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44

..

체질에 맞는 ‘좋은 땀’을 흘리자

노폐물 배출, 체온조절 등 여름나기 묘책…더위 잘 타는 태음인 땀 빼야 건강

  • 입력2005-08-03 11:3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체질에 맞는 ‘좋은 땀’을 흘리자
    ‘찬물 먹고 냉돌방에서 땀 낸다’ 는 속담이 있다. 상황이 전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땀’은 ‘결실을 보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을 비유할 때 흔히 쓰는 말이다. 그렇다면, 실제 흘리는 물리적인 땀은 우리 몸에서 어떤 의미로 존재하는 것일까.

    ●땀에도 좋은 땀과 나쁜 땀이 있다

    땀은 노폐물을 배출할 뿐 아니라 체온조절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더운 날씨에 땀을 흘리는 것은 자연에 잘 적응하고 있다는 증거다. 곧 건강하다는 뜻이므로 피하려고만 하지 말자. 오히려 당뇨, 아토피성 체질 등이 무한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땀을 전혀 안 흘린다면 걱정해야 한다. 그러나 체질과 땀의 종류에 따라 땀을 흘리는 것이 건강의 적신호일 수도 있다. 한의학에서는 신체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현상으로 땀을 보기도 한다.

    30분∼1시간 정도 운동을 하면 적당히 땀이 난다. 이때의 땀은 99%가 물이고 나머지는 염화나트륨 염소 칼륨 마그네슘 젖산 포도당 암모니아 등 노폐물과 이온이 섞인‘땀’이다. 이것이 ‘좋은 땀’이다. 체질에 따라 땀의 의미와 건강조절 방법을 살펴보자.

    태음인은 비만한 사람이 많고 성격도 느긋하다. 가장 더위를 타는 사람이기도 하다. 대개 이런 사람들은 간기능은 튼튼하지만 폐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때문에 호흡기와 순환기 계통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그래서 혈액순환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다.



    태음인들은 땀을 잘 내주어야 순환이 잘 돼서 안으로 쌓이기 쉬운 내열을 밖으로 발산시키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런 체질이 땀을 잘 내지 못하면 내부의 열이 쌓여 가슴이 답답함을 느끼고 번열이 생기며 고혈압 증세와 불면증까지 보인다. 그러나 가슴 얼굴 머리 손 발에만 땀이 난다면 다스려주어야 한다. 이런 땀은 화와 열이 위로 오르거나 긴장이나 스트레스, 비만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병적인 증세이기 때문이다.

    태음인이 여름을 건강하게 나려면 마음을 안정하고 긴장과 과로를 피하며 술 육류 과식 등을 삼가야 한다. 운동 목욕 사우나 한증 등으로 땀을 내면 혈액 순환이 잘 되어 몸 안의 열을 빼고 노폐물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름철 갈증 해소에는 칡차 율무차 오미자차 마차 산조인차 녹차 등을 차게 해서 먹으면 좋다.

    대개 몸이 허약하면서 소화기가 약한 소음인은 건강할수록 땀이 적게 난다. 운동을 하더라도 땀이 잘 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태음인과는 반대로 무리한 운동이나 사우나, 한증으로 땀을 흘리지 않는 것이 좋다. 땀을 많이 흘리면 기운이 빠져 어지럽고 탈진상태까지 갈 수 있다.

    소음인이 전신에 땀을 흘린 뒤 체력이 떨어지는 것을 느끼거나 잠자리에서 이불을 흠뻑 적실 정도로 땀을 흘린다면 위기, 기혈이 부족한 탓이다. 황기 인삼 대추를 같은 비율로 달여 보리차처럼 마시거나, 닭에 황기를 30g 정도 넣고 고아 먹는 게 좋다.

    또 소음인은 원래 몸이 찬 편이어서 에어컨이나 선풍기에 노출되면 냉방병에 걸리기 쉽다. 덥다고 찬 음식을 많이 먹는 것도 좋지 않다. 여름에 오히려 따뜻한 음식을 섭취하고 닭이나 인삼처럼 열성식품을 섭취해서 이열치열로 여름을 나야 한다. 복중에 삼계탕은 소음인에게 가장 좋은 음식이다.

