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어느 날, 현대음악가 존 케이지(J. Cage)는 미국의 한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 그가 강의를 한 곳은 사다리 꼭대기였고, 그 내용은 긴 침묵과 춤이었다. 이 행위는 일반적인 강의 형식과 내용을 뒤집어놓은 것이어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또 어떤 작가는 거대한 얼음덩어리 20개를 길거리에서 녹게 내버려두어, 사물이 시시때때로 변화하는 과정을 송두리째 보여주기도 했다. 다른 예로는 빌딩만한 립스틱이나 전기 플러그 등과 같은 작품을 떠올려도 좋겠다. 친숙한 것을 낯선 것으로, 낯선 것을 친숙한 것으로 보여주어 인간을 먼 상상의 여행길로 나서게 하는 이런 예술행위의 본질은 무엇일까?
해프닝(happening)이란 장르는 글자 그대로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며, 말보다는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소재들을 중요한 표현의 도구로 삼는다. 공연은 폐쇄된 극장이 아니라 화랑이나 길거리, 공원, 시장, 부엌 등과 같은 일상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성이 뛰어나다. 또한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사건과 행동들이 파편적으로 이어져 있어 기이하고 추상적이기도 하다. 대화는 생략되거나 아예 없으며, 때로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말도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해프닝은 우리 삶의 고통이나 희망 등을 논리적인 말로는 더 이상 전달할 수 없다는 것을 내세운다. 이러한 해프닝의 발상은 미술의 콜라주, 영화의 몽타주와 비슷하고, 삶의 부조리를 드러내는 현대 연극, 랩과 같은 대중음악과도 통한다. 우리의 삶 자체가 일회적이고, 일관된 논리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야말로 해프닝과 삶 자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다양한 예술 사이의 벽을 무너뜨리는 해프닝은 기존 예술에서의 관객의 역할을 변화시켰다. 행위자들은 관객에게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 고함을 지르거나 물을 끼얹으면서 관객들을 자극하고 희롱하기도 한다. 공연은 정해진 어느 한곳이 아니라 이곳저곳에서 혹은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관객들은 볼거리를 따라 옮겨다니면서 각기 다른 관점을 지닌 장면들을 보기도 한다. 이것은 관객들을 공연에 참여하게 하려는 의도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해프닝은 삶과 예술이 분리되지 않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일상적 삶에 개입하는 의식(儀式)이 되고자 한다. 나아가 예술시장에서 상징적 재화로 소수 사람들 사이에서 거래되는 것을 거부한다. 또 해프닝은 ㉠박물관에 완성된 작품으로 전시되고 보존되는 기존 예술의 관습에도 저항한다.
이와 같은 예술적 현상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정신적 모험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인습적인 사회제도에 순응하는 것을 비판하고 고정된 예술의 개념을 변혁하려고 했던 해프닝은 우연적 사건, 개인의 자의식 등을 강조해서 뭐가 뭔지 알 수 없는 것이라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그럼에도 현대사회에서 안락한 감정에 마비되어 있는 우리들을 휘저어놓으면서 삶과 예술의 관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이러한 예술적 모험은 좀더 다양한 모습으로 예술의 지평을 넓혀갈 것이다.
수능 맛보기
1. 다음 의 시 작품을 활용하여 위 글의 논지를 보강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했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이 시가 당시 현대시의 주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는 비평 자료를 찾아볼 필요가 있겠어.
② 이 시에는 기존의 언어체계를 불신하는 태도가 드러나 있는데, 그 점에 주목해야 할 거야.
③ 자신을 ‘미쳤다’고 하는 독자들의 반응에도 계속 이런 시를 쓴 시인의 의도도 거론해야겠지.
④ 이 시처럼 상식적으로는 시라고 보기 어려운 작품들을 모아놓은 선집(選集)이 있다면, 그걸 사례로 들어도 좋지 않을까.
⑤ 이 시를 포함한 연작시가 신문에 연재되다 편집진의 압력으로 중단되었다는 기록이 있다던데, 그것도 유용한 자료가 될 거야.
2. ㉠의 입장에서 와 같이 위 글을 비판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타당한 것은?
① 공연의 시작과 끝이 불분명해서 관객은 작품 해석의 기준을 상실한다.
