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지방대학의 부실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름도 못 들어본 대학이 난립하고 신입생 충원율 70%에 못 미치는 대학도 있습니다. 부랴부랴 중국인 학생들을 들여와 겨우 학교를 꾸려가는 경우도 많죠. 올 초 개교한 한 지방대학은 벌판 한가운데 덩그러니 자리한 데다 도서관은 비좁고 셔틀버스도 부족해 학생들의 불만이 많지만 학교는 묵묵부답이라고 합니다. 누가 이런 대학에서 공부하고 싶겠습니까.
일단 위기에서 벗어났지만 해당 지방대학들은 대오각성 중입니다. A대학 관계자는 “교과부 평과 과정에 대한 불만은 있었지만 취지는 찬성한다”며 “대학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모든 교수에게 현재 상황을 알려 함께 위기의식을 갖게 했고, 학과통폐합·정원 조정 등 자구노력에도 ‘드라이브’를 걸었습니다. B대학 역시 “특성화 분야를 더욱 발전시켜 다시는 이 같은 굴욕을 당하지 않겠다”며 각오가 대단합니다.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 설정은 1회성 이벤트가 아닙니다. 전화위복, 절호의 기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