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0/58/5caff0581eb9d2738de6.jpg)
[shutterstock]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0/bb/5caff0bb2224d2738de6.jpg)
조명 색온도 높으면 눈에 좋지 않아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0/b0/5caff0b003bed2738de6.jpg)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0/dc/5caff0dc0896d2738de6.jpg)
두 번째는 밝기다. 와트 수는 전구가 얼마나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인데 전력 소모를 많이 할수록 밝다. 또한 실내에 사용하는 조명의 밝기는 종류별로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공간 크기에 따라 그 값이 서로 다르다.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0/e5/5caff0e52045d2738de6.jpg)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1/1b/5caff11b265fd2738de6.jpg)
조명 다음으로 벽지를 잘 봐야 한다. 수장 공사 가운데 도배의 경우 거주냐 임대냐에 따라 마감재 사양이 가장 많이 바뀐다. 임대용은 합지벽지, 거주용은 실크벽지를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임대용이라 해도 지하층에 습기가 많고 해가 잘 들지 않는 곳은 합지벽지보다 실크벽지로 시공해야 하자가 적어진다. 따라서 임대냐 거주냐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상황에 맞춰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1/25/5caff1251b15d2738de6.jpg)
천장 몰딩 없을 땐 벽지, 천장지 같은 색 도배
이렇게 몰딩이 없을 때는 몰딩만 별도로 구매하고 목공 작업자를 섭외해 시공하거나 업체에 자재와 시공을 일괄로 맡겨 공사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별도의 추가 비용이 들고 경우에 따라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몰딩 없이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벽지와 천장지를 같은 도배지로 선택하는 것이다. 벽과 천장의 마감이 같기 때문에 이질감이 덜하고 오히려 도장 느낌이 나는 고급스러움을 얻을 수도 있다.
장판은 종류가 다양한데 두꺼울수록 좋다. 문제는 가격이 비싸진다는 데 있다. 다만 장판을 결정할 때 하이펫트와 모노륨이 있는 만큼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쓰는 것이 좋다.
하이펫트는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판이다. 접착제 없이 이음매를 두 겹으로 겹쳐 시공하는데, 가격이 저렴한 대신 열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장판이 수축 혹은 팽창돼 군데군데 운다. 반면 모노륨은 이음새가 없고 하이펫트에 비해 열에 강하며 내구성도 좋다. 하이펫트보다 가격이 2배나 비싼 것도 있다.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1/4b/5caff14b1374d2738de6.jpg)
다음은 도장 공사다. 도장 공사 하면 단순히 발코니 도장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발코니 벽과 천장 도장은 기본이고, 몰딩·문틀·문짝에서부터 주방·일반가구, 거실·침실의 벽과 천장에 이르기까지 공사 범위가 넓고 다양하다. 또 다른 공정에 비해 비교적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하고 가격 대비 효과가 좋은 작업이기도 하다.
도장 공사는 반드시 친환경 수성 페인트로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1/5f/5caff15f03d1d2738de6.jpg)
페인트 종류에는 유성과 수성 페인트가 있다. 유성 페인트(oil based paint)는 휘발성으로 냄새가 나고, 건조가 느리며, 철재나 목재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물이 자주 닿는 부분과 쇠 같은 금속 재질에 많이 쓰며, 점도 조절용으로 시너를 희석해 사용한다. 제품 자체에서 특유의 독한 냄새가 나고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집 내부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주로 외부에 많이 쓰인다.
수성 페인트(water based paint)는 안료를 물로 용해해 용성 교착제와 혼합한 분말 상태의 도료를 가리키는데,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은 대부분 흰색이므로 원하는 색을 내고자 할 때는 수성 조색제를 섞으면 된다. 물로 희석하다 보니 화학적 결합력이 유성보다 약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냄새가 거의 나지 않고 건조가 빠르기 때문에 실내에 사용하기 좋다. 최근 친환경 제품들이 나오면서 기능적인 부분도 상당히 개선됐다.
탄성코트보다 곰팡이 방지 페인트가 나아
그런데 왜 작업자들이 실내 공사에 유성 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일까. 가격 때문이다. 유성 페인트가 수성 페인트에 비해 저렴한데 종류에 따라 2~4배 차이나는 제품도 있다. 특히 업자들은 집 하나를 페인트칠하려고 자재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대량으로 사놓기 때문에 비용 차이가 꽤 크다. 따라서 인테리어 작업 전 꼭 확인해야 한다.발코니 도장에서 또 하나 유의해야 할 점은 바로 탄성코트 도장이다. 쉽게 말해 벽면에 고무 도막 코팅을 입히는 것이다. 도장 업자들에게 발코니 도장과 관련해 문의하면 탄성코트를 많이 권한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작업 방법도 붓이나 롤러가 아닌 뿜칠로 하기 때문에 간편해서다. 그런데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곰팡이가 있는 벽체에 탄성코트를 시공하는 경우다.
![](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c/af/f2/50/5caff2500afcd2738de6.jpg)
곰팡이가 생기는 것은 결로 때문이다. 주기적으로 하루에 몇 분씩만 환기시켜도 곰팡이를 많이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측면 세대거나 해가 잘 들지 않을 경우, 또는 부실한 단열시공이 의심된다면 필히 곰팡이 방지 페인트를 사용하길 바란다.
탄성코트에도 곰팡이 방지 성분이 있지만, 경험상 곰팡이 방지 페인트가 훨씬 좋았다. 이런 페인트는 가격이 조금 비싼 편인데, 업자들의 견적이 과하다고 생각될 때는 본인이 자재만 따로 구매하고 작업자를 섭외해 공사하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