② 관객의 상상력을 촉발하려는 의도가 강해 작품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③ 개인과 사회의 본질적 문제를 가볍게 다루어 관객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반성하기 어렵다.
④ 자의식이 강하고 우발적이므로 관객 사이의 합의를 얻지 못할 뿐 아니라 예술적 전통으로 계승되기 어렵다.
⑤ 직관보다는 이해를 강조하므로 취향이 서로 다른 다수의 관객을 만족시키기 어렵고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
3. 다음 는 해프닝 예술작품을 소개하는 신문 기사다. ㉡을 고려하여 의 내용이 잘 드러나도록 표제와 부제를 알맞게 붙인 것은?
① 고정된 정체성을 변화시키는 예술
― 사물의 확대를 통한 의미의 전복
② 사회적 일탈을 부정한 정형 예술
― 조화·균형·절제의 세계 지향
③ 논리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예술
― 입체 공간에서의 현실감 체험
④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예술
― 다양한 관점으로 사물을 해석
⑤ 관객의 무지를 폭로하는 예술
― 열린 시각으로 사물의 유용성 강조
논술로 접근하기
1. 다음 그림은 백남준의 예술작품 가운데 하나다. 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작품을 해석하시오.(300자 내외)
2. 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에 나타난 예술관에 대해 비판하시오.(300자 내외)
정답 및 예시답안
→ 수능 맛보기
1. ① 2. ④ 3. ①
→ 논술로 접근하기
1. 해프닝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술 장르로,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소재들을 중요한 표현도구로 삼는다. 예술 사이의 장벽을 무너뜨림으로써 인습적인 사회제도에 순응하는 것을 비판하고 고정된 예술의 개념을 변혁하려고 한다.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는 이러한 현대예술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예술은 고상한 것이라는 기존의 관념을 깨뜨리고 주변의 모든 경험과 물건이 예술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현대문명의 이기들을 이용해 비디오아트라는 새로운 예술세계를 창조한 것이다.
2. 에 의하면 예술가는 독자의 요청에 부응하는 존재, 독자를 선과 진리의 세계로 이끄는 지도자이자 안내자다. 이는 독자를 수동적이고 피동적인 존재, 그리고 예술적 감수성이 미숙한 존재로 파악한 것이며, 예술은 현실의 삶과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예술과 현실, 구체적인 삶이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예술가는 독자를 미와 선의 세계로 인도하는 인도자가 아니라, 고정관념에 젖어 있는 독자의 관념을 일깨워서 현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도록 하는 사람이다. 친숙한 것을 낯설게 보여줌으로써 고정관념에 안주하는 현대인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예술가의 역할인 것이다.
해프닝(happening)이란 장르는 글자 그대로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며, 말보다는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소재들을 중요한 표현의 도구로 삼는다. 공연은 폐쇄된 극장이 아니라 화랑이나 길거리, 공원, 시장, 부엌 등과 같은 일상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성이 뛰어나다. 또한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사건과 행동들이 파편적으로 이어져 있어 기이하고 추상적이기도 하다. 대화는 생략되거나 아예 없으며, 때로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말도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해프닝은 우리 삶의 고통이나 희망 등을 논리적인 말로는 더 이상 전달할 수 없다는 것을 내세운다. 이러한 해프닝의 발상은 미술의 콜라주, 영화의 몽타주와 비슷하고, 삶의 부조리를 드러내는 현대 연극, 랩과 같은 대중음악과도 통한다. 우리의 삶 자체가 일회적이고, 일관된 논리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야말로 해프닝과 삶 자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다양한 예술 사이의 벽을 무너뜨리는 해프닝은 기존 예술에서의 관객의 역할을 변화시켰다. 행위자들은 관객에게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 고함을 지르거나 물을 끼얹으면서 관객들을 자극하고 희롱하기도 한다. 공연은 정해진 어느 한곳이 아니라 이곳저곳에서 혹은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관객들은 볼거리를 따라 옮겨다니면서 각기 다른 관점을 지닌 장면들을 보기도 한다. 이것은 관객들을 공연에 참여하게 하려는 의도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해프닝은 삶과 예술이 분리되지 않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일상적 삶에 개입하는 의식(儀式)이 되고자 한다. 나아가 예술시장에서 상징적 재화로 소수 사람들 사이에서 거래되는 것을 거부한다. 또 해프닝은 ㉠박물관에 완성된 작품으로 전시되고 보존되는 기존 예술의 관습에도 저항한다.
