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한-베트남 상생 | 포스코건설

포스코건설, 호찌민의 하수처리를 책임진다

수질 오염 해결 위해 베트남 정부만큼이나 발 빠르게 대응

  • 호찌민=박세준 기자 sejoonkr@donga.com

    입력2019-11-22 14:42:1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호찌민=박세준 기자]

    [호찌민=박세준 기자]

    베트남 호찌민은 보기에는 수자원이 풍족한 도시다. 호찌민은 인구 약 950만 명, 면적은 서울의 2배가량이다. 이 큰 도시의 가운데로 강이 흐르고 있다. 서울 강남과 강북의 경계가 한강인 것처럼 호찌민의 남북을 ‘동나이강’이 가른다. 호찌민의 젖줄로 불리는 ‘사이공강’은 시 외곽에 맞닿아 흐른다. 

    도시 안팎을 강이 지나지만 정작 수자원은 부족하다. 하수처리 시설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하수도 늘어나는데 처리 시설이 감당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형 하수처리 시설은 하나뿐. 나머지는 도시에서 작은 하수처리 시설로 자체적으로 해결한다. 당연히 하루가 멀다 하고 강물 상태는 나빠지고 있다. 그런데 유일하게 대형 하수처리 시설을 지어 운영하는 곳이 한국 포스코건설(포스코)이다. 2014년 첫 삽을 뜨고 5년이 지난 지금은 하루 16만1000t의 하수를 처리하고 있다. 추후 설비를 증설해 지금의 4배에 달하는 하수를 처리하는 것이 목표다. 

    11월 12일 호찌민 도심에서 10km가량 떨어진 포스코 하수처리장을 찾았다. 가는 길에 동나이강을 건너야 했다. 사이공강보다 폭이 넓어서인지 도시 외곽으로 지류가 여기저기 핏줄처럼 뻗어 있었다. 하수처리장으로 가는 길에도 꽤 많은 하천을 만났고, 사람들이 낚시를 하고 있었다. 뭐가 잡히나 싶어 강을 내려다봤지만 강물 속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강물은 마치 진한 믹스커피 같은 색이었다. 현지 주민은 “그나마 낚시할 수 있는 하천은 깨끗한 편”이라며 “심하게 오염된 하천에서는 검은 물이 흐르기도 한다”고 말했다. 호찌민에서 오래 살고 있는 한인들이 웬만하면 먹지 말라고 신신당부한 것 가운데 하나가 민물고기인 이유를 그때 알았다.

    썩어가는 베트남 하천, 포스코가 나섰다

    실제로 베트남의 수질 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다. 세계은행(WB)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가정의 60%가 생활 폐수를 공공 하수도로 배출한다. 그중 폐수처리 단계를 거쳐 배출하는 가정은 10%에 불과하다. 오염 피해도 심각하다. 베트남 보건당국 조사에 따르면 연평균 9000여 명이 수질 및 위생 시설 불량으로 사망하고 있다. 

    포스코가 맡은 과업은 호찌민시 도시토목시공 투자국이 발주한 ‘하수처리장 2단계 공사’(일명 ‘물 환경 개선’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의 공사 금액은 총 1292억 원. 포스코의 수주액은 이 중 743억 원(57%)이다. 포스코는 이미 하루 하수처리 용량 16만1000t 규모의 1단계 하수처리장을 완공했다. 이 옆에 추가로 같은 시설을 증설하는 공사를 맡았으며, 공사가 끝나면 하루 하수처리 용량은 32만8000t까지 늘어난다. 포스코는 이 사업을 수주하고자 글로벌 수처리업체와 공동으로 시공에 나섰다. 세계적 수처리업체인 프랑스 베올리아(VEOLIA)의 자회사 OTV와 일본 히타치(Hitachi)가 포스코의 파트너다. 이 둘은 각각 공사의 32%와 11%를 담당한다. 공사는 2015년 7월 29일에 시작해 2020년 1월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깨끗한 물 위해 난도 높은 공사 진행

    하수처리장 여과조의 내부. [사진 제공 · 포스코건설]

    하수처리장 여과조의 내부. [사진 제공 · 포스코건설]

    베트남 남부지역은 농사에는 최적이지만 건설에는 최악의 땅이다. 일단 비가 너무 많이 온다. 공사를 위해 콘크리트 도로를 깔아놓아도 우기가 지나면 무른 지반 때문에 도로가 전부 깨진다. 토목공사가 거의 끝난 포스코 하수처리장에서도 콘크리트 도로를 찾아볼 수 없었다. 발이 푹푹 꺼지는 진흙길 위를 오토바이나 자동차가 위태롭게 지나다녔다. 포스코 관계자는 “공사가 한창일 때는 콘크리트 도로를 계속 깔았는데, 우기를 버티지 못하고 전부 깨졌다. 지금은 무거운 자재를 옮길 일이 거의 없어 다시 도로를 깔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문제는 지반으로, 대부분 연약지반이라 암반층을 찾기 어렵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연약지반에서는 공사가 힘들다. 보통 대형 토목공사를 할 때면 암반층까지 ‘파일’이라고 부르는 대형 말뚝을 꽂는다. 이 말뚝을 기둥 삼아 공사를 해나가는 셈이다. 하지만 연약지반에서는 암반층을 찾기 어렵다. 결국 암반에 기둥을 세우는 대신, 기둥 개수를 늘린다. 단단한 지반이 아닌, 많은 기둥의 마찰력에 기대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포스코 하수처리장도 원리는 같다. 지반에 40m 파일을 8000개 심는 방식으로 기초 공사를 했다. 동시에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하고, 토목공사와 철근공사를 거쳐 하수처리장을 만들었다. 이번 2단계 공사는 전부 지상 하수처리장이다. 포스코 측은 “한국에서는 악취 민원 때문에 하수처리장을 대부분 지하에 설치하지만, 이곳은 아직 님비 현상이 없다. 게다가 연약지반에 지하화까지 하면 공사비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다”고 말했다. 

    기자가 찾아간 11월 12일은 공사가 이미 마무리 단계였다. 구조물은 다 올라와 있었다. 이곳 하수처리장은 하수에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해 오염원을 분해하는 방식이다. 미생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시설은 물론, 하수 찌꺼기에서 물을 빼내는 탈수기동과 중력 농축조 공사도 마무리됐다. 

    새 정화조에는 물이 조금 차 있었는데, 누수 같은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작업이었다. 포스코 관계자는 “사실 지금도 가동이 가능한 상황이다. 당국의 허가와 안전성 검사만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지금 같은 규모의 하수처리 시설을 하나 더 지을 예정이다. 현재 해당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이 단계까지 공사가 끝나면 하루 총 49만9000t의 하수처리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호찌민시 환경개발계획에 따르면 하수처리장 2단계 공사가 완료되면 정부 당국이 상황에 따라 3단계 추가 증설도 검토할 계획이다. 호찌민시는 하루 100만t의 하수처리 시설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