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각시 신녀.
오늘도 성문에 올라가서 외치는 과양상이의 목소리는 점점 높아가고 김치원의 간은 갈수록 콩알만하게 오그라든다.
봉고파직을 당하느니 차라리 죽어버리겠다는 김치원.
“저런 더러운 년한테 저 입살을 듣고 내가 원을 살아 무엇할꼬?”
문을 잡고 드러누워 죽기로 작정한 김치원이 아침상도 아니 받고 점심상도 아니 받는다. 부아가 난 김치원의 부인이 한 소리를 하네.
“이게 무슨 꼴입니까? 과양상이를 징치하든지, 그도 아니면 저승의 염라왕이라도 잡아와서 해결을 해야지요.”
문 밖에서 하회를 기다리고 있던 사령들 가운데서 도사령이 뛰쳐나온다. 옳다구나! 무릎을 치며,
“맞습니다. 어떻게 죽었는지 알려면 죽은 자의 입을 열어야 합니다. 염라왕을 이승으로 불러와서 삼형제의 입을 열어야 죽은 까닭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염라왕 상대 에라, 이판사판
그렇다. 죽은 자는 말이 없다. 그러나 그 입을 열 수 있는 자가 있지 않은가? 저승의 염라왕! 에라, 이판사판이다. 저 죽음과 두려움의 상징인 염라왕을 이승으로 불러오는 수밖에!
김치원이 마음속으로 작정을 하고는 묻는다.
“그런데, 염라왕을 누가 잡아온단 말이오?”
이 대목에서 이야기는 또 한 번 뒤집어지면서 새롭게 전개된다. 과양상이의 난데없는 소지를 이승의 원이 염라왕을 잡아온다는 기가 막힌 해법으로 풀어낸 것이다. 신의 위엄과 권위를 생각해볼 때 참으로 발칙한 상상력이 아닐 수 없다.
우리 신화에서는 신들의 지배가 중요한 내용이 아니다. 인간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을 잡아온다는 관념은 우리 신화에서 인간의 현실세계가 더욱 주요한 측면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리스신화에서 저승을 다스리는 신 하데스를 누가 감히 잡아온다고 하였던가. 아무도 없다. 제우스 신조차도 한 수 접고 들어갔던 죽음의 신이 아니었던가!
자, 드디어 우리 저승 이야기의 주인공 강림도령이 등장할 차례다.
도사령이 하는 말,
“우리 사령들 중에 다른 사령들을 숨도 못 쉬게 하는 힘 좋고 담대한 강림이란 자가 있습니다. 강림이는 문 밖에도 아홉 각시 문 안에도 아홉 각시를 첩으로 두고 살 정도로 힘이 좋고, 게다가 똑똑하기까지 합니다.”
그렇단 말이지, 사람이 있단 말이지? 김치원이 너무나 반가워한다. 아니, 저승에 가서 염라왕을 잡아올 수 있는 자가 있단 말이지? 놀랍고도 놀랍도다!
지옥도.
“하지만 무슨 명목이 있어야 할 게 아니냐?”
“강림이는 내일 제일 작은 각시의 어머니 제삿날이라 거기에 들렀다가 또 다른 각시들을 다 돌아보고 오자면 출근이 늦어질 것입니다. 그러면 출근이 늦은 핑계로 염라왕을 잡아오라 하십시오.”
맞아. 바로 그거야. 옭아매기 수법. 내 이놈을 물고를 내서라도 내 말을 듣게 만들고야 말 테다. 없는 죄도 만들어내는 관이 아니던가?
“그래? 그거 참 잘 되었다. 내일 새벽부터 사발통지를 돌려 동헌 마당 개폐문을 열고 열 관장 입참을 시켜라.”
다음날 아침해가 동녘에 뜰 무렵, 강림이가 작은 각시 어머니의 제사를 드리고 열여덟 각시에게 반해 잠을 자다 날 새는 줄 몰라 그만 출근이 늦어지고 말았다. 그런데 갑자기 어디선가 큰북이 쿵쾅쿵쾅 진동을 하고 멀리서 고동이 울리며 피리 나팔 날라리 소리가 찢어지는구나.
동헌 마당에서 김치원이 발빠른 박파도를 내어놓고,
“강림이 궐 뽑아라!”
박파도는 높은 동문 밖의 공덕동산을 치달아 올라서서,
“강림이 궐이여!”
사방에서 사령들이 소리쳐 부르는 소리에 강림이가 팔딱 눈을 떠보니 창문 밖이 훤하다.
강림이는 이 고을이 뒤집히는 난리가 났나 보다 생각하고 장안 군복 서단쾌자를 입을 새도 없이 팔어깨에 걸친 채 관아로 들어가는데….
아니나 다를까 사령들이 줄줄이 나서서 강림이를 잡아죽일 판으로 결박하고는,
“강림이는 사관 불참이여!”
김치원이 호통을 친다.
관헌 마당에 작두가 걸리고 형틀이 걸렸다. 그 앞으로 칼춤을 추며 가고 강림의 목에는 큰칼을 씌운다.
