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17

..

생사의 경계에서 만난 절대 美學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 ‘Untitled’(Golden)

  • 김지은 MBC 아나운서·‘예술가의 방’ 저자 artattack1@hanmail.net

    입력2009-12-23 17:2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생사의 경계에서 만난 절대 美學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 ‘Untitled’(Golden), 1995, Photo by David Heald.

    금빛으로 반짝이는 발. 미술관이 아니었다면 얼마든지 발을 통과하며 가느다란 줄들이 몸에 부딪힐 때 내는 사르륵 소리를 즐길 수 있으련만, 관객들은 잠시 머뭇거릴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사진에서 보듯 이 작품만큼은 관객들의 돌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39세라는 젊은 나이에 에이즈로 사망한 쿠바 출신 작가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Felix Gonzales Torres·1957~1996)는 관객이 자신의 작품에 손을 대는 순간, 비로소 작품의 의미가 시작된다고 강조했죠.

    “아니,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구슬발이 작품이라고?”라며 의아해할지도 모를 이들을 위해 이전 작업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는 갤러리 한구석에 비닐로 싼 사탕을 소복이 쌓아놓고 관객들이 껍질을 까 실제로 먹게 했습니다. 그러면 사탕은 점점 줄어들겠죠. 그런데 작품은 ‘무제’라는 제목에 ‘로스는 더 많이’(Untitled, Rossmore, 1991)라는 부제가 붙어 있어요. ‘사탕을 쌓아놓은 게 작품이라고? 나도 할 수 있겠다! 그런데 로스는 또 뭐야?’라고 생각하겠죠? 저도 그랬으니까요. 토레스는 마치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사라지는 작품’을 만들고 싶어 했고, 평생 그 주제에 매달렸습니다. 달콤한 사탕은 입에 넣는 순간 녹아 없어지고, 구석에 쌓아놓은 사탕 무더기는 어느새 텅 빈 공간만을 남깁니다.

    그런데 사탕이 없어지는 동안 작가에게 ‘로스’는 더 많이 생각납니다. 로스는 당시 에이즈로 죽어가던 토레스의 동성 연인으로, 죽음이 점점 가까워지는 연인의 모습을 보는 건 작가에게 큰 고통이었을 겁니다. 사탕의 달콤함과 그것의 사라짐은 짧은 인생과 죽음의 상징입니다. 또 ‘작품을 만지지 말라’는 암묵적 금기를 관객으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깨게 함으로써, 사회적 금기나 편견에 맞설 것을 요구합니다.

    1996년 에이즈로 사망하기 전, 토레스는 붉은 구슬로 발을 만든 작품 ‘무제-피’(Untitled, Blood, 1993)를 선보였는데요. 관객은 핏빛의 발과 접촉하면서 피, 접촉, 감염, 죽음의 은유를 촉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습니다. 작가는 “특히 누군가에 대한 기억을 갖는다는 것은 그 사람과 그것을 기억하는 내가 구별되지 않을 만큼, 즉 내 몸 안에 피처럼 스며드는 상태를 말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미 죽은 연인 로스가 그의 인생에 얼마나 중요한 인물이었는지 알게 하는 대목입니다. 그러던 작가는 죽기 직전 영원을 상징하는 금빛으로 자신의 작품을 마무리했습니다. 어쩌면 죽음이 사회적인 편견과 개인적인 아픔으로 고통스러웠던 자신의 삶보다 더 아름답고 평화로울지 모른다는 기대감 때문이었을까요? 플라스틱 구슬이라는 값싼 재료와 그 위에 찬란하게 반짝이는 금빛. 토레스의 작품 ‘Untitled’(Golden)를 지나가는 순간 관객들은 어쩌면 남루한 일상과 영원한 안식, 삶과 죽음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절대적 아름다움이 존재하는 곳은 바로 삶과 죽음이 만나는 경계에 있는 게 아닐까요. 아주 얇은 하나의 발처럼 말이죠.

    New Exhibition
    생사의 경계에서 만난 절대 美學

    김주현展

    시선의 반격展 한국 사회에 만연한 건설주의적 성장 신화를 비판하는 시각에서 우리의 근현대를 재구성한 전시. 임민욱의 ‘SOS 퍼포먼스’를 통해 재발견한 한강변의 건설 풍경과 오쿠이 엔위저가 동아시아 국가의 개발주의를 남성적 모더니티로 언급한 데서 영감을 얻어 기획됐다. 2010년 1월14일까지/ 두산갤러리/ 02-708-5050



    메가시티 네트워크展 한국 건축에 대한 전시로 지난 2년간의 해외 순회전을 마무리하는 의미로 마련됐다. 초고밀도, 초고층화가 주도하는 거대 도시의 냉혹한 건축시장에서 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창의적 건축가들의 네트워크를 집중 조명한다. 12월23일부터 2010년 3월7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02-2188-6000

    김주현展 식물의 일부가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삶을 꿈꾸는 김주현의 개인전. 작가는 실내공간 녹화작업을 통해 우리가 잊고 사는 식물에 대한 절실한 바람을 상기한다. 식물의 성장원리로 생명력을 표현하는 드로잉과 도시 녹화를 위한 실용적인 제안도 함께 선보인다. 2010년 1월17일까지/ 갤러리팩토리/ 02-733-4883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