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75

..

神 앞에 흔들리는 인간 두려움, 그 실체 찾기

‘포도나무를 베어라’의 민병훈 감독

  • 입력2007-03-05 10:3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神 앞에 흔들리는 인간 두려움, 그 실체 찾기
    영화를 만드는 것보다 더 힘든 것이 영화를 극장에서 개봉하는 일이다. 영화도 자본주의 사회의 다른 물건들처럼 생산, 유통, 소비의 3단계를 거친다. 힘들게 만든 영화가 모두 극장 개봉되는 것은 아니다. 제작된 영화들 중에는 개봉도 못하고 창고에 필름이 쌓이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제작자 처지에서는 생각보다 영화의 완성본이 잘못 나왔을 경우, 홍보비 들여 힘들게 개봉해봤자 적자만 더 커질 것이라는 판단이 서면 과감하게 개봉을 포기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요즘처럼 최소 홍보비가 15억원을 넘는 상황에서 더욱 그렇다.

    러시아 국립영화대학서 촬영 전공 … 세 번째 영화

    세 번째 영화 ‘포도나무를 베어라’의 개봉을 앞둔 민병훈 감독은 상기된 표정이었다. 그의 데뷔작인 ‘벌이 날다’(1998년)는 이탈리아 토리노 영화제 대상을 받았고 비평가상, 관객상을 수상했으며 러시아 아나미 국제영화제 감독상과 그리스 테살로니카 국제영화제 은상 등을 받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단관 개봉한 뒤 곧바로 비디오로 출시돼 극소수 사람들만 보았을 뿐이다. 두 번째 영화 ‘괜찮아, 울지 마’(2002년)는 카를로비 바리 영화제 특별언급상, 비평가상을 수상하고 그리스의 테살로니카 영화제 예술공헌상과 아시아 유럽상을 수상했지만 아직까지 극장에서 개봉되지도 못했다.

    “프린트를 불태우려고도 했다. 관객들에게 보여줄 수 없는 영화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마케팅 비용을 15억원, 20억원씩 쓰는데, 마케팅 비용이 없으면 개봉을 하지 말라는 것이냐. 영화의 다양성을 위해 편견을 버려야 한다. 관객은 물론 영화 관계자들도 인디영화라고 하면 마치 비장애인이 장애인을 바라보는 것 같은 느낌으로 본다.”

    그래서 비록 CJ 인디 영화관 중심으로 개봉하긴 하지만 6~7개 극장에서 관객들과 만나는 ‘포도나무를 베어라’의 개봉을 앞두고 민 감독이 긴장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러시아 국립영화대학과 대학원에서 촬영을 전공한 민 감독으로서는 잠셰드 우스마노프와의 공동연출로 만든 ‘벌이 날다’나 중앙아시아에서 현지 배우들을 캐스팅해 찍은 ‘괜찮아, 울지 마’와는 달리, ‘포도나무를 베어라’는 처음으로 한국 배우들과 한국에서 찍은 영화이기 때문에 우리 관객과 본격적으로 만나는 첫 번째 영화인 셈이다.



    “대중과 소통하는 것이 언제나 좋은 영화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숫자상으로 100만명이 들었다고 좋은 영화라고 말할 수는 없다. 마음의 상처를 스크린을 통해 만나게 해주는 영화가 좋은 영화다.”

    2004년 부산영화제 PPP에서 코닥상을 받고 2005년 영화진흥위원회 예술영화 제작 지원을 받아 총 5억2000만원의 제작비로 2006년

    2월부터 5월까지 30회에 걸쳐 촬영된 ‘포도나무를 베어라’는 올 6월 개최되는 카를로비 바리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됐다.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가톨릭 성직자를 소재로 한 영화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다. 누구든지 나에게서 떠나지 않고 내가 그와 함께 있으면 그는 많은 열매를 맺는다.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요한복음 15장 5절)

    여기서 영감을 받은 ‘포도나무를 베어라’는 속세의 인연을 끊지 못하고 신 앞에서 방황하는 한 신학생을 중심으로 인간 존재의 숙명적 두려움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신학생 통해 불가해한 삶에 대한 탐구

    神 앞에 흔들리는 인간 두려움, 그 실체 찾기

    ‘포도나무를 베어라’

    ‘벌이 날다’ ‘괜찮아, 울지 마’에 이어 ‘포도나무를 베어라’는 민 감독의 ‘두려움’ 3부작 중 마지막 편이다. 땅을 파고 들어가 화장실을 만드는 이야기 ‘벌이 날다’에서는 가난한 한 남자가 자신의 두려움을 떨치고 자존심을 찾으려고 한다. 개봉되지 못한 ‘괜찮아, 울지 마’에서는 도박으로 빈털터리가 된 남자가 고향에 돌아오지만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로 잘못 알려지면서 두려움과 마주친다. ‘포도나무를 베어라’의 인물들이 부딪치는 두려움은 무엇인가?

