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37

..

한창호의 시네+아트

“사랑하는 것은 대상이 아니라, 사랑 그 자체”

  • | 영화평론가 hans427@daum.net

    입력2018-05-08 14:54:38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진 제공 · 씨네룩스]

    [사진 제공 · 씨네룩스]

    클레르 드니는 프랑스 영화계의 대표적 여성감독이다. 독일 감독 빔 벤데르스의 조감독 시절, 일본 거장 오즈 야스지로를 기리는 다큐멘터리 ‘도쿄가’(1985)의 작업에 참여하며 영화계에 입문했다. 그래서인지 드니의 영화에는 벤데르스의 예민한 감성, 오즈의 고요한 응시 같은 영화적 태도가 배어 있다. 두 감독 작품도 그렇지만, 드니의 영화에는 스토리보다 세상과 사물에 대한 사적인 명상이 더욱 강조돼 있다. 할리우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잘 짜인’ 이야기가 아니라, 파스칼의 에세이를 읽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렛 더 선샤인 인’은 프랑스 문학평론가이자 기호학자인 롤랑 바르트의 저서 ‘사랑의 단상’에서 모티프를 따온 드라마다. 바르트의 책은 사랑하는 연인의 시점에서 사랑의 특성에 관한 단상을 묶은 것이다. 그래서인지 사랑의 느낌이 생생하다. “주체가 사랑하는 것은 사랑 그 자체이지, 사랑의 대상이 아니다” 같은 바르트의 유명한 잠언은 지금도 수없이 인용되는 사랑에 관한 통찰이다. ‘렛 더 선샤인 인’도 주인공 이자벨(쥘리에트 비노슈 분) 시점에서 읽은 사랑의 단상이다. 

    화가인 이자벨은 50대 이혼녀인데, 여전히 ‘진정한’ 사랑과 만남에 목말라 한다. 영화의 첫 장면은 은행원 애인과 제법 긴 베드신이다. 클라이맥스에 이르려고 “웃어달라”는 이자벨의 요구에, 애인이 “다른 남자와는 빨리 됐느냐”고 되묻자 그만 관계가 중단되고 만다. 이자벨은 천박한 질문을 받으면 역한 반응을 보일 정도로 예민한데, 은행원은 이를 헤아리지 못했던 것. 자신의 진정한 짝을 찾으려는 이자벨의 시행착오는 계속된다. 자기처럼 예민하고 우유부단한 연극배우에게 매달리고, 이혼한 전남편과 결과가 뻔한 재결합을 고민하며, 하층민 출신인 남자와 성적 모험을 펼친다. 

    아마 많은 관객은 영화 중간쯤에서 이미 이자벨의 모험이 만족에 이르지 못할 것임을 알 것 같다. 동시에 사랑에 관한 우리의 태도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수긍하게 된다. 바르트의 말대로, 불가능할 것 같은 만족을 찾아 헤매는 것 자체가 사랑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자벨은 지금 열렬한 사랑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바르트는 사랑하는 것은 사랑하는 마음 그 자체라고 말한다. 

    그런데 그런 사랑의 역경을 행복으로 받아들이는 데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제 70대에 이른 노장 감독 드니의 제안은 제목처럼 ‘가슴에서 빛이 나게 하자’는 것이다. 영화 제목은 미국 혼성 5인조 팝그룹 더 피프스 디멘션이 1969년 발표한 메들리곡 ‘물병자리/렛 더 선샤인 인(Aquarius/Let the Sunshine In)’에서 따왔다. 전자는 현재의 물고기자리 시대에서 물병자리 시대로 접어들면 평화와 사랑, 조화와 이해, 공감과 신뢰가 넘쳐나리라는 내용이다. 후자는 ‘설령 누군가 당신을 속이고 친구들이 등을 돌려도, 마음을 열고 가슴에서 빛이 나게 하자’고 노래한다. 



    비노슈의 감정 풍부한 연기, 비노슈의 마음에 따라 변하는 파리 풍경, 그리고 드니의 영화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춤 장면 등은 이 영화의 또 다른 매력이다.



    댓글 0
    닫기