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21

..

경인지역 최초 성공, 최절정 시험관아기 시술 실현

부천 서울여성병원 미성숙 난자 체외수정 임신술

  •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입력2010-01-21 17:1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인지역 최초 성공, 최절정 시험관아기 시술 실현

    미성숙 난자 체외수정술에 대해 설명하는 송현진 부천 서울여성병원 병원장.

    이미숙(가명·36) 씨는 지난해 지옥과 천국을 오가는 삶을 살았다. 26세에 결혼한 후 10년 동안 간절히 아기를 원했지만 삼신할머니는 그녀에게 쉬 손을 내밀지 않았다. 그간 불임을 치료하려고 온갖 시도를 했지만 허사. 매사가 짜증스럽고 불안해 우울증에 걸릴 지경이었다. 그녀의 불임은 난자가 성숙하지 못한 상태에서 배란되는 다낭성 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때문으로, 미성숙한 난자가 자궁으로 배란되니 정자와 만나 제대로 수정될 확률이 거의 없었다. 그나마 미성숙 난자도 1년에 한두 번밖에 배출되지 않았다. 1년에 생리를 한두 번밖에 하지 않는다는 의미. 그만큼 자연임신이 될 확률이 낮았다.

    그래서 이씨가 선택한 것이 미성숙 난자를 몸 밖으로 빼낸 뒤 성숙시켜, 정자와 수정시킨 다음 배양해 자궁에 다시 착상시키는 ‘미성숙 난자의 체외수정을 통한 임신’이었다. 난자의 성숙과 수정란의 배양이 워낙 어려워 국내에서도 서울지역의 몇몇 초대형 산부인과병원만이 성공한 시술. 그녀는 용기를 내 몇 군데 병원을 찾아 3~4번 시도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만만치 않은 ‘시험관아기’ 비용을 날린 것도 억울했지만 시술할 때마다 마취를 하고 미성숙 난자를 난소에서 꺼내는 일도 고역이었다. 그녀는 ‘이제 끝’이라는 체념에 빠져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경인지역 불임 전문병원으로 잘 알려진 부천 서울여성병원(병원장 송현진)을 알게 되면서 조금씩 희망이 생겨났다.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12월 초 미성숙 난자의 체외수정을 통한 임신에 다시 도전했는데,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1월 중순 현재 이씨의 아기는 3개월에 접어들며 잘 자라고 있다. 부천 서울여성병원은 이로써 경인지역 최초의 미성숙 난자를 이용한 체외수정 및 임신 성공 병원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이제 미성숙 난자의 체외수정과 임신을 위해 대학병원 등 초대형 산부인과병원을 찾아야 하는 시대는 막을 내리고 있다.

    여성 불임의 30% 차지 다낭성 난소증후군

    요즘 들어 결혼은 하되 아이를 갖지 않는 ‘딩크’족이 급속히 늘면서 저출산이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반대편에선 불임으로 우울증에 시달리는 부부도 적지 않다. 보건복지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국내 불임부부는 9만 쌍에 이르고 불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지난 10년 사이 2배로 늘었다. 이처럼 불임환자가 늘어난 까닭은 고령 출산과 환경호르몬, 스트레스,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 등 후천적 원인을 꼽을 수 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선천적 요인이다. 불임 원인을 남녀별로 보면 여성 요인이 60~70%이고 남성 요인이 20~30%다. 나머지 10%는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여성 불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씨처럼 PCOS 때문에 임신에 실패하는 사람도 30%에 달한다. PCOS는 난자의 배란이 3개월 이상 이뤄지지 않거나(만성 무배란), 난소에 있는 난포가 완전한 난자가 되지 못한 미성숙 상태에서 배란되는 경우를 총칭하는 질환명이다. 정상적인 여성에게 임신은 한 달에 한 번 난소에서 생산된 난자가 나팔관에서 정자와 만나 수정란이 된 뒤 자궁에 착상하면서 시작되는데, PCOS가 있는 여성은 난자가 난소에서 아예 벗어나지 못하거나 미성숙한 상태에서 배란되기 때문에 임신의 확률은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경인지역 최초 성공, 최절정 시험관아기 시술 실현

    미성숙 난자③에 배양액을 넣고①인큐베이터에 넣어② 성숙 난자④로 만드는 과정.

