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99

..

살찐 듯 여윈 듯 붓놀림 ‘추사체’는 필획이 다르다

  • 이동천 중국 랴오닝성 박물관 특빙연구원

    입력2013-08-05 14:3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진(陳)군은 추사 글씨에 대한 감식안이 높을 뿐 아니라 일반 서화(書畵), 고동(古董)에는 대가로 자처하는 친구다. (중략) 양(梁)군도 진군에 못지않게 서화 애호의 벽이 대단한 데다 금상첨화로 손수 그림까지 그리는 화가인지라 내심으로는 항상 진군의 감식안을 은근히 비웃는 터였다. 벌써 오륙 년 전엔가 진군이 거금을 던져 추사의 대련(對聯)을 한 벌 구해놓고 장안 안에는 나만한 완당서(阮堂書)를 가진 사람이 없다고 늘 뽐냈다. 그런데 양군의 말에 의하면 진군이 가진 완서(阮書)는 위조라는 것이다.

    이 위조라는 말도 진군을 면대할 때는 결코 하는 것이 아니니, ‘진 형의 완서는 일품이지’ 하고 격찬할지언정 위조란 말은 입 밖에도 꺼내지 않았다. 그러나 진이 그 소식을 못 들을 리 없다. 기실 진은 속으로는 무척 걱정했다. (중략) 감식안이 높은 진군은 의심이 짙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그 후 이 글씨가 누구의 사랑에서 호사를 하는지 몰랐는데, 최근 들으니까 어떤 경로를 밟아 어떻게 간 것인지 모르나 진군이 가졌던 추사 글씨는 위조라고 비웃던 양군의 사랑에 버젓이 걸려 있고, 진군은 그 글씨를 도로 팔라고 매일같이 조른다는 소문을 들었다.”

    이는 근원 김용준(1904~67)이 쓴 ‘추사(秋史) 글씨’라는 글의 일부로, 1940년대 추사 김정희(1786~1856)의 한 대련 작품을 두고 벌어졌던 에피소드를 쓴 것이다. 지금은 이 대련 작품이 어떤 작품인지 알 수 없어 그 진위를 말할 수 없다. 다만 당시 김정희 글씨에 대해 아는 척하던 진(陳)씨가 양(梁)씨의 사기에 넘어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언제나 있을 수 있는 얘기다.

    살찐 듯 여윈 듯 붓놀림 ‘추사체’는 필획이 다르다

    1 김정희가 쓴 ‘해란서옥이집’ 책 표제. 2 1828년 김정희가 쓴 ‘서독’.

    살찐 듯 여윈 듯 붓놀림 ‘추사체’는 필획이 다르다

    3 1840년 김정희가 제주 유배지에서 동생에게 쓴 ‘편지’. 4 1850년대 김정희가 쓴 ‘편지’.

    살찐 듯 여윈 듯 붓놀림 ‘추사체’는 필획이 다르다

    5 김정희가 쓴 ‘ノ’ 필획의 변화 모습.

    오묘한 이치와 근엄함의 극치

    살찐 듯 여윈 듯 붓놀림 ‘추사체’는 필획이 다르다

    6 1830년 김정희가 쓴 ‘여봉현서’. 7 1840년 ‘김정희가 왕 진사에게 보내는 편지’. 8 1848년 ‘김정희가 제주목사 장인식에게 쓴 편지’. 9 1850년 김정희가 쓴 ‘박정진에게 보낸 편지’. 10 1850년 허련이 쓴 ‘편지’. 11 김정희의 가짜 ‘영위가장첩’.

    김정희 글씨의 실체는 뭘까. 소치 허련(1808~1893)은 ‘완당탁묵’에서 “선생의 붓놀림은 허공에서 놀았으며 아주 살찌거나 아주 마르게 썼는데 모두 오묘한 이치가 있었다. (중략) 글씨의 변화가 끝이 없고 조화를 헤아릴 수 없으니 어찌 감히 이름 짓고 형용하겠는가”라고 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아주 두툼하거나 얇은 필획으로 변화무쌍하게 쓴 추사체를 말한 것이다.



    실학자 연암 박지원의 손자 환재 박규수(1807~1877)는 ‘유요선이 소장한 추사 유묵에 쓰다’에서 추사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선생의 글씨는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글씨 쓰는 법이 여러 차례 변했다. (중략) 늘그막에 바다 건너 귀양살이하고 돌아온 후로 구속되고 본받는 경향이 다시는 없게 됐고, 대가들의 장점을 모아 스스로 독자적 경지를 이루었다. (중략) 모르는 사람들은 이를 하고 싶은 대로 거리낌 없이 한 것으로 여기니, 그것이 오히려 근엄함의 극치임을 모르더라. 이러한 연유로 나는 일찍이 자라나는 소년들에게 선생의 글씨를 가볍게 배워서는 안 된다고 말하였다.”

