까지 상승한 후 급락하면서 시장 참여자들의 긴장감이 고조됐다. [신한투자증권 제공]
다만 개인투자자들의 매도세만으로는 주가의 급등락 움직임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다수의 개인투자자들이 단기간 집중적으로 보유한 주식을 매도했다는 점을 납득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통상적으로 개인투자자들은 다수가 소량씩 주식을 보유한 탓에 매수세나 매도세를 집중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반면 이날 에코프로의 주가 급락은 오후 1시에서 2시 사이에 대부분 이뤄졌다. 에코프로 외에도 에코프로비엠과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등 주요 2차전지 관련주에서 공통적으로 이 같은 움직임이 관측된 점도 의구심을 더했다.
시장에서는 에코프로의 주가하락을 바라는 이른바 ‘작전세력’의 개입 가능성도 제기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업계에서도 여러 이야기가 돌고 있는 상황”이라며 “개인투자자들의 단순 차익 실현만으로는 이러한 움직임이 나타나기는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주가에 거품이 일었다는 시각이 많은 만큼 급락을 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개인으로 위장한 세력이 있다” “에코프로그룹주를 1조 원 보유한 개인이 있다” 등 다양한 소문이 떠돌고 있다.
에코프로의 주가가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 공매도 잔고의 추이도 관심을 받는다. 그간 에코프로의 주가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공매도 투자자의 ‘쇼트 스퀴즈’가 꼽혔고, 실제로 에코프로의 주가가 상승하면서 공매도 잔고도 꾸준히 감소했다. 5월 30일 184만7518주까지 상승한 공매도 잔고는 이후 감소 추세에 접어들었고, 7월 26일 역시 전일보다 9만8795주 감소한 60만5510주로 장을 마감했다. 장 초반 주가의 급등 과정에서 쇼트 스퀴즈가 발생했을 개연성이 있는 것이다. 이날 기록한 공매도 잔고는 5월 30일 이후 가장 적었다.
다만 일부 외국계 기관을 중심으로 다시 공매도 비중을 늘리는 움직임도 관측됐다. 글로벌 투자은행 메릴린치가 대표적이다. 메릴린치는 7월 25일 보유 중인 에코프로 공매도 주식을 다수 청산하면서 대량보유자 공시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이튿날 공매도 포지션을 늘리면서 다시 공시대상에 올랐다. 장중 에코프로의 주가가 150만 원을 돌파하는 등 급등이 나타나자 공매도 수량을 늘린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메릴린치의 공매도도 이날 에코프로의 주가가 하락하는 데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는 공매도 주식 수가 상장주식 수의 0.5% 이상일 때 대량보유자로 공시한다. 에코프로의 경우 13만주 이상의 공매도 주식을 보유하면 공매도 잔고대량보유자로 공시된다.
최진렬 기자
display@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최진렬 기자입니다. 산업계 이슈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빨라진 대선 시계에 출사표 서두르는 시도지사들
45년 흘렀어도 현재진행형인 ‘12·12 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