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54

..

삶이 팍팍할 때 무덤을 찾는 이유

  • 이 원 규/ 시인·생명평화탁발순례단 팀장 jirisanpoem@hanmail.net

    입력2004-09-23 16:3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 가을에 문득 생각하나니, 길이 곧 집이었다. 지리산의 외딴집을 나선 지 200여일, 5000여리를 걸으며 생각하니 길이 곧 집이었다. 집 밖에 어디론가로 향하는 길이 있으리라 믿었지만 그게 아니었다. 모든 길이 곧 집이었다. 집과 길은 자웅동체의 한몸이었다. 점과 점을 이으면 선이 되듯이, 집과 집을 이으면 그게 바로 길이된다.

    나그네는 이 사실을 잘 알기에 발바닥 밑이 모두 안방 구들장이요, 마을 입구의 당산나무 그늘이 바로 집이요, 숲 속의 잘 모르는 무덤도 집이다. 나그네는 가야 할 길이 따로 없고 이 세상 어디에나 다만 늘 도착하는 집만 존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그네는 함부로 자살하지 않는다.

    21세기 현대인들에게 집은 무엇인가. 한평생 집 한 채 장만하기 위해 몸부림치다 죽어 두 평의 집 무덤 하나 가지는 게 인생의 전부라면 길은 어디에 있는가. 집과 무덤으로 곧바로 향하는 무한질주의 행로 속에서 과정으로서의 길은 적당히 생략되어도 좋은가. 그것이 인생인가.

    과정으로서의 길을 생략하고, 길이 집이라는 사실을 외면한 채 집착과 욕망으로서의 집만 존재할 때 오히려 우리는 자주 길을 잃게 되는 것이다. 잃은 길도 길이요, 좌불안석의 집도 집이라는 사실을 애써 무시하고 앞만 보고 달려가다 보니 더더욱 혼돈의 길이 아닌가. 옆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결과와 목표만을 추구하며 살다보면 그 화사해 보이던 결과의 꽃마저 바로 죽음의 조화요, 무덤 자리일 뿐이다.

    하여 이 가을에 벌초하고 성묘하는 것 아닌가. 벌초와 성묘는 감사와 반성과 참회의 한 양식이다. 이 세상을 물려준 조상에 대한 감사의 큰절이자 무언가 잘못 살아온 날들에 대한 참회요, 새로운 다짐의 소중한 의식이다. 바로 여기에 인생살이의 핵심이 있다.



    살다보면 너무나 힘들고 앞길이 캄캄할 때 우리는 소중했던 이들의 무덤을 찾아간다. 적당히 슬프고 적당히 힘들 때는 무덤을 찾지 않는다. 왜 그럴까. 평상시에는 정신없이 잊고 살다 집에서 무덤으로 이어지는 인생, 그 과정의 실체를 바로 보는 계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미 죽은, 소중했던 이들이 행여 우리의 삶을 통째로 바라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섞인 자기 성찰, 이것이 오히려 삶을 풍성하게 한다. 자기 자신의 삶을 객관화해보는 좋은 기회로 작용하는 것은 분명하다.

    길이 곧 집이요, 집이 곧 무덤이다. 그리하여 무덤이 곧 인생을 되돌아보는 길을 제시하니 나그네는 절대로 자살하지 않는다. 먼 길을 가다보면 무슨 사연인지 버스 정류장에서 아이를 안고 우는 여인이 있고, 쪼그려 앉아 담배를 피우다 어깨를 들썩이며 홀로 강변을 걷는 사내가 있다. 아파트 난간을 넘어 허공으로 한 발짝 내딛는 남과 여가 있으며, 농약을 마시거나 칼을 휘두르는 이들이 있다. 어차피 인생은 고해라지만 모두 집과 무덤 사이에서 문득 길을 잃었기 때문이다.

    벌초와 성묘 자기 자신의 삶 객관화 좋은 기회

    이 가을의 나그네로서 한 가지 제안을 하고 싶다. 문득 삶이 팍팍하거나 슬프거나 쓸쓸하거나 외롭거나 절망적일 때 가장 가까운 누군가의 무덤을 찾아가라고 권하고 싶다. 친척이나 친구가 아닌 잘 모르는 이의 무덤이라도 좋다. 그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 어떻게 살다 무슨 사연으로 죽었는지 알 수 없지만 잘 모르는 이의 무덤 앞에 소주라도 한잔 올리고 큰절을 해보라. 그리고 그에게 고해의 상담을 해보라.

    ‘당신은 살아 생전에 문득 삶이 팍팍하다고 느껴질 때 어찌했는지, 슬프고 외롭고 절망적일 때는 또 어찌했는지, 행여 지금 무덤 속에서 후회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묻고 또 물으며 펑펑 울어도 좋다. 그러고 나면 알게 되리라. 무덤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오던 길보다 더 환해지고,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할지, 또 설사 원수라 하더라도 가까운 이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우리가 죽어 마침내 무덤을 집으로 삼을 때 후세들에게 물려줄 ‘21세기 타임캡슐’은 지구를 덮어가는 쓰레기 매립장이나 무덤뿐만이 아니다. 바로 집과 무덤 사이의 무한한 공간과 시간의 길이다. 그대가 오늘 지금 이 순간에 하나 둘 찍고 있는 발자국들의 화석, 그것이 바로 21세기의 타임캡슐이자 희망의 길이다.



    칼럼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