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관을 이용하는 방법도 어쩌면 이와 비슷하다. 사람은 흔히 미술관을 ‘그림을 전시하는 공간’이라고만 생각한다. 그러나 요즘의 미술관들은 전시공간 외에도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었다. 미술관에는 휴식공간이 있고 도심 속의 산책로가 있으며, 기발하고 품위 있는 선물을 살 수 있는 가게가 있다. 미술관에 가면 미술사를 배울 수 있고, 직접 그림을 그릴 수도 있으며 아이에게 영재교육을 시킬 수도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연주 공간을 갖춘 미술관이 있는가 하면, 심지어 바비큐를 먹을 수 있는 미술관까지도 있다. 한마디로 미술관은 폭염으로 달아오른 도시에서 가장 쉽고 저렴하게 피서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미술관에서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아트숍. 미술관의 아트숍은 대부분 전시장 옆 가장 목 좋은 자리에 자리잡고 있다. 화집이나 미술 도구, 미술 관련 서적은 물론, 미술 작품을 응용해 만든 기념품이나 생활용품을 팔기도 한다.

미술관에서 열리는 각종 강좌는 전문가적인 수준을 자랑한다. 요즘은 방학을 맞아 어린이들을 위한 미술강좌들이 주로 열리지만, 평소에는 미술 실기와 미술사를 중심으로 한 강좌들이 많다.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의 미술아카데미(02-502-5504)는 미술관의 미술강좌로는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실기와 이론 강의가 있으며 이론은 연구반·작가론·건축 등 개별 주제하에 상당히 심도깊게 진행한다. 한 기의 수강료가 30만~45만 원으로 만만치 않다는 것이 단점이다. 반면 토요일마다 열리는 토요미술강좌는 무료다.
가나아트센터 부설 가나아카데미(02-3217-0237)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령별 미술교실과 실생활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미술품을 만드는 취미교실을 열고 있다. 예술의전당 미술아카데미(02-580-1234)는 원로화가인 김흥수씨가 직접 지도하는 김흥수 영재미술교실이 유명하며, 성곡미술관의 성곡아카데미(02-737-7650)는 ‘작품으로 읽는 20세기 미술감상’ 등 비교적 쉬운 주제를 다룬다. 이밖에 환기미술관(02-391-7701), 금호미술관, 아트선재센터, 중앙박물관 등이 각각 미술강좌를 열고 있다.
커피숍은 미술관의 부대시설로 빠지지 않는 장소. 그런데 커피숍뿐만 아니라 본격적인 식당이 자리잡은 미술관도 있다. 아트선재센터(02-733-8949)에는 특이하게 인도식당인 ‘달’이 있다. 스테인드 글라스로 장식한 좁은 문을 들어서면 붉은 조명과 푹신한 분홍색 의자들이 어우러져 비밀스런 분위기를 자아낸다. 가나아트센터의 레스토랑 ‘빌’도 미술관 내 식당 가운데 베스트로 꼽히는 장소다. 흑백을 주조로 한 인테리어가 미술관 분위기 못지않게 깔끔하고 고급스럽다.

미술관은 도심 속의 산책로를 제공하기도 한다. 광화문에 있는 성곡미술관에는 200여 평 규모의 야외 조각공원과 야외 찻집이 있다. 박영효의 고택을 개조한 인사동 경인미술관(02-733-4448)의 ‘전통다원’은 운치 있는 분위기로 미술관보다 더 널리 알려진 곳이다. 양평에 자리잡은 바탕골예술관(031-774-0745)은 토요일 저녁마다 바비큐 파티를 연다. 주말마다 연극 공연이나 콘서트 후에 바비큐 파티를 벌이며 전화 예약만 하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려는 미술관의 노력은 관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몸짓이다. 그러나 미술관 자체만의 노력은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위에 소개한 미술관들은 대개 상업화랑이거나 기업이 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운영하는 미술관들이다. 때문에 상업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한정 투자규모를 늘릴 수는 없다. 반면 프랑스의 루브르 미술관이나 퐁피두 센터, 영국의 내셔널 갤러리,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은 모두 국·공립 미술관들이다. 대규모 미술관인 만큼 휴식공간 구성이나 관객에 대한 서비스가 더 체계적이고 넉넉하다. 미술평론가 전승보씨는 “상업화랑은 그림을 파는 화랑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고, 관객 서비스는 대규모의 국·공립 미술관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런던의 도심인 트라팔가 광장에 위치한 영국 내셔널 갤러리에는 소장된 그림을 검색할 수 있는 컴퓨터 갤러리가 있다. 검색어, 예를 들면 ‘비너스’를 입력하면 비너스를 그린 모든 그림들의 미술관 내 위치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최상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셔널 갤러리의 입장은 무료다. 전시장은 언제나 인솔교사를 따라온 유치원생들, 그림을 모사하는 미술학교 학생, 은퇴한 노부부 등으로 만원을 이룬다. 런던 시민에게 내셔널 갤러리는 이웃집만큼이나 가까운 공간이다. 국립미술관의 역할은 바로 이런 것이다.
주간동아 297호 (p6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