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57

..

조계사가 문화재를 훼손해?

안전 문제로 대웅전 해체 보수작업 … 전통 문살·벽화·천장 문양 등 사라질 판

  • 안영배 기자 ojong@donga.com

    입력2002-10-24 10:1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계사가 문화재를 훼손해?

    10월6일 조계사 대웅전 해체보수불사 고불식이 개최됐다. 고불식 이후 보수공사에 들어간 대웅전(위).

    ”현대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대한불교 조계종 조계사(서울 종로구 견지동)가 전통문화재를 보존하기는커녕 훼손시키려 든다.” 10월6일부터 해체 보수작업에 들어간 조계사 대웅전 공사 현장을 지켜본 후 문화재 관련 인사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는 비판이다.

    현재 조계사측은 건물구조에 대한 보수공사뿐만 아니라 기단 불단 닷집 공사, 더 나아가 실내외에 새겨진 벽화 및 단청의 새 단장 등 대웅전을 전면적으로 개조하겠다는 입장이다. 예상 공사비만도 30억~40억원 정도 드는 대공사.

    문제는 조계사 대웅전이 서울시 지방 유형문화재 제127호로 등재된 건물이라는 점. 조계사 대웅전은 조선 말기의 건축 기법을 엿볼 수 있는 데다, 화려하고 정교한 의장의 창호(窓戶), 자연미가 물씬 풍기는 내진주(內陣柱), 독특한 벽화 및 문양 등의 가치가 인정돼 문화재로 지정됐다.

    조계사 대웅전은 그 규모 면에서도 전국 사찰 중 으뜸으로 꼽힐 뿐만 아니라 단층 목조건축물로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집이다. 또 대지 1500여평에 정면 7칸(약 30m), 측면 4칸(약 17m)의 전각 형태로 세워져 불전(佛殿) 양식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경복궁 근정전처럼 궁궐에 가까운 이색적인 모습이다. 실제 동서남북 사방으로 계단이 나 있고 다른 사찰의 전각들에 비해 기단이 유난히 높고(높이 1.6m), 대웅전 정면 양쪽으로 해태(海苔)상이 모셔져 있는 것 등은 일반적으로 조선조 궁궐 건축 양식이다.

    ‘사찰 양식 아니다’는 이유로 새단장



    이처럼 궁궐에 가까운 위용을 자랑하는 조계사 대웅전은 ‘건물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는 점도 2000년 9월 서울시 문화재로 지정된 사유 중 하나였다. 그러나 조계사측은 이미 그 전 해 대웅전 기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지붕이 내려앉고 대들보 균열이 진행되고 있는 등 안전상 문제가 있음을 파악하고 있던 상태였다. 어쨌거나 조계사측은 대웅전이 문화재로 지정되자마자 그 이듬해인 2001년 4월 지붕 내부의 안전 문제를 사유로 문화재청에 문화재 보수사업비 지원 신청을 했고, 올해 받은 국고보조금 8억원으로 지붕 천장 부위의 해체 및 보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조계사가 문화재를 훼손해?

    ◀ ▲ 건물 사방의 창호에 새겨진 선도(도교) 계열의 문양들. 봉황과 학은 선도의 상징 동물이다.<br> ▶ 지붕 천장 안쪽의 보머리가 부러져 있어 안전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또 조계사측은 이번 기회에 전통사찰 양식에 맞지 않은 대웅전의 세부 건축 양식도 아예 바꿀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로 이 부분이 문화재 관련 인사들의 비판을 받는 대목. 목아불교박물관 학예연구원 안후상씨(‘조계종사’ 집필위원)의 말이다.

    “조계사 대웅전이 안전상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미 6∼7년 전에 지붕이 조금씩 가라앉는 조짐이 있어 임시방편으로 암갈색 비닐 장막을 씌워두고 있던 상태였고, 해체해 지붕을 다시 이는 방법 외는 별 도리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조계사측은 불단이나 닷집, 마루 등이 전통사찰 양식으로 보기 어렵고, 일부 벽화나 불화 역시 불교 전통기법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건축 양식상 여러 가지 문제가 확인되어 이번 해체 보수공사에서 바로잡겠다고 한다. 이는 대웅전이 미술 및 건축사적 의미가 큰 문화재라는 사실을 망각한 처사다. 다른 건 몰라도 대웅전의 문살이나 벽화, 천장의 문양은 보존되어야 옳다고 본다.”