    김정희 글씨 진위는 확실

    박규수의 글은 허련에 비해 좀 더 구체적이나, 추사체를 이해하기에는 여전히 모호하다. 하지만 박규수가 ‘근엄함의 극치’라고 한 것을 보면, 두껍고 가는 필획으로 마음대로 쓴 듯한 추사체에 뭔가 대단한 게 있는 것 같다. 자세히 살펴보면, 어지럽게 펼쳐진 글씨 사이로 추사체의 힘을 이루는 여러 요소가 보인다. 지면 관계상 이번 호에서는 추사체에서 강한 필력의 원동력이 된 한두 가지 붓놀림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해란서옥이집’(그림1)은 김정희의 40대 후반 글씨다. 이는 중국 베이징에 머물던 쑤저우 명문가 대부(大阜) 반(潘)씨 반증수(潘曾綬·1810~1883)의 요청으로 김정희가 쓴 것이다. 언뜻 보면 ‘그림1’은 그의 스승인 옹방강(翁方綱·1733~1818)의 글씨와 매우 비슷하다. 하지만 ‘屋(옥)’ 자의 ‘ノ’ 필획을 자세히 살펴보면 김정희만의 독특한 붓놀림이 있다. ‘ノ’ 필획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눠보면, 전반부는 ‘(’, 후반부는 ‘)’으로 썼다. ‘ノ’ 필획을 한 번에 미끄러지듯 쓴 것이 아니라, 필획 중간에 이르러 붓 면을 바꿔가며 힘 있게 썼다.

    추사체에서 ‘ノ’ 필획의 시대적 변화 발전은 1828년 김정희가 쓴 ‘서독’(그림2)의 ‘屢(루)’와 ‘嶺(령)’, ‘그림1’의 ‘屋’, 1840년 제주 유배지에서 동생에게 쓴 ‘편지’(그림3)의 ‘尾(미)’, 1850년대에 쓴 ‘편지’(그림4)의 ‘領(령)’과 ‘服(복)’ 자에 뚜렷이 나타난다. ‘그림2’에서는 붓놀림을 그대로 보여줬으나, ‘그림1’과 ‘그림3’에서는 이를 감췄다. ‘그림4’는 전반부를 강하게 썼고, 후반부는 전반부의 힘을 이용해 짧게 튕기듯 썼다(그림5).

    ‘ノ’ 필획의 붓놀림은 추사체의 ‘ㅣ’ 필획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1830년 김정희가 쓴 ‘여봉현서’(그림6), 1840년에‘김정희가 왕 진사에게 보내는 편지’(그림7), 1848년 ‘김정희가 제주목사 장인식에게 쓴 편지’(그림8), 1850년 ‘박정진에게 보낸 편지’(그림9)의 ‘耳(이)’ 자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림7’은 ‘ㅣ’ 필획의 전반부와 후반부 길이가 비슷하지만, ‘그림6’과 ‘그림8’은 전반부가 길고 후반부가 짧다. ‘그림9’는 전반부만 있고 후반부가 없다.

    추사체는 그의 가문 사람은 물론, 허련 등도 배웠다. 1850년 허련이 쓴 ‘편지’(그림10)의 ‘耳’ 자를 보면 ‘그림9’와 겉은 비슷하지만 속은 다르다. 위조자도 추사체를 본뜨거나 배워서 작품을 위조했기에 그럴듯해 보이지만 질적으로 다르다. 글씨 연습을 통해 다져진 내공이 달라 그 필력이 김정희에 미치지 못한다. 김정희의 가짜 ‘영위가장첩’(그림11)에서 ‘耳’ 자도 ‘그림8’과 비슷한 듯 보이지만 흉내만 냈을 뿐이다(그림12).

    미술사가 유홍준 명지대 교수는 ‘완당평전1’과 ‘김정희 : 알기 쉽게 간추린 완당평전’에서 “세상에는 추사를 모르는 사람도 없지만 아는 사람도 없다”고 했다. 분명한 사실보다 모호한 내용을 즐기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김정희 글씨의 진위는 분명하다. 내가 모른다고 남조차 모른다고 말할 수는 없다.

    살찐 듯 여윈 듯 붓놀림 ‘추사체’는 필획이 다르다

    12 김정희가 쓴 ‘ㅣ’ 필획의 진위 비교.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