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95

..

‘三聖八賢’ 배출 전설 점차 현실로?

  • 김두규/ 우석대 교수 dgkim@core.woosuk.ac.kr

    입력2003-07-24 15:5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三聖八賢’  배출 전설 점차 현실로?

    ① 곡부마을 입구의 안내 표석.② 지금까지 남아 있는 ‘곡부강당’ 현판.③ 곡부서당으로 쓰였던 집 전경.

    매화는 만물이 아직 추위에 떨고 있을 때 가장 먼저 피어 봄을 알리는 꽃으로 특히 선비들의 사랑을 받았다. 퇴계 이황 선생 역시 매화를 지극히 사랑했다. 그가 임종을 앞두고 변소에 가지 못하고 요강을 사용할 때 방 안에 있는 매화에게 미안하다 하여 매화를 옮기게 했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그만큼 그는 매화를 아꼈다.

    이 고결한 매화가 지면 그 향기가 사방에 퍼지는데, 매화가 지는 명당에 터를 잡으면, 온 세상을 교화할 수 있는 성현이 나온다고 풍수가들은 이야기한다.

    지금으로부터 30여년 전 서울대 법대 졸업을 앞둔 어느 준수한 청년이 매화낙지(梅花落地) 명당으로 알려진 부여군 은산면 곡부(曲阜·고부실)마을을 찾았다. 공자의 고향마을과 같은 이름을 가진 곡부마을에는 시대의 흐름에 초연하겠다는 듯 ‘곡부서당’이 자리잡고 있었고, 그곳에서는 젊은이들이 성리학을 공부하고 있었다. 그 법대생도 명예와 부를 가져다줄 법조인의 길을 버리고 이곳 서당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사법고시를 준비하면 어렵지 않게 판·검사가 될 수재가 어찌…” 하는 주위사람들의 안타까움을 뒤로 한 채 이곳으로 흘러들었을 그는 매화 향기에 취했던 것일까?

    이곳 곡부마을 주변 형세는 매화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마을 뒷산인 매봉(梅峰)을 중심으로 마을을 둘러싼 산들이 이루는 산세는 매화처럼 부드럽고 화사하다. 마을 앞으로 흐르는 맑은 물과 마을 입구에 드넓게 펼쳐진 논밭은 문외한이 보기에도 좋은 터라는 느낌이 들게 한다. 이 마을에 사는 신원균옹(78)은 이 마을이 “풍수지리적으로 충남에서 가장 좋은 터이며, 예부터 삼성팔현(三聖八賢·3명의 성인과 8명의 현인)이 배출될 것이라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곡부서당의 훈장인 김희진 선생은 이곳 출신이 아니다. 일찍이 고향을 떠나 일부러 매화낙지인 이곳에 찾아들어 서당을 열었다고 한다. 법조인의 길을 가기를 포기한 법대생은 이곳 서당에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공부에 매진했다.



    5시30분: 기상, 청소6시30분:‘성학집요’(聖學輯要·율곡의 저서) 공부8∼9시: 아침식사9시 이후: 소리 내어 읽기(日課 聲讀)12∼13시: 점심식사13시30분 이후: 공부17시 이후: 율곡 이이와 간재 전우(田愚·조선시대 말의 학자)에 대한 토론18∼19시: 저녁식사19∼22시: 공부22시: 취침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지금, 훈장은 작고했고 학생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당시 서당이던 집에는 지금도 ‘曲阜講堂’이란 현판이 걸려 있지만 서당과는 무관한 사람이 살고 있다.

    그러나 봄바람에 매화가 흩어지듯 뿔뿔이 흩어진 곡부서당의 제자들은 큰 학자가 되어 세상을 교화하고 있다. 법관의 길을 버렸던 법대생은 국립대 동양철학과 교수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치며, 15년 넘게 매주 월요일 저녁 40여명의 교수들에게 사서삼경을 강의해오고 있다. 그의 강의를 듣는 교수들은 40대 교수에서 정년 퇴임한 70대의 노교수, 전·현직 대학총장 등 참으로 다양하다.

    이밖에도 곡부서당이 배출한 대표적인 유학자로 성백효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교수, 김신호 성균관 한림원장 등 자타가 공인하는 한학의 대가들이 여럿 있다. ‘훌륭한 군자가 나온다’는 이 마을의 전설이 현실이 돼가는 것 아닐까.



    실전 풍수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