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천강은 주천(酒泉)이라는 샘 때문에 생겼다. 주천은 수주면 바로 옆의 주천면 주천리에 실재한다. 조선 25대 철종 임금의 태실이 있던 망산(望山)이 주천강 쪽으로 흘러 내려간 발치께에 술샘이 있는데, 그곳엔 전설이 담겨 있다. 술샘에서는 어찌된 영문인지 양반이 가면 맑은 청주가 나오고 상놈이 가면 탁주가 나왔다. 청주가 먹고 싶어진 상놈이 하루는 꾀를 냈다. 갓을 쓰고 도포를 입고 뒷짐 지고 양반걸음으로 거들먹거리며 샘을 찾아갔다.
청주가 나올 줄 알고 샘물을 떠봤더니 여전히 탁주였다. 화가 난 상놈은 샘을 향해 바위를 집어던졌다. 그 뒤로 영영 술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다른 사람이 술샘을 망쳤다는 설도 있다. 술샘 근처에 절이 있었는데, 그 절에서 천한 출신의 고아를 거둬 키웠다. 그 고아는 열심히 공부하여 과거에 급제하였다. 그는 금의환향하여 술샘에 이르러 자기의 변한 신분을 확인하고 싶었다. 샘물을 떠보니, 청주가 아니라 여전히 탁주였다. 화가 난 그는 술샘을 부셔 버렸다. 그 뒤로 술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지금 술샘에서는 맑은 물이 흘러나오는데, 떠먹기는 좀 겁이 나서 물 냄새만 맡아보니 역시 술은 아니다. 이쯤 되면 술 생각이 나지 않을 수 없다.
“주천에 유명한 술이 없습니까? 전해 내려오는 술이 없습니까” 하고 수소문을 했다. 주천면에 동강더덕술 공장이 있다지만, 그곳은 주정에다 더덕을 우린 술이다. 전통 방식이 아니다. 내가 찾고 싶은 것은 발효시킨 전통 술이었다. 그러던 중 ‘영월신문’ 발행인에게서 무릉리에 술 잘 빚는 아주머니가 있다는 소리를 들었다. 영월군에서 기자들이 모이면 그 아주머니 술을 특별히 주문해 먹는다고 했다.

장순일씨는 찹쌀·옥수수·엿기름·황기·누룩을 사용해서 술을 빚었다. 술은 뿌연 탁주였다. 그러나 식혜 빛이 돌 정도로 맑고 쌀알도 동동 떴다. 찹쌀로 빚어서 감칠 맛이 나고, 탄산가스가 들어 있어서 ‘싸아’ 한데 뒷맛은 향긋했다. 도수는 12∼13도쯤 될까, 탁주로는 센 편이었다. 혀 끝에 남는 향이 뭐냐고 묻자, 황기 때문이라고 했다.
뒷맛이 당기는 게 결코 범상치 않은 술이다. 무릉리 술이라고 누군가 신선주라는 이름을 붙여줬다고 한다. 무릉도원 신선주라니 그럴싸하다.
똑같은 술도 누구와 마시느냐에 따라 그 맛이 달라지고, 어디서 마시느냐에 따라 또 달라진다. 무릉도원에 왔으니, 그 이름에 부끄럽지 않은 비경이 있을 것 같다. 무릉리의 유래를 들을 겸해서 면사무소를 찾아갔더니, 조선시대 명필 양사언이 이 고을에 와서 도화꽃이 흘러가는 것을 보고 이곳이 바로 무릉도원이라고 탄성을 질렀다는 곳이 있다고 했다. 그곳은 요선암(邀仙巖)이었다.
신선을 만나는 바위라는 뜻이다. 요선암에는 요선정(邀仙亭)이 있고, 고려시대 마애석불이 있었다. 마애석불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커다란 복주머니 형상의 바위에 새겨져 있었다. 복주머니 부처에게 기도하면, 주머니에서 금방이라도 복을 꺼내 줄 것만 같다.
이 요선정과 요선암은 요선계원들의 소유물이다. 요선계는 300년 전에 이 지방의 토호인 원주 이씨, 원주 원씨, 청주 곽씨의 원로들이 만든 계였다. 향약이 두루 퍼지던 조선 중기에 만들어진 마을 계로 관혼상제에 필요한 물건을 공동 관리하고 규약을 만들어 주민들을 이끌었다. 그 조직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니 놀랍기만 하다.
요선계의 총무인 이상국씨는 요선계 규약을 펼쳐보이는데, 마을에서 큰죄를 지은 사람은 영출(永黜, 영원히 추방)한다고 했다. 그러나 청주 세 동이, 탁주 세 동이, 큰 주안상 세 상을 내면 그 죄를 면해준다는 조건이 달려 있었다. 무거운 벌에 견주어 너무 쉽게 용서해 주는 것 같았다. 그 당시 다른 동네는 어떠했는지 알 수 없지만, 무릉도원다운 흥미로운 사면제도다.
주천강을 내려다보면서 요선정에서 무릉도원 신선주를 기울이니, 신선이 따로 없다. 더욱이 요선정에 걸린 숙종대왕 어제시(御製詩) 현판이 술맛을 더욱 돋운다. 숙종이 지은 7언 율시의 마지막은 이렇게 끝맺고 있다.
“술을 들고 올라와 아이에게 술 따르게 하고 취해 난간에 몸을 맡긴 채 낮잠에 잠기노라” (携登宮 呼兒酌 醉倚欄干白日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