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62

..

르포

한강 수상택시 vs 지하철 출퇴근 시간 40 vs 20분

연계 교통수단 미흡, 걷는 시간 더 걸려…관광용으로 수익 창출 기대

  • 김유림 기자 mupmup@donga.com

    입력2016-11-07 12:42: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월호 사고 이후 운항을 중단했던 한강 수상관광콜택시(수상택시)가 2년 6개월 만인 10월 24일 영업을 재개했다. 세월호 사고 선사였던 청해진해운이 지난해 10월 18억 원을 받고 대한민국특수임무유공자회(유공자회) 측에 사업권을 양도한 것. 수상택시는 2007년 10월 오세훈 서울시장 때 처음 도입한 대안 교통수단으로, 7~11인승 소형 여객용 모터보트다. 당시 서울시는 ‘한강 수상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2006년)’를 통해 하루 평균 1만9500명이 수상택시를 이용할 것으로 추산했지만, 실제 이용률은 참담한 수준이었다. 이용객이 가장 많았을 때는 2009년으로 하루 평균 135명에 불과했고, 2014년 4월까지 평균 7명에 그쳤다. 결국 수상택시는 해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 서울시 예산 낭비의 대표 사례로 지적되며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다. 서울시는 사업 초기 17개 승강장 설치 비용으로 12억 원을 투입했다.

    새 주인인 유공자회는 적자에서 벗어나고자 과거 출퇴근용만 있던 수상택시를 이번에는 출퇴근용(5척)과 관광용(5척)으로 나눠 운행 중이다. 출퇴근용의 경우 예전에는 일반 콜택시처럼 승객이 ‘부르면’ 출동하는 시스템이었으나, 이번에는 출발시간을 미리 정해놓아 승객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해 전화나 인터넷으로 예약하면 된다. 승강장은 총 4개로 여의나루, 서래나루(반포 도선장), 뚝섬유원지, 잠실 승강장에서 출퇴근용 수상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관광용 수상택시는 이 4개 승강장을 포함해 총 17개 승강장에서 승선 가능하다.     

    그렇다면 과거 가장 큰 취약점으로 꼽히던 출퇴근 시 ‘접근성’ 문제는 얼마나 해소됐을까. 일반 대중교통과 비교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기자가 직접 출퇴근용 수상택시를 이용해봤다. 승강장 주변에 사는 사람이 주 이용객이라 가정해 여의도 목화아파트에서 여의나루 승강장으로 가 수상택시를 탄 뒤 서래나루 승강장에 도착해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출근하는 것으로 했다.



    여의나루에서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여의나루 승강장은 서울도시철도공사 5호선 여의나루역 3번 출구 옆 계단으로 내려가면 잔디밭 너머 정면에 위치해 있다. 목화아파트에서 승강장까지 걸리는 시간은 걸어서 4분. 오전 9시 정각 승객 한 명을 싣고 서래나루 승강장에서 출발한 수상택시가 9시 15분 여의나루 승강장에 도착했다. 요금은 인당 5000원이며, 일반 택시나 버스에 부착된 교통카드 단말기가 보트 출입구 오른쪽 벽에 붙어 있다. 요금 지불은 현금, 카드 모두 가능하다. 수상택시에 오르자 선장은 구명조끼 착용법을 설명한 뒤 승객 인적사항 기록표를 건네고는 바로 운전대를 잡았다.



    9시 17분에 출발한 수상택시는 시속 50~60km로 물살을 갈랐다. 7~8명까지 승선 가능한 실내는 비교적 아늑하고 소음도 그리 크지 않았다. 무엇보다 창밖으로 확 트인 한강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으로 다가왔다. 운행 소요 시간도 8분. 말 그대로 눈 깜빡할 사이 목적지인 서래나루 승강장에 도착했다. 하지만 문제는 이때부터였다. 승강장에 아직 연계 교통수단이 마련돼 있지 않은 데다, 한강공원 위쪽 대로변까지는 꽤 멀어 배에서 내려 한참을 걸어야 했다. 서래나루 승강장 바로 옆 세빛섬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가는 셔틀버스가 있지만, 오전 10시부터 운행을 시작하기 때문에 출근하는 직장인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결국 서래나루 승강장에서 대로변까지는 걸어서 가야 하는 상황. 잠수교를 지나 반포지하도로를 걸어 경남아파트 입구까지 올라가는 데 10분 남짓 걸렸다.

