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20

2000.02.03

한-일 대중감성의 맞대결

  • 입력2006-07-06 10:5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일 대중감성의 맞대결
    설 대목을 앞두고 개봉하는 ‘춘향뎐’과 ‘철도원’. 이 두 편의 영화는 한국과 일본 대중의 감성에 딱 들어맞는 작품이다. ‘춘향뎐’은 근대화가 우리의 정신을 어떻게 왜곡시켜 놓았는지 반성하게 한다. ‘철도원’은 일본 근대화를 이뤄낸 아버지 세대에 바치는 헌사다.

    할리우드 테크놀로지와 서구 자본주의의 전지구적 공세에 극동의 두 노장 감독은 그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을 영화화하는 전략으로 맞섰다. ‘서편제’의 임권택감독은 97번째 작품으로 ‘춘향뎐’을 만들었으며 올해 67세인 일본의 후루하타 야스오 감독은 ‘철도원’을 연출해 지난해 일본에서 450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설 대목을 앞두고 1월29일 함께 개봉하는 두 편의 영화는 한국과 일본 대중의 감성에 딱 들어맞는 작품이다. 평론가 변재란씨의 말처럼 춘향이 “한국 사회가 어려울 때마다 등장하는 여인상”이라는 의미를 갖듯 일본인들에게 철도는 단순한 추억 이상이다. 언제나 대륙으로 뻗어가려는 일본에 있어서 철도는 대동아제국 건설의 야심이자 숨가쁘게 달려온 근대화의 상징이기도 한 것이다.

    ‘철도원’의 주인공은 아내의 죽음 앞에서도 “철도원이니까 울 수 없다”는 사토 오토마츠라는 남자다. 작은 시골 역장인 그는 역을 지키느라 어린 딸의 죽음도, 아내의 죽음도 지키지 못했다. 몇 년 뒤 역은 폐쇄될 위기에 처하고, 그는 죽은 딸과 같은 이름의 여자아이를 만난다. 그리고 아이의 언니들이 잇따라 그를 방문한다.

    감독은 기차에 미친 듯한 오토마츠라는 남자의 생애를 현재와 회고를 섞어 회상한다. 등장 인물 모두가 선하기만 한 신파조 이야기지만 감독은 예상치 못한 팬터지로 영화를 풍요롭게 만든다. 일본의 근대화를 이뤄낸 아버지 세대에 바치는 헌사로 읽히는 ‘철도원’은 가족은 산산조각나고 홀로 망연자실 서있는 현재의 일본인들을 위로한다. 오토마츠는 가족을 저버렸지만 모든 이로부터 존경받으니 말이다.



    임권택감독의 ‘춘향뎐’은 그 반대 지점에서 근대화가 우리의 정신을 어떻게 왜곡시켜 놓았는지를 반성하게 한다. 영화는 판소리 ‘춘향뎐’의 일종의 ‘뮤직비디오’라고 할 수 있는데 관객을 빨아들이는 조상현의 창이 이미지로 옮겨오는 과정은 전혀 새로운 체험이다. 우리가 당연시했던 서구 영상의 문법과 감성이 우리의 것이 아니라는 반성을 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방자가 춘향을 초대하러 가는 장면, 이몽룡이 떠난다는 말에 치마를 찢는 춘향의 모습과 변학도에게 매맞고 업혀나온 춘향 앞에서 다른 기생이 ‘잘 되었다’고 노래하는 장면 등은 흐르다 맺고, 맺었다 풀리는 ‘춘향뎐’의 실험을 보여준다. 감독은 우리가 근대화라는 이름으로 폐기처분했던 것들을 다시 모아 가장 새로운 실험으로 소생시킨 것이다.

    판단은 관객들에게 달려 있다. 관객들은 ‘철도원’을 보며 대중을 위해 희생한 개인 오토마츠를 비웃을지도 모르고 ‘춘향뎐’을 진부한 프로젝트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아쉬운 것은 일본의 국민배우 다카구라 켄이 ‘철도원’에서 명연기를 보여준 반면 ‘춘향뎐’으로 데뷔한 이효정의 연기가 영화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