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한일월드컵 포르투갈과의 경기에서 박지성 선수의 왼발 슛이 터졌던 인천 문학경기장을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주경기장으로 쓰느냐 마느냐 문제로 옥신각신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광부)와 인천시의 갈등(‘주간동아’ 658호 20~21쪽 참조)이, 우리 정부 대(對)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Olympic Council of Asia) 갈등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OCA 입찰안내서에 명기된 ‘주(主)경기장은 7만석 이상일 것’이라는 조항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것. ‘The desired capacity is a minimum of 70,000 spectators for the Asian Games’라는 문항을 문광부는 권고사항으로, 인천시는 의무사항으로 달리 해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광부는 현재 5만석 규모의 문학경기장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2만석을 증축하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문학경기장을 증축할 경우 경기장 천막을 받치고 있는 12개 기둥 때문에 시야가 가리는 사각(死角) 좌석이 1만2000석이나 생긴다는 이유를 들어 인천 서구에 새 경기장을 짓자고 주장한다.
이에 주간동아가 OCA에 e메일을 통해 7만석 규정이 의무인지 권고인지를 질의했다. 최근 OCA가 주간동아에 보낸 답신에 따르면 7만석은 의무사항이다. OCA 측은 “7만석 규정은 인천뿐만 아니라 15회 아시안게임 개최도시인 카타르 도하(2006), 16회 개최도시 중국 광저우(2010)에도 해당되는 사안이며, 이들 도시는 이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경기장을 증축하거나 신축했다”면서 “아시안게임 개최도시는 개폐막식을 위해 주경기장 좌석을 최소 7만석으로 증축하거나 새 경기장을 지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7만석은 의무’라는 OCA의 의견 피력에도 문광부는 입장을 바꿀 의사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문광부 관계자는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주경기장도 5만4000여 석 규모였다”며 “4년 전 문학경기장을 주경기장으로 쓰겠다며 입찰 신청을 한 인천을 개최도시로 선정한 OCA가 지금 와서 7만석 이상의 주경기장을 요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인천시가 2005년 대회 유치 당시 문학경기장을 주경기장으로 쓰겠다고 중앙정부에 약속한 것”이라며 “정부 입장은 변동이 없다”고도 밝혔다.
이에 대해 2014인천아시안게임주경기장 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홍종일 인천시 부시장은 “당시 인천은 입찰을 4개월 앞두고 급하게 준비하느라 자세한 사항까지 챙기기 어려웠다”며 “유치 후 대회 준비 과정에서 문학경기장이 좌석 문제뿐 아니라 배후공간이 부족해 주경기장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이 나왔기 때문에 신규 경기장 설립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부시장은 “복합문화시설 분양을 통해 908억원의 민간자본을 유치한다면 국비 부담은 616억원으로, 증축 시 국비 부담(528억원)과 88억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인천시 “증축 시 국비 부담 88억원 차이”
문광부가 단호하게 ‘경기장 신축 불가’ 태도를 고수하는 것은 큰돈 들여 건설한 경기장들이 만년 적자에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2002년 한일월드컵 때 지어진 전국의 10개 경기장 중 서울 상암경기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매년 적자를 낳고 있다. 문학경기장도 2004~2006년 사이 2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나라 곳간을 조금이라도 축내지 않으려는 문광부와, 애써 유치한 국제행사를 제대로 치러보겠다는 인천시가 옥신각신하는 사이 시간은 2014년을 향해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 문광부와 인천시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렸지만 합의점 도출 시한을 정해놓지는 않았다. 인천시 아시아경기대회지원본부 관계자는 “프레대회 개최, 개폐회식 연습 등을 위해 2013년까지 주경기장이 마련돼야 하는데 지금까지 결정된 게 없어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문제의 핵심은 OCA 입찰안내서에 명기된 ‘주(主)경기장은 7만석 이상일 것’이라는 조항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것. ‘The desired capacity is a minimum of 70,000 spectators for the Asian Games’라는 문항을 문광부는 권고사항으로, 인천시는 의무사항으로 달리 해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광부는 현재 5만석 규모의 문학경기장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2만석을 증축하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문학경기장을 증축할 경우 경기장 천막을 받치고 있는 12개 기둥 때문에 시야가 가리는 사각(死角) 좌석이 1만2000석이나 생긴다는 이유를 들어 인천 서구에 새 경기장을 짓자고 주장한다.
이에 주간동아가 OCA에 e메일을 통해 7만석 규정이 의무인지 권고인지를 질의했다. 최근 OCA가 주간동아에 보낸 답신에 따르면 7만석은 의무사항이다. OCA 측은 “7만석 규정은 인천뿐만 아니라 15회 아시안게임 개최도시인 카타르 도하(2006), 16회 개최도시 중국 광저우(2010)에도 해당되는 사안이며, 이들 도시는 이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경기장을 증축하거나 신축했다”면서 “아시안게임 개최도시는 개폐막식을 위해 주경기장 좌석을 최소 7만석으로 증축하거나 새 경기장을 지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7만석은 의무’라는 OCA의 의견 피력에도 문광부는 입장을 바꿀 의사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문광부 관계자는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주경기장도 5만4000여 석 규모였다”며 “4년 전 문학경기장을 주경기장으로 쓰겠다며 입찰 신청을 한 인천을 개최도시로 선정한 OCA가 지금 와서 7만석 이상의 주경기장을 요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인천시가 2005년 대회 유치 당시 문학경기장을 주경기장으로 쓰겠다고 중앙정부에 약속한 것”이라며 “정부 입장은 변동이 없다”고도 밝혔다.
이에 대해 2014인천아시안게임주경기장 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홍종일 인천시 부시장은 “당시 인천은 입찰을 4개월 앞두고 급하게 준비하느라 자세한 사항까지 챙기기 어려웠다”며 “유치 후 대회 준비 과정에서 문학경기장이 좌석 문제뿐 아니라 배후공간이 부족해 주경기장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이 나왔기 때문에 신규 경기장 설립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부시장은 “복합문화시설 분양을 통해 908억원의 민간자본을 유치한다면 국비 부담은 616억원으로, 증축 시 국비 부담(528억원)과 88억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인천시 “증축 시 국비 부담 88억원 차이”
문광부가 단호하게 ‘경기장 신축 불가’ 태도를 고수하는 것은 큰돈 들여 건설한 경기장들이 만년 적자에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2002년 한일월드컵 때 지어진 전국의 10개 경기장 중 서울 상암경기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매년 적자를 낳고 있다. 문학경기장도 2004~2006년 사이 2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나라 곳간을 조금이라도 축내지 않으려는 문광부와, 애써 유치한 국제행사를 제대로 치러보겠다는 인천시가 옥신각신하는 사이 시간은 2014년을 향해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 문광부와 인천시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렸지만 합의점 도출 시한을 정해놓지는 않았다. 인천시 아시아경기대회지원본부 관계자는 “프레대회 개최, 개폐회식 연습 등을 위해 2013년까지 주경기장이 마련돼야 하는데 지금까지 결정된 게 없어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