    조계사가 문화재를 훼손해?

    지붕 천장 안쪽의 벽화와 조각문양. 신선이 피리를 부는 그림이나 용과 봉황이 새겨진 조각들 역시 도교 계열이다.

    조계사 대웅전이 비(非)불교적 양식이라는 것은 다소 충격적인 사실. 어떻게 해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안후상씨는 대한불교 조계종 전신인 조선불교 조계종 창종 역사에서 빚어진 일이라고 설명한다.

    조계사 대웅전은 원래 일제 치하에서 전북 정읍을 근거지로 민족·민중운동을 벌이던 보천교의 성전(聖殿). 당시 보천교 지도자 차월곡(일명 ‘차천자’)은 신앙대상을 모시는 성전인 십일전(十一殿)을 짓는 데 무려 5년에 걸쳐 당시 돈으로 50만원을 들였다 한다. 건물 신축에는 경복궁 중건 당시 도편수인 최원식이 참여하고 연 인원 목공(木工) 7000명, 와공(瓦工) 200명, 석공(石工) 250명, 니장(泥匠) 200명, 잡부 6만5500명이 투입됐다. 십일전은 일제가 남산에 만든 신궁(神宮)에 대항해 한민족의 정신적 구심점으로 삼겠다는 의도로 건설됐다. 그러다 1936년 차월곡이 사망한 후 일제의 폭압에 의해 교단이 풍비박산됐고, 그 와중에 조선총독부 내락을 얻은 불교계가 십일전을 단돈 1만2000원에 사들여 1938년 오늘의 자리로 이축했다는 것.

    안후상씨는 보천교를 선도교(仙道敎)라 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우리의 민간 도교적 요소가 강한 민족·민중 종교라고 규정한다. 조계사 대웅전(십일전)의 벽화나 문살, 그리고 천장의 문양이나 조각들이 불교 양식과는 거리가 있는 것도 바로 선도적 색채가 담겨 있기 때문. 또한 보천교는 망해버린 조선왕조를 대신해 새 왕조 개창을 염두에 둔 까닭에 대웅전의 대부분을 궁궐 양식으로 지었다는 것. 서울시가 문화재로 지정할 때 바로 이런 건축물의 양식과 문양, 그림 조각 등을 참조했을 것이란 게 안씨의 설명이다.

    반발 거세 공사진행 여부는 미지수

    조계사가 문화재를 훼손해?

    ▲ 보천교 십일전을 해체해 현 조계사 자리에 재건축하는 모습.<br>▼ 대웅전의 모체인 보천교 십일전.

    그러나 조계사측도 할 말은 있다. 대웅전 해체보수불사 관계자의 말.

    “조계사 대웅전은 한국 불교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에게 한국 불교, 즉 우리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서울시가 대웅전을 문화재로 지정한 것은 비단 건축사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사찰이라는 점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따라서 대웅전을 좀더 전통불교식으로 복원하는 것이야말로 꼭 필요한 일이다.”

    조계사측은 보수공사에 국고가 지원된 것은 서울시가 이런 뜻에 공감했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조계사측은 불자들이 자발적으로 기금 모으기 운동을 펴 지금까지 4억원을 모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조계사측의 뜻대로 공사가 진행될지는 의문이다.

    서울시 문화재과 관계자는 “조계사 대웅전은 문화재로 지정된 이상 최소한의 보수공사 이외에는 회화적 장식이나 건축양식, 단청 등은 모두 그대로 놓아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 “이런 지침을 이미 관할 시행청인 종로구청에 전달한 바 있다”고 말했다.

    문화재 관련 인사들 사이에서는 조계사측이 대웅전을 문화재로 지정받아 ‘혜택’을 받으려 했다가 오히려 발목을 붙들린 형국이 됐다는 말도 나돈다. 또 조계종이 전통불교 양식을 고집할 경우 불교적 양식의 대웅전을 새로 짓고, 현재의 대웅전은 원래 있던 정읍의 보천교 터로 이전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지 않느냐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실제로 ‘보천교의 고향’인 정읍에서는 조계사 대웅전 해체불사와 관련해 보천교 건물 이전에 관심을 기울이는 분위기도 일고 있다는 것. 과연 조계사 대웅전은 앞으로 어떤 변화를 겪게 될지 지켜볼 일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