이와 같은 예술적 현상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정신적 모험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인습적인 사회제도에 순응하는 것을 비판하고 고정된 예술의 개념을 변혁하려고 했던 해프닝은 우연적 사건, 개인의 자의식 등을 강조해서 뭐가 뭔지 알 수 없는 것이라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그럼에도 현대사회에서 안락한 감정에 마비되어 있는 우리들을 휘저어놓으면서 삶과 예술의 관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이러한 예술적 모험은 좀더 다양한 모습으로 예술의 지평을 넓혀갈 것이다.
수능 맛보기
1. 다음 의 시 작품을 활용하여 위 글의 논지를 보강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했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이 시가 당시 현대시의 주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는 비평 자료를 찾아볼 필요가 있겠어.
② 이 시에는 기존의 언어체계를 불신하는 태도가 드러나 있는데, 그 점에 주목해야 할 거야.
③ 자신을 ‘미쳤다’고 하는 독자들의 반응에도 계속 이런 시를 쓴 시인의 의도도 거론해야겠지.
④ 이 시처럼 상식적으로는 시라고 보기 어려운 작품들을 모아놓은 선집(選集)이 있다면, 그걸 사례로 들어도 좋지 않을까.
⑤ 이 시를 포함한 연작시가 신문에 연재되다 편집진의 압력으로 중단되었다는 기록이 있다던데, 그것도 유용한 자료가 될 거야.
2. ㉠의 입장에서 와 같이 위 글을 비판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타당한 것은?
|
① 공연의 시작과 끝이 불분명해서 관객은 작품 해석의 기준을 상실한다.
② 관객의 상상력을 촉발하려는 의도가 강해 작품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③ 개인과 사회의 본질적 문제를 가볍게 다루어 관객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반성하기 어렵다.
④ 자의식이 강하고 우발적이므로 관객 사이의 합의를 얻지 못할 뿐 아니라 예술적 전통으로 계승되기 어렵다.
⑤ 직관보다는 이해를 강조하므로 취향이 서로 다른 다수의 관객을 만족시키기 어렵고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
3. 다음 는 해프닝 예술작품을 소개하는 신문 기사다. ㉡을 고려하여 의 내용이 잘 드러나도록 표제와 부제를 알맞게 붙인 것은?
|
① 고정된 정체성을 변화시키는 예술
― 사물의 확대를 통한 의미의 전복
② 사회적 일탈을 부정한 정형 예술
― 조화·균형·절제의 세계 지향
③ 논리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예술
― 입체 공간에서의 현실감 체험
④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예술
― 다양한 관점으로 사물을 해석
⑤ 관객의 무지를 폭로하는 예술
― 열린 시각으로 사물의 유용성 강조
논술로 접근하기
1. 다음 그림은 백남준의 예술작품 가운데 하나다. 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작품을 해석하시오.(300자 내외)
2. 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에 나타난 예술관에 대해 비판하시오.(300자 내외)
정답 및 예시답안
→ 수능 맛보기
1. ① 2. ④ 3. ①
→ 논술로 접근하기
|
1. 해프닝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술 장르로,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소재들을 중요한 표현도구로 삼는다. 예술 사이의 장벽을 무너뜨림으로써 인습적인 사회제도에 순응하는 것을 비판하고 고정된 예술의 개념을 변혁하려고 한다.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는 이러한 현대예술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예술은 고상한 것이라는 기존의 관념을 깨뜨리고 주변의 모든 경험과 물건이 예술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현대문명의 이기들을 이용해 비디오아트라는 새로운 예술세계를 창조한 것이다.
2. 에 의하면 예술가는 독자의 요청에 부응하는 존재, 독자를 선과 진리의 세계로 이끄는 지도자이자 안내자다. 이는 독자를 수동적이고 피동적인 존재, 그리고 예술적 감수성이 미숙한 존재로 파악한 것이며, 예술은 현실의 삶과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예술과 현실, 구체적인 삶이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예술가는 독자를 미와 선의 세계로 인도하는 인도자가 아니라, 고정관념에 젖어 있는 독자의 관념을 일깨워서 현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도록 하는 사람이다. 친숙한 것을 낯설게 보여줌으로써 고정관념에 안주하는 현대인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예술가의 역할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