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전 직원의 23% 대상 인력 조정
10월 10일 서울 중구 노보텔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김영섭 KT 대표가 KT의 AI(인공지능) 사업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KT 제공]
이동통신 3사(KT, SK텔레콤, LG U+)가 인공지능(AI) 회사로 전환을 추진하면서 주 먹거리였던 통신 분야 인력을 감축하고 있다. KT는 10월 21일부터 11월 4일까지 자회사 전출 및 특별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KT에 따르면 자회사 전출과 특별희망퇴직 신청자는 4500여 명으로 기존 KT 직원 수의 23%에 달한다. 자회사 KT netcore(가칭)와 KT P&M(가칭)으로의 전출 신청자는 1723명, 특별희망퇴직 신청자는 2800여 명이다.
LG U+와 SK텔레콤도 일찌감치 인력 재배치를 통해 AI 투자를 위한 실탄 마련에 나섰다. LG U+는 5월 오프라인 영업직군 내 인력 재배치를 완료했다. 130여 개 수준이던 소매직영점을 최대 25% 없애고 대형 유통점 직원 500여 명을 소매직영점으로 이동 배치했다. 이 과정에서 100여 명은 사측이 제공하는 수천만 원 규모의 창업 지원금을 받고 퇴직했다. SK텔레콤은 9월 사내 퇴직 프로그램 ‘넥스트 커리어’ 가입 직원에게 지급하던 격려금 규모를 기존 5000만 원에서 3억 원까지 늘렸다.
이동통신사 직원들은 “통신사가 희망퇴직 무풍지대 ‘꿀보직’이라는 인식은 옛말”이라고 말했다. KT 직원 김 씨는 “통신 부문에서는 경쟁자가 2개뿐이고 통신사업은 자동차나 반도체처럼 경기를 타지도 않기 때문에 수년 전 KT에 입사했을 때는 안정적인 직장이라고 느꼈다”면서 “지금은 사내 교육을 많이 받아 좋은 부서로 이동하거나, 이직을 위해 자기개발을 하고 자기소개서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통신+AI’ 시장, 연평균 성장률 전망치 43.1%
이동통신사들이 AI로 눈을 돌리는 것은 회사 영업이익 성장세가 둔화하는 한편, AI 시장 성장성은 높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조4800억 원이다. 지지난해 영업이익(4조3834억 원)에서 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이동통신사들이 새 먹거리로 택한 AI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43.1%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30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통신 사업과 결합한 AI 시장 규모는 2024년33억4000만 달러(약 4조6000억 원)에서 2032년 587억4000만 달러(약 81조1700억 원)로 커질 것으로 예측됐다. 안현철 국민대 경영정보학부 교수는 AI와 결합한 통신사업 수익성에 대해 “최근 이동통신사들이 통신 시장 포화와 수익 한계에 대응하고자 ‘탈통신’을 추진하고 있는데, AI는 통신 사업과 시너지 효과가 커 가장 핵심적인 탈통신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동통신사는 이미 AI 기업으로 체질 전환에 나섰다. KT는 9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향후 5년 동안 AI 사업에 총 2조4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KT와 MS는 또 내년 1분기에 AI·클라우드 분야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AX(AI 전환) 전문기업’을 설립한다. LG U+는 2028년까지 AI 데이터센터에 1조300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로드맵을 세운 상태다. SK텔레콤은 7월 미국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기업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에 2억 달러(약 2760억 원)를 투자했다.
안현철 교수는 이동통신사의 AI 전략에 대해 “지금은 AI 원천기술 개발과 관련된 과학자들이 노벨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받는 AI 시대”라며 “그 어떤 산업보다도 ICT(정보통신기술) 산업을 이끄는 대형 통신사들이 빠르게 AI로 전환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가 도입·확산하는 과정에서 인력 재배치나 구조조정 문제, 보안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가면서 AI 혁신을 적극 수용하는 것이 사회 발전을 위한 해법”이라고 밝혔다.
임경진 기자
zzin@donga.com
안녕하세요. 임경진 기자입니다. 부지런히 듣고 쓰겠습니다.
“여성에 적대감 표출한 尹 정부… 그 불신이 광장에서 분출”
사법리스크 이재명도 재판 고의 지연 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