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23

..

남들은 점점 강해지는데…

한국팀 상대 D조 3개국 전력 분석 … 측면 허점 과감히 공략해야 득점 가능

  • < 최원창/ 굿데이 축구부 기자 >gerrard@hot.co.kr

    입력2004-10-29 13:1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02년 한·일 월드컵 본선 조추첨 이후 80여일이 지났다. 폴란드전 무승부, 미국전 승리를 통해 승점 3점을 챙김으로써 16강에 진출한다는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한 것일까. 한국과 함께 D조에 속한 폴란드, 미국, 포르투갈은 그동안 어떤 전력 강화책을 마련했고 새로운 전술 변화를 꾀했을까.

    전 세계적으로 ‘A매치 데이’였던 2월14일 치러진 평가전을 살펴보면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최전방 공격수`-공격형·수비형 미드필더-중앙수비수로 이어지는 ‘센터라인’의 강화가 그것. 주춧돌과 기둥이 바로서야 집이 튼튼한 것처럼 축구에서도 센터라인이 강해야 경기 밸런스와 템포 조절이 용이하고 측면 공격이 원활해질 수 있다.

    ‘포르투갈·폴란드·미국 쾌청, 한국 흐림’으로 요약되는 그간의 경기내용을 살펴보면 D조 상대팀 3개국은 센터라인 주축을 확정해 놓은 상태에서 섀도 스트라이커와 좌우 날개, 윙백을 집중적으로 테스트했다. 데이터와 기록으로만 전해졌던 D조 상대팀들의 전력과 전술 흐름을 구체적인 경기 내용과 스타일을 통해 정밀분석해 보자.

    폴란드 | 공격라인 다변화 & 측면공격 스피드 강화

    “올리사데베 없이도 골 넣는다.”



    2월14일 북아일랜드와의 평가전을 마친 예지 엥겔 폴란드 감독은 자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당초 폴란드는 올리사데베의 막강 공격력을 앞세운 팀으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하이토-바우도흐 센터백 콤비의 강한 수비력이 전력의 핵심이었다. 오히려 올리사데베로 집중되는 단순한 공격루트는 감독의 가장 큰 고민거리였던 것.

    그러나 올해 들어 치른 첫 A매치였던 2월11일 페로군도전은 폴란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줬다. 우선 국내리그의 2진급을 출전시킨 페로군도전에서 2골을 터뜨린 주랍스키와 신예 스몰라렉이 공격의 해결사로 급부상한 것. 미드필더로 활약하다 포워드로 전방 배치된 크리샤워베츠는 2월14일 북아일랜드전에서 역시 2골을 터뜨리며 올리사데베의 부동의 콤비로 낙점됐다.

    최대 약점으로 지적됐던 오른쪽 미드필더도 부상에서 회복한 이반 토마시의 가세로 코즈민스키와 제프와쿠프에 치중되던 왼쪽 공격 일변도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또한 페로군도전에서 맹활약을 펼친 왼쪽 미드필더 코소보스키의 발굴도 공격루트 다원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폴란드는 수비-공격 전환이 매우 빠른 팀. 따라서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 카우즈니를 포함해 좌우 측면공격이 살아난다는 것은 우리 수비수로서는 위험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일.

    굳이 약점을 찾는다면 좌우 측면 윙백의 수비조직력이 한 번에 무너진다는 것이다. 공격 가담이 많은 왼쪽 윙백 제프와쿠프의 수비 전환이 다소 늦기 때문에 공간을 내주는 경우가 눈에 띄고 이 때문에 중앙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크워스의 오른쪽 공간도 함께 열릴 수 있다. 한국이 폴란드전에서 득점을 올리기 위해서는 하이토-바우도흐가 버티는 중앙 공격보다는 빠른 패스와 공간침투에 의한 좌우 측면 공격에 사활을 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유럽파들 없이 북중미골드컵 우승을 거머쥔 미국이 2월14일 이탈리아와의 원정경기에서 스튜어트, 무어, 레이나 등 유럽파들을 대거 기용하며 베일을 벗었다. 상대가 월드컵 우승을 내다보는 강호 이탈리아였다는 점과 원정경기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대등한 경기를 이끌어갔다. 아레나 감독이 밝혔던 “미국만의 독창성을 찾겠다”는 계획이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증거다.

