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여론조사 전문가인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12월 19일 향후 국민의힘 내에서 한동훈, 오세훈, 홍준표 삼파전이 벌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며 이같이 분석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가결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여야 주자들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당장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지만 속단은 이르다. 여권에서는 오세훈·홍준표 두 광역단체장이 연일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며 존재감을 키우고, 야권에서는 김동연·김경수 두 전현직 도지사가 정치적 보폭을 넓히고 있기 때문이다. 권력 공백기를 맞아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여야 전현직 시도지사의 수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차기 대선 주자로 꼽히는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왼쪽부터). [동아DB]
“계엄·대통령 이재명 수용 못 하는 국민 많아”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은 최근 ‘이재명 때리기’에 열심이다. 오 시장은 12월 18일 “계엄에는 반대하지만 대통령 이재명도 수용할 수 없는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국민이 훨씬 많다”며 이 대표를 직격했다. 그는 전날에도 “이미 대통령이 된 듯 상왕놀이에 심취한 이재명 한 명의 존재가 한국 경제와 정치의 최대 리스크”라고 비판했다. 홍 시장은 한 발 더 나아가 “설마 국민이 범죄자, 난동범을 대통령으로 만들겠나”라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홍 시장은 이 대표를 두고 “국회를 인질 삼아 난동을 부리던 난동범”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대통령 탄핵소추’와 ‘지도부 공백’이라는 겹악재에 둘러싸인 상태다. 특히 유력 대선 주자로 거론되던 한동훈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여파로 사퇴했고, 대선 시기마저 1년 이상 앞당겨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내 혼란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게다가 이른바 탄핵 반대파가 탄핵 찬성파에게 책임을 지우는 모습마저 나타나 당내 분위기마저 좋지 않다. 이에 오 시장과 홍 시장은 ‘외부의 적’을 겨냥한 발언을 연이어 내놓으며 당 통합을 도모하는 한편, 대선 주자로서 당내 존재감도 키우고 있다.
야당 주자들 역시 여당 못지않게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4·10 총선을 거치며 ‘이재명 일극 체제’를 구축한 만큼 민주당 내에서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기류가 만연하지만, 이 대표가 지난달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은 점이 변수다. 대선 전까지 이 대표의 징역형이 확정되면 10년간 선거 출마가 불가능해 비이재명(비명)계로 분류되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에게 기회가 돌아갈 수 있다.
움직이는 비명계
김동연 지사는 지난 총선에서 낙마한 비명계 인사들을 끌어당기며 세를 규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친문재인(친문)계 인물들과 접촉을 늘려가고 있다. 그는 8월 ‘친문 핵심’인 민주당 전해철 전 의원을 경기도 도정자문위원장에 위촉했고, 11월 ‘친문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를 독일에서 만났다. 차기 대선 출마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당연히 대권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겠느냐”는 반응이 많다. 한 경기도의회 의원은 “연말이라 내년 예산 사용처가 사실상 정해진 상황이었는데, 탄핵 국면에 접어든 이후 신규 사업이 연이어 들어오고 있다”며 “대선이 앞당겨진 만큼 김 지사가 자신의 색깔을 내려고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경수 전 지사가 경선에 뛰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독일에 체류 중이던 김 전 지사는 비상계엄 소식을 듣고 12월 5일 조기 귀국했다. “한 사람이라도 거리에서 싸워 힘을 보태는 것이 도리”라고 귀국 이유를 밝혔는데, 대선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김 전 지사는 드루킹 댓글 사건 유죄 판결로 피선거권을 상실했다가 8월 광복절 특사로 복권되면서 피선거권을 되찾았다. 김 전 지사 역시 대선 출마와 관련된 질문에 “차분하게 시민들과 함께하면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찾아보겠다”고 답하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최진렬 기자
display@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최진렬 기자입니다. 산업계 이슈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45년 흘렀어도 현재진행형인 ‘12·12 사태’
비상계엄으로 명예·자존심 손상된 707특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