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22

..

김민경의 미식세계

낙조의 아름다움과 견줄 만한 고운 명주(名酒)

  • | 푸드칼럼니스트 mingaemi@gmail.com

    입력2018-01-16 13:32: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진도에서 나는 찰바지락으로 만든 무침.

    진도에서 나는 찰바지락으로 만든 무침.

    2018년은 무술년(戊戌年)으로 ‘황금 개띠’ 해다. 사실 ‘무(戊)’는 흙을 뜻하니 황금이라기보다 누르스름한 색에 가깝지 않나 싶다. 누런 개라면 역시 진돗개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진돗개는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우리나라의 고유 견종이며 전남 진도에서 순수한 형질을 보존, 관리해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진도에 갔을 때 여기저기서 나를 반겨주던 진돗개 조형물이 떠오른다. 이 외에도 진도에는 명물이 참 많다. 가슴을 울리는 진도아리랑, 명량해협을 건너는 진도대교, ‘한국판 모세의 기적’으로 불리는 모도의 바닷길, 기상청이 꼽은 최고 낙조(세방리 낙조대) 등이다. 맛과 풍류를 아는 이가 진도에서 주로 찾는 것은 바로 ‘홍주’다. 

    홍주는 맛, 색, 향을 두루 갖춘 진도 전통주다. 고려 초기 처음 만들었다는 설이 있지만 널리 알려진 건 조선시대였다. 이때는 ‘지초주(芝草酒)’로 불리며 진상품으로 꼽혔다. 홍주는 알코올 도수가 40도를 넘지만 진도에서는 잔치와 장례, 제례처럼 기쁘고 슬픈 자리 어디에나 홍주를 올린다. 예전에는 이바지 음식에 홍주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며느리 시집살이 강도가 달라졌다고 한다. 

    쌀과 보리를 섞어 고들고들하게 밥을 지은 뒤 누룩과 버무려 항아리에 담고 20~23도 온돌방에서 보름가량 숙성시켜 밑술을 만든다. 완성된 밑술을 가마솥에 붓고 그 위에 고조리(소줏고리)를 얹어 불을 지핀다. 고조리 위에는 차가운 물을 가득 붓는다. 술이 끓어 수증기가 되면 온도 차를 이용해 다시 이슬처럼 맺히게 하기 위해서다. 

    증류된 소주가 나오는 고조리의 좁은 주둥이 아래에는 홍주 맛의 비밀인 ‘지초’를 둔다. 깨끗하게 말린 지초를 잘 빻아 베 헝겊 위에 둔다. 한 방울씩 떨어지면서 지초를 통과해 베에 걸러진 소주는 지초의 맛과 색, 향을 품어 홍주가 된다. 이때 불 세기가 매우 중요하다. 밑술이 증발하고 맺혀 다시 떨어지는 양을 잘 조절해야 지초의 맛이 충분히 우러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재래주조 방식이다. 지금은 기계 공정으로 만든다. 


    진도 홍주. 투명한 붉은색이 오묘한 빛을 띤다.

    진도 홍주. 투명한 붉은색이 오묘한 빛을 띤다.

    홍주라는 이름은 지초에서 우러난 붉은색에서 유래했다. 지초는 항균, 항염, 해독, 해열 작용을 하며 변비, 간장병, 동맥경화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한약재다. 옛날부터 진도 사람은 지초를 소화제로 쓰는 민간요법에 익숙하다. 



    홍주 맛은 비교할 술이 없을 정도로 독특하다. 오묘한 빛깔처럼 향은 은은하지만 맛은 짜릿하고 강렬하다. 술술 마시다가도 이야기를 마무리하고 자리를 털고 일어날 즈음이면 정신이 말끔하게 돌아오는 독주의 장점이 있다. 작은 잔에 부어 목구멍이 뜨겁도록 한 잔 털어 넣기, 얼음으로 차게 희석해 천천히 음미하기, 토닉워터나 사이다를 섞어 동동 띄워(홍주는 맨 위층으로 뜬다) 먹기 등 마시는 방법도 다양하다. 진도에서 홍주를 맛보고자 한다면 칼칼하게 양념한 찰바지락 무침과 곁들이자. 물론 다음 날 해장국은 듬북국이 제격이다. 단, 홍주 잔을 들기 전 진도의 낙조를 놓치지 말 것. 

    아직 봄이 오려면 멀었다. 게다가 진도의 봄은 2014년 4월 16일 이후 몇 년째 깊고 슬픈 잠에 빠져 있다. 아무쪼록 새해에는 고즈넉하며 아름다운 면모를 가진 진도가 살며시 기지개 켜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