    2002년 북중미골드컵은 미국의 전술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결승전까지 5경기 동안 미국이 보여준 공격패턴은 크로스패스에 이은 2선 침투로 한 번에 수비를 무너뜨리는 속도감 있는 루트와 중앙에서도 수비 뒷공간을 이용한 침투패스로 상대의 오프사이드 함정을 역이용하는 지능 플레이. 특히 도너번의 빠른 스피드와 맥브라이드의 제공권이 위력적이었다. 골잡이 스튜어트와 플레이메이커 레이나 등의 주축멤버가 가세한 이탈리아전에서도 이러한 패턴은 달라지지 않았다. 다만 좀더 섬세한 플레이가 가능해지고 레이나가 버틴 중앙 미드필드에서 경기 지배력을 높였다는 것은 눈여겨볼 만하다.

    노장 애구스가 지휘하는 미국의 일자 포백 수비는 여전히 공략 가능한 포인트. 약체들과의 대결이었던 북중미골드컵에서는 단 1실점만 기록한 막강 수비력을 선보였지만 이탈리아전 후반에는 여러 곳에서 약점을 드러냈다. 델 피에로에게 허용한 결승골도 노쇠한 애구스가 잠브로타에게 공을 빼앗긴 것이 빌미가 됐고 미드필드에서의 강한 압박에 수비 전체가 흔들리는 모습을 연출했다. 좌우 윙백들의 공격가담이 적극적이지 않다 보니 측면 주도권을 내주며 힘든 경기를 펼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이 최근 두 차례 미국전에서 1골씩 기록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포르투갈 | 왼쪽 딜레마, 개인 플레이 단점 극복이 관건

    올리비에라 포르투갈 감독의 최대 고민은 피구를 어느 포지션에 기용해야 할 것인지다. 2월14일 스페인과의 원정 평가전의 경우 피구는 왼쪽 날개로 기용됐다. 피구의 원래 포지션은 오른쪽 미드필더. 물론 양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탓에 좌우 가릴 것 없이 뛰기는 하지만 피구의 왼쪽 날개 기용은 포르투갈 공격의 왼쪽 딜레마를 드러내는 것이다.

    피구가 왼쪽 측면을 맡은 것은 월드컵 예선부터였다. 당초 왼쪽은 주앙 핀투가 맡아왔지만 부상과 기복이 심한 플레이 탓에 올리비에라 감독의 신임을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 대신 오른쪽은 S. 콘세이상이나 신예 시마오 등 대체 요원이 풍부하다. 올리비에라 감독은 피구의 오른쪽 크로스패스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지만 여전히 왼쪽 미드필더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 못하다.

    왼쪽 딜레마는 왼쪽 윙백에서도 나타난다. 루이 조르제 등이 맡고 있는 왼쪽 윙백은 포르투갈 수비의 아킬레스건이다. 지난해 프랑스와의 평가전에서 0대 4로 대패했을 때도 대부분 실점이 왼쪽 측면의 허술함이 빌미가 됐고, 유로2000에서도 이 같은 문제점은 여지없이 드러났다. 포르투갈 수비력은 쿠토-조르제 코스타의 중앙수비에 비해 양쪽 측면이 허술하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피구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도 포르투갈의 약점으로 지적된다. 그동안의 경기에서 포르투갈의 공격루트 끝은 항상 피구였다. 2월14일 경기에서 보여준 조르제 코스타의 헤딩골도 피구의 프리킥에서 만들어졌다. 한국팀 수비수들이 세계 최고의 미드필더 피구를 막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든 일이지만 피구의 크로스패스를 막지 않고서는 선전을 기대할 수 없다. 비록 부상으로 스페인전에서 뛰지 못했지만 루이 코스타의 공간 패스 역시 요주의 사항이다.

    결국 한국이 포르투갈과 좋은 경기를 펼치기 위해서는 경기 초반 포르투갈의 약점인 측면공격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효과적인 공격의 시발점으로 지목될 수 있는 부분은 공격에 치중하고 있는 피구의 뒷공간이다.

    월드컵을 향한 구체적인 방향을 잡은 3개국과 달리 한국은 팀슬럼프에 빠지며 흔들리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부실한 센터라인. 골드컵 이후 한국이 사용하고 있는 3-4-1-2 포메이션에서의 센터라인은 2개의 역삼각형과 1개의 삼각형 형태로 틀이 짜여져 있다(그림 참조). 히딩크 감독은 3개의 삼각형으로 패스와 압박을 원활히 할 계획이지만 선수들의 기량과 전술 이해도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점에 봉착해 있다. 과연 히딩크 감독은 한국축구를 위한 화룡점정(畵龍點睛)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월드컵은 이제 100일 남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