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92

..

딱딱한 헌법 읽기 전에 느껴보라

  • 입력2003-07-03 10:0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딱딱한 헌법 읽기 전에 느껴보라
    “당신은 대한민국 헌법을 읽어본 적이 있습니까.” “당신은 대한민국 헌법을 제대로 알고 계십니까.”

    박영률출판사가 ‘대한민국 헌법’이라는 책을 내놓으면서 국민들에게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다. 물론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하진 않았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에서 한 발짝도 더 나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서로가 잘 안다.

    이미 이 책을 기획하면서 출판사 내부에서 수차례 비슷한 물음을 주고받았다. 누군가 “왜 우린 헌법을 모르지요?” 하면 “언제 법이 국민을 도와준 적 있어요?”라는 퉁명스러운 반응이 튀어나왔고, “아직도 그런가요?” 하고 물으면 “법은 좋아졌어요”라는 알 듯 모를 듯 한 대답이 이어졌다. 다시 진지하게 “그걸 왜 국민들이 모르지요?” 하면 당장 “법대로 되나요?”라는 빈정거림이 말문을 닫았다. 그러나 기획위원들이 최종적으로 내린 결론은 “한번 법대로 해보자”였다.

    ‘대한민국 헌법’은 다섯 가지 원칙에 따라 만들어졌다. 첫째, 대한민국 헌법을 있는 그대로 국민들이 만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대한민국 주권자가 단 한 번이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헌법을 읽을 수 있도록 만든다(기자가 보기에 첫째, 둘째 목표는 불가능을 전제로 한다). 셋째, 통일시대를 대비해 북한 헌법을 함께 싣는다(책 말미 초록색 별지가 부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이다). 넷째, 사진 선정과 배열에 어떠한 논리도 적용하지 않는다. 다섯째, 헌법의 어려운 말, 너무 당연한 말은 본뜻을 밝혀둔다.

    ‘대한민국 헌법’의 출발점은 1987년 7월9일 서울시청 앞 광장이다.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연세대 이한열군의 영결식 노제가 벌어졌던 그 장소를 공중에서 촬영한 사진이 책 두 면에 걸쳐 게재됐다. 이 대목에서 문득 자신의 얼굴을 찾고 싶어지는 사람도 여럿 있을 것이다. 그 지면을 넘기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우리의 약속. 6월, 헌법’. 지금 우리 헌법이 1948년 7월17일 제정되어 50여년간 무려 아홉 차례 개정을 거쳐, 1987년 10월29일 국민의 힘으로 다시 만든 헌법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대한민국 헌법’은 헌법 해설서가 아니다. 제1장 총강부터 부칙까지 헌법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그러나 한 장 걸러 실린 사진들이 헌법을 읽기 전에 가슴으로 느끼게 만든다. ‘이것이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결과로 탄생한 헌법이구나.’

    ‘헌법을 읽자’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2년 10월 서울대 정종섭 교수(법학)와 사진작가 김중만씨가 손잡고 ‘대한민국 헌법을 읽자’(일빛 펴냄)를 내놓았다. 이 책은 법제처와 한국법제연구원이 만든 영문헌법을 원문 대조 형태로 실은 것이 특징. 책을 펴내면서 정교수는 ‘어떻게 해야 우리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헌법대로 하면 된다’고 대답하고 싶다고 했다. 행복해지기 위한 처세술보다 헌법이 우리에게 행복을 안겨줄 수 있다면, 헌법을 끝까지 읽는 수고스러움 정도야 감내할 수 있지 않겠는가.



    확대경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