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26

..

이제는 벗어나야 할 상투적인 ‘빌런’ 세계관

[미묘의 케이팝 내비] 아티스트 고민 더해 곡 완성도 높여야

  • 미묘 대중음악평론가

    입력2022-02-16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이그룹 ‘드리핀’. [사진 제공 · 울림엔터테인먼트]

    보이그룹 ‘드리핀’. [사진 제공 · 울림엔터테인먼트]

    보이그룹 드리핀(DRIPPIN)의 새 미니앨범 ‘빌런(Villain)’은 단단한 비트와 탄력적인 그루브로 매섭게 몰아친다. 동명 타이틀곡은 물론, 수록곡 하나하나가 일관된 기조 아래에서 조금씩 결을 달리하며 기본 이상을 해내는 준수한 곡들이다. 앨범 완성도를 중시하는 최근 케이팝 흐름 안에서도 놓치기 아쉬운 작품이다. 어두운 비장미와 상쾌함을 효과적으로 조율해냈다. 이 수작에서 물음표가 남는 것은 오직 타이틀곡 가사다. 연애 상대를 ‘덮치고’ ‘삼키고’ ‘무너뜨린다’는 대목들이 눈에 밟힌다. 젠더 갈등이 우리 사회 주요 의제로 대두되는 상황이라 더욱 그렇다. 또한 이 곡에서 그런 행동들은 히어로물 속 악당을 일컫는 ‘빌런’의 특수 능력으로 이뤄진다.

    케이팝이 꼭 선한 내용만 다루는 것은 아니다. 사회 정의에 대치되는 인물의 이미지는 이 산업 초기부터 꾸준히 나왔다. 1세대에서는 학교 폭력에 대한 복수, 해결사, 폭주족 등이 등장했다. 빅뱅 등으로 대표되는 2세대의 경우도 뮤직비디오 속 아이돌은 자주 경찰에 쫓기거나 죄수로 수감되거나 폭동과 소요를 일으키는 모습이다. 이는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로부터 익숙한 이미지들을 가져온 것이기도 하다. 사회 관념과 불화하는 청소년들의 심경을 대변하기도 했고, 때로는 단지 긴박하고 거창한 무드를 조성하는 데 쓰이기도 했다.

    그것이 최근 몇 년간 판타지가 주종을 이루는 통칭 ‘세계관’의 유행을 타면서 빌런으로 이행하고 있는 셈이다. 세계관 유행 자체가 ‘어벤져스’ 시리즈 등 슈퍼히어로물의 종가인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영향권에 있기도 하다. 꼭 아이돌이 아니더라도 힙합, R&B, 포크 등 장르를 막론하고 빌런이라는 표현은 가요 가사에 자주 등장한다. 빌런 개념이 일상화되고 가벼워진 탓도 있겠다. ‘콘셉트 빌런’처럼 특정 영역에 집착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도 쓰일 정도니 말이다.

    흔히 쓰이는 클리셰에 창의력 더해야

    드리핀의 미니앨범 ‘빌런’. [사진 제공 · 울림엔터테인먼트]

    드리핀의 미니앨범 ‘빌런’. [사진 제공 · 울림엔터테인먼트]

    드리핀의 곡 빌런(Villain)에도 등장하는 유행어 “Why so serious”만 해도 그렇다. 배트맨에 대적하는 안티히어로 조커(Joker)의 명대사다. 조커는 수차례 영화에서 박탈당한 유년기, 사회적 낙오자, 광기 등 다양한 면모를 드러내고 재해석돼온 캐릭터다. 다만 이 대사 한 줄은 벌써 10여 년간 그 자체로 생명력을 얻다시피 했다. 이제는 누군가 대충 ‘지독한’ 인간 행세를 하려 할 때 들이미는 마패 같은 상징성을 갖췄다. 우리 대중음악에서도 샤이니, 트와이스, AB6IX, 빅나티(BIG Naughty), 루피, 라비 등 끝없이 많은 아티스트의 가사에 등장한다. 물론 이들 각자는 이 유행어를 자신만의 맥락으로 소화하는 데 창의력을 발휘했고, 많은 경우 성공했다. 다만 그만큼 흔하디흔한, 그래서 원 맥락이나 문제적 용례와 함의마저 지워질 정도로 닳아버린 문장이 된 것도 사실이다.

    이쯤 되면 누구든 빌런이나 조커를 차용할 때 이전보다 훨씬 깊은 고민이 필요할 듯하다. 케이팝에서 콘셉트나 세계관은 더는 노래에 단순히 덧대어진 부가물이 아니다. 노래를 중심으로 한 종합예술을 하나로 묶는 열쇠 역할을 한다. 흔하기 때문에 더욱 흔히 쓰이는 클리셰를 그저 가져오는 것만으로는 케이팝에서 완성도, 더구나 치명적인 매력을 확보하기가 아무래도 어렵지 않을까.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