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52

..

비탄 … 분노… “결코 잊지 않겠다”

테러 현장 8층 깊이 거대한 웅덩이 상처 증언… 미국인 30% “날마다 그 순간 떠올라” 충격 여전

  • < 뉴욕=김재명 분쟁지역 전문기자 > kimsphoto@yahoo.com

    입력2004-09-24 14:3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탄 … 분노… “결코 잊지 않겠다”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 9·11 테러사건이 만들어낸 신조어(新造語)의 하나다. 하루 상주인구 5만명, 연면적 1200만 평방피트의 사무실에 200개의 엘리베이터와 1200개의 화장실을 갖춘 거대한 110층짜리 쌍둥이 건물 세계무역센터가 말 그대로 하루아침에 무너졌다. 지하 8층 깊이의 거대한 웅덩이로 변해버린 현장은 ‘그라운드 제로’란 표현이 딱 어울리는 곳이다. 거의 반 년 가까이 시커먼 연기와 더불어 메스꺼운 냄새를 뿜어내던 잔해들은 이제 다 정리된 상태다. 하지만 콘크리트 외벽을 새로 쌓아놓은 현장은 마치 도심 재개발 공사장 같은 모습으로 바뀌었다.

    아직도 검은 천으로 둘러싸인 주변 건물들은 그날의 상처를 말없이 증언하고 있다. 세계무역센터 남쪽에 자리한 독일은행 건물도 그러하다. 이 건물은 9·11 붕괴 충격으로 건물에 금이 가 지금껏 텅 빈 채다. 건물 외벽에 걸린 대형 성조기와 ‘당신들을 결코 잊지 않겠다’ ‘그들을 결코 잊지 않겠다’는 두 개의 플래카드가 우울한 뉴욕의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9·11 테러 주범들에 대한 복수와 응징을 다짐하고 그 희생자들을 기리겠다는 메시지가 담긴 이 플래카드는 9·11 이후 부시 행정부가 보여온 ‘힘에 바탕을 둔 일방주의’를 압축하는 듯하다.

    참사 현장은 지난 1년 동안 호기심에서 몰려든 시민들과 멀리서 온 추모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사건 1주년이 다가오면서 그 발길은 더욱 잦아졌다. 9·11 1주년 열흘 전인 지난 8월 말 필자가 그곳을 찾았을 때는 마침 휴일이어선지, 걸음을 떼기가 어려울 정도로 사람들로 붐볐다. 9월 초 다시 그곳을 찾았을 때는 비마저 추적추적 내렸지만 시민들의 발길은 계속 이어졌다.

    비탄 … 분노… “결코 잊지 않겠다”
    인상적인 풍경은 자본주의의 메카인 뉴욕답게 9·11이 상업화됐다는 점이다. 세계무역센터 붕괴 현장 부근 길거리는 9·11 특수를 노린 노점상들로 득실댄다. 이들은 9·11 참사 당시의 사진집, PDNY(뉴욕경찰서) FDNY(뉴욕소방서)라는 글자가 새겨진 모자, 성조기, 세계무역센터가 가슴에 그려진 티셔츠들을 주로 팔고 있다.

    9·11 참사 현장에 바로 맞닿은 성바오로 성당을 둘러싼 철책은 9·11 당시의 참사를 말해주는 또 다른 현장이다. 사건 당시 구조본부로 쓰여졌던 이 성당 주변 철책에는 그곳을 찾은 미국인들이 걸어놓은 비탄과 분노의 글들이 깨알처럼 적힌 종이들이 빼곡하다. 이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우리 다시 뭉쳤다(United we stand)’란 구호다. 9·11 이후 불어닥친 애국주의 바람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구호다. 전체 사망자들 가운데 500명 가량이 외국인이고, 그들의 국적이 50개국을 넘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을 무시한 다분히 미국적인 구호다.



    참사 현장을 찾은 한 무리의 고등학생들을 만났다. 맨해튼 링컨센터 가까이에 있는 마틴루터킹 고교 학생들이었다. 그들과의 짧은 대화에서 안타까움을 느꼈다. “왜 미국이 테러를 당했는지 잘 모르겠다” “오사마 빈 라덴이 미국을 공격한 이유를 모르겠다”는 태도들이었다. 이들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자유의 나라’ 미국을 느닷없이 테러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따라서 부시 대통령이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한 것을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태도였다.

    바오로 성당 철책 가까이에서 울먹이는 30대 중반의 여인이 있었다. 유족이겠거니 여기고 다가갔다. 크리스틴이라고 이름을 밝힌 이 여인은 바로 밑의 동생 미첼 라구사(소방관·당시 29세)를 잃었다고 했다. 그러나 미첼은 아직까지 실종자로 분류돼 있다. 1년이 다 되도록 그의 시신은 물론이고 관련 유류품이 발견되지 않았고, DNA 검사를 통해서도 아직 이렇다 할 단서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실종자 가족들은 뉴욕 법원에다 정황 증거를 제출함으로써 사망자 확인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누이 크리스틴은 “내 동생이 실종 상태라고 믿는 것이 사망했다고 믿는 것보다 마음이 편하다”고 담담히 말했다. 법원에 사망 확인을 받으려는 것은 (보상금을 타는 금전적 이익은 있을지라도) 동생을 두 번 죽이는 짓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란다.

