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서 의존 높으면 생각나무 늦자란다](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7/05/09/200705090500080_1.jpg)
박완서
- 박완서, ‘그 여자네 집’의 줄거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상)
국어 참고서를 보면 소설 ‘그 여자네 집’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다. 그러나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참고서에 나와 있지 않은 내용을 찾아 문제로 만들어 500자, 1000자로 써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다. 창의력은 열린 공간에서 터져나오는 것이다.
의 1)을 보자. 여기에 드러난 만득이의 사랑법과 관련된 문제를 만들어 답안을 작성해보면 어떨까. 즉, 만득이의 사랑법이 가진 문제점을 당시 시대상과 관련지어 평가하고, 그것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적으면 좋은 논술답안이 된다. 참고서의 한 줄 내용을 문제화해 창의성을 바탕으로 논술답안을 써보는 것이다.
2)의 내용에도 주목해보자. 그저 곱단이가 원치 않은 시집을 갔다는 내용만 암시되어 있을 뿐, 곱단이의 시집살이 행적은 나와 있지 않다. 논술 수험생이 놓쳐서는 안 될 내용이다. 즉, 이 내용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 곱단이의 결혼생활을 논술로 적어보는 것이다. 자신만의 관점에서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다.
교과서에 실린 논설문, 설명문도 같은 방법으로 자신만의 논리를 펼쳐보자. 논설문, 설명문에도 참고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다음 예를 보자.
![참고서 의존 높으면 생각나무 늦자란다](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7/05/09/200705090500080_2.jpg)
김구
- 김구, ‘나의 소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상)
현실과의 연계를 염두에 두고 국어 교과서에서 찾아낸 내용이다. 논술 수험생들이 여기서 ‘이기적 자유, 이타적 자유’의 의미만 이해한다면, 그야말로 상식적인 사고에 불과하다. ‘이타적 자유’를 ‘공리적 자유’와 연관지어 현실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찾아보고, 그 과정을 통해 가치를 밝히는 글을 1000자 내외로 써보면 어떨까. 나아가 특정 상황에 처한 ‘이기적 자유’와 ‘이타적 자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것도 필요하다.
2007학년도 수시 1학기 논술에서 최고점을 받은 이연지 양은 “다른 글과 차별화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를 제시한 것이 좋은 결과를 낳은 것 같다”고 말했다. ‘딸을 종군위안부로 끌려가게 놔둔 한 군청 직원의 반성을 평가하라’는 문제에 이양은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리는 집회에 참여, 관련 봉사활동 하기, 종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에 금전적인 지원하기 등 ‘어떤 식으로 해야 진정한 반성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썼다고 한다. 이처럼 자신의 생각을 중심으로 논리를 전개해가는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