    PCOS의 진단은 증상과 연계돼 시행된다. PCOS가 있는 여성은 만성 무배란과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과다로 인한 고안드로겐혈증(다모증, 여드름, 탈모 등), 비만 등의 특징을 보이는데, 다낭성 난소증후군이라는 병명이 의미하듯 난소에 10개 이상의 난포(미성숙 난자)가 염주 모양을 하고 있다.

    신체검사와 혈액검사, 골반 초음파검사, 병력 청취 등을 통해 PCOS가 확인되면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체중 감량은 1차적 치료법인데, 약 5%만 줄여도 다모증과 여드름 등 고안드로겐혈증에 의한 증상이 호전되며 생리주기와 배란의 정상화도 기대할 수 있다. 피임제 등을 이용해 무배란이나 불규칙한 생리주기를 교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자궁내막을 자극해 과증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심혈관 질환이나 제2형 당뇨병(인슐린 저항성 당뇨병)과 같은 PCOS의 또 다른 합병증도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다. 일부 약물은 인슐린 저항성을 줄이고, 안드로겐 농도를 감소시키며, 무배란이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효용성에 대해 논란이 있다. 송현진 병원장은 “약제를 사용하기 전에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유지하는 등 생활습관의 변화가 장기적인 고인슐린혈증에 의한 합병증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PCOS가 있다 해도 모두 불임이 되는 것은 아니다. 치료를 잘 하고 배란유도제를 사용하면 임신에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가운데 10%는 자연임신이 안 되는데 이럴 때는 체외수정, 즉 시험관 시술을 받아야 한다. 이씨가 그런 경우로, 우리가 흔히 시험관아기라고 말하는 체외수정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되는 과정이 인체의 나팔관이 아닌 체외에서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체외에서 수정된 수정란은 3일 또는 5일 동안 배양한 뒤 배아 상태에서 자궁에 착상시킨다. 송 병원장은 “이때 자궁에 배아 상태의 수정란을 밀어넣는 기술이 가장 어렵고, 이 기술에 따라 착상 성공률이 결정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번 잘못하면 2~3개월을 쉬어야 하는 데다 비용 부담도 적지 않아 엄청난 집중력이 요구된다”고 말한다.

    “한 치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

    PCOS 환자의 난소에서 미성숙 난자를 빼내 체외수정을 하는 경우에는 수정을 시키기 전 성숙시키는 과정이 오히려 착상보다 난이도가 따른다. 미성숙 난자는 호르몬이 첨가된 특수한 배양액에서 만 하루 이상의 성숙배양 과정을 거치는데, 병원 연구실의 오랜 경험과 노련함이 없으면 대부분 실패로 끝난다. 송 병원장은 “난소에서 매우 작은 난포 상태로 미성숙 난자를 빼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되지 않은 의사가 하면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그 과정에서 손상을 주게 된다. 성숙 과정에서도 기본 배양액에 첨가물질을 넣어야 하는데, 어떤 것을 얼마만큼 넣느냐에 따라 성숙 성공 확률이 정해진다”고 밝혔다.

    미성숙 난자의 체외수정에 성공한 산부인과병원이 국내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적은 이유는 이런 어려움들 때문이다. 경인지역에선 이씨의 미성숙 난자를 성숙시켜 체외수정에 성공시킨 부천 서울여성병원이 최초. 송 병원장은 “미성숙 난자의 체외수정에 성공한 만큼 자신감이 생겼다. 더 많은 불임여성이 이 시술로 아기를 갖는 기쁨을 누리기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