    크리스틴과는 대조적인 사람들도 있다. 보상금을 노린 사기극의 주인공들이다. 뉴욕시 브롱스에 사는 한 여인은 “사건 당일 엄마와 함께 세계무역센터에 갔다가 혼자 살아남았다”고 주장했으나, 조사 결과 그의 어머니는 98년에 사망, 화장된 것으로 밝혀졌다. 뉴욕검찰청 맨해튼지청 대변인 바바라 톰슨은 “적어도 60~70명 이상이 허위 실종사망신고를 했음이 드러났고, 이 가운데 25명이 이미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기소된 상태이며, 수사가 진행됨에 따라 이 숫자는 늘어날 조짐”이라고 밝혔다.

    9·11 참사현장을 다시 원상 회복시킬 것인가는 아직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 뉴욕시의 여론조사에서도 “참사 현장에 110층짜리 빌딩을 다시 지어야 한다”는 주장과 “고층건물은 안 된다. 추모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선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소유주인 뉴욕항만청은 당연히 “최소한의 임대소득이 보장되는 사무용 빌딩을 지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추모공원을 고집하는 유가족들의 반발도 만만찮다.

    조지 파타키 뉴욕주지사는 유족 편을 들고 있는 반면,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은 뉴욕항만청 편이다. 지난 7월 뉴욕시 당국은 공모를 통해 6개 청사진을 내놓았으나 유가족을 포함한 시민들의 반발로 주춤한 상태다. 이들 공모안들은 세계무역센터 부지에 추모공원과 사무용 빌딩을 함께 세우는 방안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올해 말쯤이나 해답이 나올 전망이다.

    뉴욕시 감사관 윌리엄 톰프슨이 9·11 1주년을 맞아 낸 한 보고서는 뉴욕시가 9·11 테러 공격으로 어느 정도 심각한 타격을 입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 보고서가 추산한 9·11로 인한 물질적 피해는 830억 달러에서 950억 달러에 이른다. 세계무역센터와 주변의 파괴된 건물들을 치우는 비용만 218억 달러가 들었다. 경제적 손실도 만만찮다. 보고서는 9·11로 인해 8만3000명이 직업을 잃었으며, 뉴욕시의 이런저런 세수(稅收) 손실만도 3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했다.

    참사 현장을 벗어나면, 뉴욕은 언제 9·11을 겪었는가 하는 듯한 풍경이다. 세계무역센터 바로 곁에 자리잡은 나스닥(Nasdaq) 빌딩과 1km쯤 떨어진 곳에 자리한 월가(街)의 증권거래소는 하루하루 등락에 일희일비하며 시세차익을 챙기려는 사람들로 붐빈다. 맨해튼 중심가인 타임스퀘어 광장 주변 전광판에는 요란한 속옷 광고 모델들이 등장해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고, 뮤지컬을 공연하는 근처의 브로드웨이 극장들의 객석 점유율도 예년 수준으로 회복된 상황이다. 9·11 직후엔 관람객들의 발길이 줄어 객석은 썰렁하기 그지없었고, 일부 공연은 일정을 앞당겨 막을 내리기도 했었다.

    겉으로 보기엔 뉴욕은 9·11 사건이 던진 초기 충격에서 벗어난 모습이다. 그러나 일부 뉴욕 시민들은 사건 1년이 넘도록 9·11 충격에 시달리고 있다. 이른바 9·11 신드롬이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Time)과 CNN방송이 8월28, 29일 미국 성인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미국 전체가 전혀 정상으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4%만이 완전히 정상을 회복했다고 응답했다. 게다가 응답자의 30%는 날마다 9·11 테러 공격을 떠올리고 있다(거의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9%)고 호소했다.

    뉴욕시 당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물중독이나 알코올 중독에 빠진 시민들도 상당수다. 정신신경과 전문용어로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증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밤에 잠을 잘 못 이루거나 알코올 또는 약물에 의지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들 가운데는 희생자 유가족, 사건 당일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관 및 경찰관과 그 가족들, 사건 당일 현장에서 대피했던 입주자들과 부근 학교 어린이들이 포함된다.

    필자의 이웃에 혼자 사는 할머니 산드라 부룩스(75)도 “진주만 피격 이후로 60년 동안 적의 공습을 받지 않은 미국이었는데…”라며, 우울증에 빠져 있다. 문제는 그녀를 포함한 상당수의 미국인들이 “미국이 왜 공격당했나” 또는 “그들은 왜 우리를 미워하나”라는 물음을 던지지 않고 추상적인 애국주의에 빠져 있다는 점이다. 60%에 이르는 부시 지지율은 이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