    가톨릭 신부가 되기 위해 수도자의 길을 걷고 있는 신학생 수현(서장원 분)을 통해 불가해한 삶과 완벽한 세계질서에 대한 희구를 담은 ‘포도나무를 베어라’에는 보석 같은 이미지들이 곳곳에 박혀 있다. 내러티브의 중심에 있는 사람은 수현이다. 여자 친구 수아(이민정 분)와의 관계를 끊고 신학교 생활에 전념하려고 하지만 수아의 청첩장과 십자가 목걸이를 배달받고 마음이 흔들린다.

    “인간 내면 들춰 많은 영혼 움직이고파”

    수현은 대나무숲에서 헤매던 강아지를 발견하고 자신의 방 벽장 속에서 몰래 기르지만, 강아지가 오래 못 산다는 사실을 알고 수아가 준 십자가 목걸이와 함께 다시 대나무숲에 풀어준다. 이성적이며 논리적인 인과관계보다 감성적이며 직관적인 이미지가 빛나지만, 그것들이 흩어져 있어서 상호 조응하며 깊은 울림을 만드는 데 한계로 작용한다.

    ‘포도나무를 베어라’의 가장 아름다운 장면들은 수도원에 모여 있다. 낮게 자란 포도나무 가지들이 줄지어 서 있는 포도나무숲. 그 중심으로 곧게 나 있는 메마른 황톳길.

    수현은 그곳에서 수아와 똑같이 생긴 헬레나 수녀를 만난다. 헬레나 수녀 역시 수녀가 되기 전 수현과 똑같은 남자와 사귄 적이 있다. 앙상한 포도나무 가지들이 손을 뻗은 겨울 포도나무숲에서 헬레나 수녀와 수현이 만나는 장면은 앙상하고 상처받은 인물들의 메마른 마음을 대변해준다. 문 신부(기주봉 분)의 에피소드나 수녀원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 다니엘라와 사랑에 빠지는 수사 정수(성준서 분)의 에피소드들은 오히려 내러티브의 중심인 문수현을 흔들 정도의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처음 시나리오를 썼을 때와 바뀐 부분이 있다. 하느님이 시나리오를 보면 뭐라고 할까 생각해봤다. 하느님이 피식 웃는다. 야, 나는 그런 생각 하지도 않는데 넌 왜 오버하냐. 넌 하느님을 찾으면서 실제로 하느님이 어떤 생각 하는지 모르는군. 이런 생각이 들어 시나리오를 바꿨다. 내 영화는 교과서가 아니다. 내가 바라보는 신의 모습이 담겨 있다.”

    ‘포도나무를 베어라’의 주인공인 수현의 세레명은 바오로다. 짐작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모태 세례를 받은 민 감독 본인의 세례명이라고 했다.

    “종교는 일요일날 성당에 가서 구속받으라고 있는 게 아니다. 신이 주신 가장 큰 선물이 자유다.”

    민 감독의 다음 영화는 눈에 보이지 않는 향기를 통해 기적의 순간을 이야기하는 ‘천국의 향기’다. 나병으로 죽어가는 할머니의 몸에서는 장미 향기가 나고, 그 어머니를 이용했던 아들에게선 악취가 나기 시작한다.

    “영화가 예술이라고 한다면 인간의 내면을 들춰내고 사람들에게 문제 제기를 해서 다양한 답을 내놓아야 한다. 타협을 제의하는 사람도 없었지만 그러고 싶은 생각도 전혀 없다. 본격적인 예술영화가 무엇인지 보여주고 싶다. 보는 사람들의 눈을 시원하게 해줄 수 있는, 영혼을 움직이는 영화를 만들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