    경남아파트 앞 버스정류장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는 한 정거장밖에 되지 않아 버스를 탈 수도, 걸어갈 수도 있는데 기자는 버스를 기다리는 것보다 걷는 게 빠를 듯해 최종 목적지인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걷기로 했다. 서래나루 승강장에서 내려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빠른 걸음으로 20분. 결국 수상택시로 출근하는 데 걸린 시간은 40분 남짓이다.

    그렇다면 지하철로는 몇 분이 소요될까.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에서 한 정거장 떨어진 여의도역까지 5분, 여의도역에서 9호선 급행열차로 환승하는 데까지 3분, 급행열차를 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12분, 총 20분이 걸린다(물론 급행열차 운행 시간에 맞춰 움직일 때). 요금도 1250원으로 수상택시 요금의 4분의 1이다. 촌각을 다투는 아침 출근길에 물살을 가르는 기분을 만끽하고자 돈과 시간을 더 투자할 이유는 없어 보였다. 결국 연계 교통수단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고서는 이번에도 출퇴근용 수상택시 수요를 확보하기 쉽지 않으리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중교통 연계 계획은 마련돼 있지 않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관계자는 “아직 사업 초기 단계라 셔틀버스 운행이 쉽지 않지만 내년 상반기에 25인승 셔틀버스가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도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내년 초까지 승강장에 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년 독점 운영권 특혜 아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시가 또다시 수익성 없는 사업에 예산을 낭비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수익 여부는 유공자회 몫이고 서울시는 한강 수상레저 활성화를 위해 홍보에만 주력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공원부 관계자는 “승강장 보수 및 유지 비용으로 연 3000만 원 정도가 들어가고 다른 지원은 일절 없다. 유공자회로부터 받는 하천점용료는 연 4000만 원가량 된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유공자회는 출퇴근용 수상택시보다 관광용 수상택시에 기대를 거는 눈치다. 출퇴근용 수상택시로는 이윤을 남기기 어렵다는 걸 이미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 같지도 않고 요금도 5000원밖에 되지 않아 인건비와 유류비를 빼고 나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관광용 수상택시 요금은 인당 2만5000원으로 비교적 높고, 가족이나 연인 단위 수요가 충분할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관계자는 “계절·테마별로 8개 관광코스를 개발했다. 생일이나 기념일 등 이벤트가 필요할 때 한강에서 아름다운 야경을 감상하며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홍보했다. 이어 그는 “이랜드유람선은 인당 1만 원으로 더 저렴하면서 가족이나 연인끼리 오붓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수상택시만의 이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유공자회는 재운항에 앞서 서래나루 승강장에 지상 2층 규모의 도선장을 새로 지어 카페, 편의점 등 부대사업도 하고 있다. 현재 공사 중인 2층에는 내년 3월쯤 푸드트럭 등 거리 음식 전문업체 40여 개가 들어올 예정이다.

    유공자회는 서울시와 청해진해운이 맺은 계약에 따라 2027년까지(20년 승인) 수상택시를 독점 운영할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공공사업에 장기간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은 공익에 배치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청해진해운은 사업 양도 권리를 갖고 있다. 청해진해운과 유공자회 간 운영권 양도·양수를 승인하지 않을 수 있는지 전문가에게 법률 검토를 의뢰했으나 불가능하다는 회신을 받았다. 택시 운영사업권이나 도선사업권은 한 번 면허가 나면 평생 상속·양도·양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20년 운영권이 과연 특혜인지 판단은 좀 더 따져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