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국효/ 인터넷 독자
지역특구 지정 만병통치약 될 수 없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지역특구 구상의 실효성에 논란이 일고 있다. 언론에 보도된 지역특구 지정 움직임을 보면 기존의 지역특화 전략의 포장만 바꾸려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는 자칫 개발에 대한 기대감만 키우게 하고 소외된 지역에서는 차별의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지역특구와 관계없이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행정규제를 완화하고 지역발전을 위해 진정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주민들은 지역특구 지정 후의 반짝 특수보다는 지속적인 지역발전을 원하고 있다.
김정식/ 서울시 영등포구 문래동
교육감 감시 주민이 나서자
‘교직장사 비리 백과사전’을 읽었다. 보다 나은 교육을 위해 도입한 교육자치제가 각종 비리와 이권 개입으로 근간부터 흔들리고 있다. 교육감 선거에서 검은 거래로 지지자를 사고 그렇게 선출된 뒤에는 돈을 받고 보직을 판다. 세상의 모든 감투를 권력과 돈으로 통하는 사다리로 여기는 한국의 병리적 현상이 교육계라고 예외는 아닌 것이다. 대안은 무엇인가? 교육감을 주민이 직접 뽑는 것은 어떨까? 그러나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이 있다. 주민 참여를 활성화해주민이 교육감을 감시하고 견제하여 아예 비리가 싹트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아무리 직접선거로 당선된 교육감이라 해도 감시하지 않는 주민을 두려워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유세명/ 서울시 동작구 사당2동
쌀의 세계화 본받아야
393호에 실린 ‘쌀의 변신’을 읽고 문득 ‘세계화’란 단어가 떠올랐다. 몇 년 전부터 불어닥친 세계화 바람 속에서 신토불이를 외치며 우리 것을 지키자고 했던 것도 잠시, 인터넷과 위성방송의 보급과 문화 개방, 자유무역협정의 위력에 그 목소리는 힘을 잃은 듯하다. 하지만 여기엔 우리의 잘못된 인식이 깔려 있다. ‘세계화=서구화’란 잘못된 논리와 우리의 전통문화를 무시하는 풍토가 바로 그것이다. 세계화의 위협 속에서도 우리 쌀을 진화시켜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까지 도전장을 던진 농민들에게서 위기에 처한 우리 문화가 가야 할 길을 찾아야 한다.
김정우/ 경남 창원시 반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