아이구! 큰일났다. 강림이, 김치원에게 사정한다.
“원님아 원님아, 강림이는 죽을 목에 들었습니다만 살 도리가 없습니까?”
김치원이 무표정한 얼굴로 단호하게 묻는다.
“이승에서 지금 죽겠느냐, 아니면 저승에 가서 염라왕을 잡아오겠느냐?”
바짝 얼어붙은 강림이가 엉겁결에 그만 엇대답을 하고 마네.
“저승에 가서 염라왕을 잡아오겠습니다.”
강림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강림이 목에서 큰칼을 벗겨내고, 김치원이 강림에게 저승 본짱을 내어준다.
저승 본짱을 받아든 강림은 기가 막혀 비 맞은 중처럼 중얼거린다.
‘저승길이 어디라고 저승 염라왕을 잡으러 간단 말이냐! 앞길이 왁왁 캄캄하구나.’
강림이 사령방에 들러,
“늙도록 사신 동갑님네. 저승 염라왕을 잡아오라는 말 들은 적 있습니까?”
“내 늙도록 살아도 저승 염라왕 잡아오라는 말은 들은 적이 없는걸.”
“나는 저승 염라왕 잡으러 갑니다.”
늙은 사령이 강림이에게 이별주를 권하니 강림이 술을 아무리 마셔도 아니 취하고, 푸른 산을 쳐다보면 검은 산으로 보이고 검은 산을 쳐다보면 흰 산으로 보이는구나.
열여덟 각시 다 돌아다니며 말해보아도 마치 한 놈이 말하는 듯 말하는구나.
“아이구, 당신 죽음만 같지 못합니다. 염라왕을 어떻게 잡아옵니까?”
이젠 막다른 길로 가네. 장가가고 시집가고 나서는 한 번도 들른 적이 없어 남녀구별법도 모르는 큰각시 집으로 들어간다.
“매정하고 매정한 설운 낭군님아, 오늘은 어쩐 일로 저 문을 열고 들어오십니까?”
강림이 아무 대답 없이 사랑방으로 들어가서 탄식만 하고 앉아 있구나. 큰각시가 보리 방아를 찧다가 내버리고 아침식사를 지어서 열두 가지 높고 낮은 반찬을 가득히 차려놓고는 서방님께 들여놓는다.
“낭군님, 무슨 일로 상도 받지 않고 근심을 하고 있습니까?”
강림이 눈물을 콧등으로 다륵다륵 떨어뜨리면서 저승 염라왕 잡으러 가게 된 사연을 말한다.
“아이구, 설운 낭군님아! 그만한 일로 탄식을 하고 있습니까? 염라왕 잡으러 갈 길은 내가 닦겠으니, 염려 마시고 식사나 하십시오.”
역시 큰각시다. 옛날에는 큰각시가 집의 ‘안주인’이 아니던가? 우리 ‘큰각시’는 어머니 같은 이미지다. 옛날에는 아기도령을 키워서 남편으로 만들었다고 하더니. 여기서는 앞날을 내다보는 신통방통한 ‘여신’ 같은 이미지이기도 하다. 저승에 가서 염라왕을 잡아오는 것은 강림이지만, 저승 가는 길을 닦아주는 사람은 강림의 큰각시다. 큰각시는 죽은 자를 보내는 굿을 담당하는 신녀이기도 하고 그 굿의 절차와 마찬가지로 저승 가는 길을 닦고 다리를 놓아주는 강림의 각시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이다.
강림이 허우덩싹 웃으며 상을 받아 식사를 하는 사이에 큰각시가 이른다.
“서방님, 김치원님에게 가서 석 달 열흘 백일만 더 기한을 주면 염라왕을 잡아오겠다고 하고 승낙을 받아오십시오.”
강림이 김치원에게 가 기한을 연기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고 돌아오자, 큰각시가 부지런히 저승 갈 길을 준비한다.
풀논에 풀나락 수답에 수나락 강답에 강나락, 세 논의 나락을 합치니까 닷 섬 닷 말이로구나. 이걸 가져다가 느티나무 방아에 도외나무 절구공에 동백나무 함지에 이여동동 소리도 좋다. 나락을 찧는구나. 이 나락쌀을 다시 단 한 말 쌀로 능거놓아서 동백나무 함지에 담아 물을 부으니 적당히 불었구나. 느티나무 방아에 동백나무 절구공으로 이여동동 소리에 맞춰 찧어서 가루를 빻아 떡을 친다. 시루 첫 징(시루떡을 찔 때 소를 넣어 뗄 수 있게 만든 첫 층계) 메밥 한 그릇은 대문을 지키는 문전신에게 들러놓고, 또 한 징 메밥 한 그릇은 부엌 지키는 조왕 할망에게 들러놓고, 놓다가 남은 시루 한 징 메밥 한 그릇은 강림이 저승 가며 먹을 것으로 만들어놓는다.
강림의 큰각시가 향나무 삶은 물로 목욕을 한 뒤 새 옷으로 갈아입고 조왕신 문전신 앞에 떡을 떡 차려놓고 이레 동안 잠도 자지 않고 굽엉일어나 굽엉일어나 절을 한다.