    늘 긴장상태이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는 황기가 효과적이다. 대추와 황기를 같이 달여서 평소 음료처럼 마신다. 그러나 무엇보다 마음을 편안하게 안정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소양인은 성격이 급하고 적극적이다. 신장기능은 약하지만 소화기능이 왕성하기 때문에 여름철에 소화기 장애로 인한 질병에 걸릴 확률은 다른 체질에 비해 비교적 적다. 땀은 적지도 많지도 않다. 그러므로 더운 날씨나 운동 후 온몸에 적당하게 땀이 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땀이 얼굴에만 많이 나거나, 가슴이 답답하면서 땀이 나거나 손발에만 땀이 나는 것은 몸 안의 화와 열이 한곳에 편중돼 있기 때문이다. 환자에 따라 부족한 장기를 보해주는 약을 복용하여 편중된 열을 풀어주어야 한다. 산수유차 구기자차 보리차는 열을 내리고 단전부위의 음기를 보충해 준다. 목욕을 할 때도 너무 뜨거운 물은 피하고 더운 물에 몸을 담글 때는 심장부분이 더워지는 것을 피해 반신욕을 하는 게 좋다. 갈증을 해소하려면 물을 마시기보다 여름에 나는 신선한 과일과 야채로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 좋다.

    기운이 위로 많이 오르고 분출하려는 힘이 과하다. 그러므로 이것을 막지 못하면 속이 메슥거리면서 다리에 힘이 빠지고 땀이 많이 난다. 한마디로 태양인은 땀이 안 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땀을 많이 내면 다른 체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변이 지나치게 적어지고 건강이 악화된다. 그러므로 사우나나 한증막에서 땀을 낸다든가 운동으로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좋지 않다.

    열이 많은 체질이므로 더운 음식보다 찬 음식과 담백한 음식이 몸에 이롭다. 꼭 여름이 아니더라도 차가운 음식을 즐겨야 한다. 또한 기운이 위로 오르지 않도록 늘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솔잎 포도 머루 다래 감 앵두 모과 송화가루 조개 붕어 새우 등이 태양인의 기운을 다스려준다. 모과차와 오갈피차로 갈증을 해소하는 것이 좋다.

    땀을 계속 흘릴 때 잘 닦지 않으면 먼저 나온 땀의 소금기가 땀구멍을 막아 고열 두통 등에 시달리게 된다. 따라서 땀이 나면 즉시 닦아주는 것이 좋다. 또 땀을 흘리고 난 뒤 수분 보충은 필수. 수분이 부족하면 혈액순환 장애가 일어난다.

    그러나 갈증이 날 때는 필요한 물의 5분의 1 정도만 마셔도 갈증이 사라지므로 땀으로 나간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주지 못한다. 갈증이 날 때는 한꺼번에 물을 마시지 말고 목을 약간 축인 뒤 자주 마시는 게 요령이다. 또 맹물을 마시기보다 수분이 많이 함유된 과일을 먹는 게 좋다. 수분이 서서히 보충되며 필요한 전해질들이 칼로리와 함께 흡수되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땀을 흘리면 소금을 먹어야 한다?

    땀을 많이 흘려 팔에 소금기가 하얗게 보일 때가 있다. 그렇다면 땀과 함께 염분이 배출됐다는 증거다.

    땀으로 소모된 염분을 보충하기 위해 물과 함께 소금을 먹는 사람들이 있다. 과연 땀을 흘린 뒤 소금으로 염분을 보충해 주어야 할까. 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땀 속의 염분은 혈액 속의 염분보다 농도가 낮다. 그러므로 땀으로 흘린 염분을 소금으로 보충해 준다면 혈액의 염분 농도가 진해져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땀 흘리는 여름에는 보약이 효과 없다?

    세간에 퍼져 있는 잘못된 한방상식 중 대표적인 게 ‘여름철 보약은 아무런 효과가 없다’이다. 보약을 먹어봤자 땀으로 다 배출돼 버린다는 것인데, 이는 전혀 근거가 없다. 땀에 보약의 영양분이 섞여 나온다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부터 여름에 건강을 다스리지 못하면 가을에 만병을 갖는다고 했다. 오히려 여름철에 허약한 몸을 보해야 다음 계절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