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05

2009.09.29

먹는 것, 성스러움과 게걸스러움 사이

‘맛있는 그림’(혀끝으로 읽는 미술 이야기)

  • 왕상한 서강대 법학부 교수 shwang@sogang.ac.kr

    입력2009-09-23 15:5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먹는 것, 성스러움과 게걸스러움 사이

    미야시타 기쿠로 지음/ 이연식 옮김/ 바다출판사 펴냄/ 272쪽/ 1만5000원

    그림은 눈으로 보고 음악은 귀로 듣고 음식은 혀로 맛을 본다. 그런데 혀끝으로 읽는 미술 이야기가 책으로 나왔다. ‘맛있는 그림, 혀끝으로 읽는 미술 이야기’라니, 말장난일까.

    레오나르도 다빈치 ‘최후의 만찬’, 흥청망청 먹고 마시는 광란을 담은 연회 그림, 거의 모든 음식 재료가 전시된 시장 그림과 부엌 그림, 하잘것없는 일상을 예찬하는 네덜란드 정물화, 종교적 숭고함이 담긴 스페인의 보데곤, 인상주의 화가들의 카페와 레스토랑 정경, 그리고 앤디 워홀의 캠벨 수프…. 옛날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 미술에서 식사의 풍경이 되풀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은 혀끝의 미감으로 서양 미술을 읽어나간다. 음식과 식사 그림을 그린 화가들과 그 그림에 숨겨진 비밀을 풀어내고, 시각 경험과 더불어 후각·촉각·미각 같은 좀더 원초적이고 직접적인 감각으로 서양 미술사를 읽는다. 미감을 자극하는 그림들로 식탁 위 만찬을 펼쳐놓은 이 책은 서양 미술의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도 ‘음식’이라는 키워드에 흥미가 있다면 단숨에 읽어낼 수 있다.

    사실 음식과 식사는 서양 미술에서 늘 중심에 선 주제였다. 특히 예로부터 먹는 일에 탐욕적인 지중해 나라들은 요리를 예술의 영역으로까지 끌어올렸다. 고대 로마 지하묘지 카타콤에서 발견된 벽화엔 빵을 가득 담아놓고 연회를 벌이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또 폼페이에서 발견된 벽화에도 말린 생선과 더불어 어패류가 매우 사실적인 기법으로 묘사돼 있다. 특히 중세에 그리스도교가 음식과 식사에 신성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식사 풍경은 미술의 중심을 차지하게 됐다.

    이 전통이 근대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지고 발전을 거듭하면서 중요한 주제가 된 것이다. 저자 미야시타 기쿠로는 “서양 문화에서 음식은 무엇보다 그리스도교와 결부해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스도교뿐 아니라 어느 문화권에서도 식사에는 종교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가장 다양한 음식 문화를 자랑하는 중국에서조차 음식과 식사의 풍경이 그림에 등장하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아시아에서 근대 이전에 식사가 미술의 독립된 주제였던 적은 찾아보기 힘들다. 식사와 미술의 밀접한 관계는 서양 특유의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식사는 서양의 미술과 문화를 고찰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과 17세기 바로크 미술에 조예가 깊은 저자는 음식과 관련된 방대한 미술 자료를 다루고자 엄밀하고 냉정한 태도를 유지하는 한편, 다채롭고 내밀한 감각적 경험 또한 담백한 필치로 풀어놓는다.

    저자는 미각을 자극하는 미술 작품의 쾌락과 관능을 칭송하는가 하면, 먹는 것의 성스러움과 게걸스러움을 낱낱이 해부한다. 결국 먹는다는 것이 삶과 죽음을 어떻게 연결하는지 미술사적 고찰을 통해 들려준다. 서양 문화에서 식사에 신성한 의미가 부여된 것은 무엇보다 ‘최후의 만찬’, 그리고 그것에 기원해 생겨난 미사 때문이다. 저자는 식사와 미술, 종교가 어떻게 일직선으로 연결돼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으로 책을 시작한다.

    그리고 팝아트 선구자이자 고독한 영혼 앤디 워홀의 유작 ‘최후의 만찬’ 시리즈로 마무리 짓는다. 종교와 미술, 삶과 죽음이 음식과 맺는 관계는 이 책의 전체적인 축을 잇는 연결고리다. 이러한 큰 틀에서 음식 그림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빵과 물만으로 차려지는 성인의 식사, 가난한 자에게 자선을 베푸는 식사, 가치의 전도와 욕망의 해방을 보여주는 연회 그림, 풍성한 식재료가 전시된 시장 그림, 네덜란드의 찬란한 유산인 정물화, 인상주의 화가들이 그린 레스토랑과 카페의 정경 등이 100점이 넘는 진귀한 그림과 함께 소개된다.

    음식에 관한 상징과 알레고리, 공포와 환희, 그리고 현실과 이상을 미술의 거장들이 어떻게 표현했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저자는 평소 폭음, 폭식하는 B급 식도락가를 자칭한다. 음식에 대한 애정이 미술에 대한 흥미를 압도할 지경에 이르자 미술과 음식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생각해보기 위해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그는 ‘먹다’라는 그 단순한 행위가 불러일으키는 숭고함을 포착한 그림들에 눈길을 둔다.

    네 남녀가 커다란 치즈를 먹는 모습이 인상적인 빈첸초 캄피의 ‘리코타 치즈를 먹는 사람들’이나 콩을 먹으려고 입에 숟가락을 가져가는 모습을 스냅샷처럼 포착한 안니발레 카라치의 ‘콩을 먹는 남자’, 늙은 농민 부부가 선 채로 짧은 나무 숟가락으로 콩을 떠먹는 모습을 그린 라 투르의 ‘콩을 먹는 부부’ 등 먹는다는 것의 기쁨과 환희, 숭고함이 전해지는 명작이 소개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