“강림이 저승 가는 길을 잘 찾아가게 하여주소서.”
정성을 갸륵하게 여긴 조왕 할망이 일곱째 날 선잠이 든 강림의 큰각시 꿈에 나타났네.
“어찌 무정눈에 잠을 자겠느냐? 천황닭이 곧 꼬끼오∼ 꼬르르륵 자지반반(고요한 밤의 닭 울음소리) 울게 된다. 강림의 저승 행차길이 바빠지니 빨리 강림을 저승으로 내보내라.”
큰각시는 급히 강림에게 저승옷을 내주며 갈 길을 서두르라고 재촉한다. 강림이 저승옷으로 갈아입고 나니 저승 행차가 완연하구나. 남색 얇은 비단으로 만든 붕에바지에 흰색 얇은 비단으로 만든 저고리를 입고 물명주 통허리띠를 야무지게 잡아맨다. 자주색 명주 비단으로 만든 통자로 된 행경(각반)을 하고, 거기에 무늬 있는 하얀 코재비 버선을 신고 섭송메 미투리가 풀어지지 않게 낙고지(들메끈)로 꽉 매었다. 한산모시 두루마기에 남색 수와지 비단 붉은 쾌자를 입고, 흑두전립을 썼네. 앞으로 홍고달(붉은 볏) 달고 포승줄을 옆으로 달고 관장패는 등에 지고 패지 끈을 품에 품고 앞에는 날랠 용(勇)자, 뒤에는 임금 왕(王)자를 새겨 붙였구나. 옷 입은 본새가 굴망굴짓 놀망놀짓 허울애비 허튼짓하듯 늠름하구나.
어떤 다리를 놓아 갈까?
강림이 저승옷을 입고는,
“이 옷은 어느때에 차려놓았소?”
“벌써 이리 할 줄 알고 지어놨수다.”
이때 내어놓은 법으로 우리 인간세상에도 사람이 살아 있을 때 저승옷(壽衣)을 차려놓는 법이 생겼다네.
큰각시가 강림에게 묻기를,
“낭군님, 원님에게 저승 본짱은 받았습니까?”
“흰 종이에 검은 글씨로 쓴 것을 받았소.”
이 말을 들은 강림의 큰각시가 우레같이 김치원에게 달려간다.
“김치원님, 강림이 염라왕 잡으러 저승 가는데 저승 본짱이 어찌 이렇습니까? 산 사람의 소지는 흰 종이에 검은 글이나, 저승 글이야 어찌 그렇습니까? 붉은 종이에 흰 글을 써주십시오.”
김치원이 ‘옳구나. 내가 실수를 하였구나’ 하면서 붉은 종이에 흰 글을 써서 내어준다. 이것을 적배지(붉은 패지·赤牌旨)라고 한다. 저승에서 통하는 문서로구나.
이때 내어온 법으로 우리 인간세상의 법에도 명정법(銘旌法)을 마련하였구나.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그의 품계와 성씨를 기록한 붉은 비단을 장대에 단 조기(弔旗)를 상여 앞에 들고 가서 널 위에 펴고 묻는 법이 생겼다네.
적배지를 받아든 큰각시는 집으로 돌아와 물명주 전대 허리띠를 강림의 허리에 핑핑 감으며,
“저승 초군문(初軍門) 가기 전에 급한 대목 내닫거든 이 물명주 전대 허리띠를 손으로 잡고 세 번 떨어 흔들면 알 도리가 있을 것입니다.”
아무도 모르게 큰각시는 본메본짱으로 귀 없는 바늘 한 쌈을 앞섶에 찔러두고,
“설운 낭군님, 어서 가옵소서!”
자, 이제 이야기는 강림이 저승을 찾아가는 대목으로 접어든다. 어디가 저승인가? 여러분도 구경 삼아 따라가볼 생각이 있겠지요?
‘설운 아기 저승 가는데 무엇으로 다리를 놓아주리?’
강림이 부모와 이별한다. 아버지는 자식에 대한 마음이 큰 어른이라 망건을 벗어 다리를 놓는다.
‘설운 아기 저승 가는데 무엇으로 다리를 놓을까?’
어머니는 자식에 대한 사랑을 아래로 감추어주니 속곳을 벗어 다리를 놓는다.
‘설운 낭군 저승 가는데 무엇으로 다리를 놓을까?’
큰각시는 버선 벗고 신 벗어 다리를 놓는다.
이때 내어온 법이 인간세상 부부 사이의 법이라. 열 아이 낳아도 하나도 보람 없는 부부 사이의 법이다. 강림이가 저승 갈 때 신이든 버선이든 신고 갈 땐 좋아도 저승에서 돌아와서 벗어보면 신었던 것과 닮지 아니한 우리들 부부 사이의 법이다.
여러분도 우리 굿에 나오는 대목 그대로 같이 저승 가는 길을 닦아야 한다. 자, 어떤 다리를 놓아 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